탕산 지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당산 지진에서 넘어옴)

탕산 지진
탕산 광업대학 건물이 지진으로 완전 붕괴된 모습. 이 대학에서 지진으로 학생 2천명 이상이 사망했다.
탕산 지진은(는) 중국 안에 위치해 있다
탕산 지진
본진
UTC 시각이중지진:    
 1976-07-27 19:42:55
 1976-07-28 10:45:36
ISC 지진번호 
 711732
 711773
USGS-ANSS 
 ComCat
 ComCat
현지일1976년 7월 28일
현지시간 
 3시 42분 55초
 18시 45분 36초
규모 
    모멘트 규모 7.5
표면파 규모 Ms7.6[1]
    모멘트 규모 7.4
표면파 규모 Ms7.4[2]
최대 진도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진도 XI
진원 깊이 
 12.2[1] km
 16.7[2] km
진앙중국 허베이성 탕산시 지역
북위 39° 38′ 동경 118° 06′ / 북위 39.63° 동경 118.10°  / 39.63; 118.10
피해
피해 지역중국 허베이성
피해액100억 위안 이상
사상자242,419명[3][a]~655,000명[4][5]

탕산 지진(중국어 (중국): 唐山地震 탕산디진) 혹은 탕산대지진(중국어: 唐山大地震 탕산다디전[*])은 1976년 7월 28일 오전 3시 42분에 중국 허베이성 탕산시 주변 지역을 강타한 모멘트 규모 Mw7.6의 지진이다. 지진의 최대진도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XI이다. 지진 직후 탕산시의 건물 85%가 붕괴되거나 사용 불가능 수준으로 파괴되었고 모든 사회 서비스가 중단되었으며 고속도로와 교량 대부분이 붕괴되거나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6] 중국 측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탕산시에서 242,769명이 사망하고 164,851명이 중상을 입었다고 발표했지만 실종자와 나중에 사망한 부상자, 인근 베이징톈진에서의 사망자를 고려하면 최소 30만명이 사망했다고 추정되며[7][8] 이는 근대 기록상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지진이자 중국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은 자연재해 중 하나로 꼽힌다.

지질학적 환경[편집]

북중국 강괴와 주변 지질의 모습. 탕산은 북중국 강괴 한가운데에 자리잡은 곳이다.

탕산은 베이징에서 보하이해까지 이어지는 충적 평야인 베이징-톈진-탕산 평야의 북쪽 끝에 있다.[9] 화베이 평원 동북쪽 끄트머리에 있는 이 평원은 북쪽의 옌산산맥에서 침식된 퇴적물이 약 4천년 전 해안선과 매우 가까웠던 탕산 지역과 함께 고대의 보하이만이 매꿔진 곳이다.[10] 이보다 남쪽에서는 퇴적물이 약 3 km 두께로 쌓여 약한 토양층을 형성했다. 탕산 이북부터는 이 퇴적물층이 더 얕아지고 그보다 아래에 있는 지층이 고립된 언덕을 형성한다.[11] 이 기저지층은 석회암이나 사암과 같은 주로 퇴적층으로 이루어진 두꺼운(평균 10 km) 층이며 석탄이 많이 존재한다.[12] 탕산은 특히 동북쪽 주향의 주향사 위에 있어 퇴적층이 접혀 채굴할 수 있을 정도로 표면에 가까운 곳에 막대한 양의 석탄이 매장되어 있다. 이 지역의 충적층은 두께가 수 미터에서 약 600 m까지 다양하게 분포한다.[13]

이 모든 지층의 기저에는 북중국 강괴의 동부 지각괴를 형성한 여러 종류의 변성암(결정편암, 편마암, 규암, 백립암 등)으로 이루어진 고대 기반암이 있다.[12] 이 강괴는 약 20억년 전 두 개의 주요 지각괴가 충돌해 융기하여 형성된 중국을 서남쪽에서 동북쪽으로 가로지르며 베이징의 서쪽과 북쪽을 통과하는 산맥[14]인 중앙(화) 조산대(OCB)가 만들어지면서 형성되었다.[15] 중부 산맥 바로 북쪽에 있는 또 다른 조산대인 동서 방향의 옌산산맥 단층-습곡대(혹은 옌산산맥 지진대)는 북중국 강괴(와 충적평야)의 북쪽 경계를 이룬다. 이 단층대는 평원 아래 중앙 조산대와 평행한 방향으로 옌산산맥을 향해 여러 단층이 종단하기 때문에 허베이성에서 발생하는 대지진의 절반 이상이 발생하는 곳이다.[16]

이곳 단층의 대부분은 오래되었지만 인도판유라시아판이 충돌하면서 전달된 힘으로 다시 활성화되어[16] 동부 지각괴는 기록된 역사상 사망자가 많은 지진 10개 중 6개를 차지할 정도로 비정상적으로 많은 지진 활동이 일어난다.[17]

7월 28일 파열된 탕산 단층은 탕산시의 중심 바로 아래를 지나간다.[18] 탕산 단층은 창둥 단층대에 있는 3개 단층분절 중 하나로, 동북동쪽으로 약 36 km로 뻗어 있으며 바로 남쪽에서 아래 '지진' 문단의 지도에서 B로 표시된, 규모 M7.1의 2차 지진이 발생한 남북 주향의 단층과 만나는 지점까지 이어져 있다.[19] 탕산 단층의 남쪽 끝(탕산시에서 약간 구부러져 있음)은 닝허 부근에 있으며 이곳은 본진 발생 수 시간 후 규모 M6.2의 지진이 발생한 곳이며 이듬해 11월에는 규모 M6.9의 지진(지도의 C)가 발생한 곳이다. 탕산 단층은 깊이가 매우 얕은 단층이지만 주변의 다른 단층보다는 좀 더 젊고 깊이가 깊은, 특성이 다른 단층이다.[20]

지진[편집]

심각한 흔들림을 느낀 정도
Map
About OpenStreetMaps
Maps: terms of use
75km
50miles
none
VIII
VII
VI
C
B
A
탕산
보하이만
칭룽
쭌화
창리
닝허
친황다오
톈진
베이징
탕산 지진에서 여러 세기의 흔들림을 느낀 지역을 하나로 이은 등진도 지도.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갈색 선(진도 VII 이상) 안으로 묶어 그렸다. 다이아몬드는 2차례 온 본진(A, B)이며 닝허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M6 이상의 여진은 C로 그렸다.

탕산 지진은 두 차례의 큰 지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지진은 새벽 3시 42분 56초(현지 시간)에 탕산시 남쪽으로 약 12 km 깊이 지점에서 발생했다.[21] 지진 발생 직후에는 규모 M8.1로 추정했으나 이후 모멘트 규모 Mw7.6으로 정정되었다.[1] 하지만 모멘트 규모는 지진으로 방출된 총 에너지만을 측정하며, 실제 지진의 피해는 이 에너지가 지진의 진동으로 얼마나 변환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탕산 지진은 발생 진원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에너지가 흔들림으로 전환되었고 표면파 규모 기준 Ms7.6(중국 표면파 규모 Ms7.8)로 측정되었다.[22] 이 지진은 "경사가 거의 수직에 가까운 N40°E 방향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에서 발생한" 지진으로[23] 지진으로 미끄러진 단층의 동남쪽 지각은 서남쪽으로 약 3 m 미끄러졌다.[18] 이런 움직임은 거의 서-동을 주향으로 하는 지각의 압축력 때문에 발생했다.[24] 표면의 지반 파열은 탕산 중심부에서 약 8 km 길이에 이르는 총 5개 단층 구간에서 보였다.[25]

두 번째 대지진은 같은 날 18시 45분경 1차 대지진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70 km 떨어진 탕산 단층의 동북쪽 끄트머리 바로 남쪽의 롼저우시(오른쪽 지도의 B)에서 규모 Mw7.4, Ms7.4로 발생했다.[26] 이 지진은 탕산 단층의 북쪽 끝을 가로지르는 북북서를 주향으로 하는 사교단층 지역에서 발생했다. 이곳에서의 좌수향 움직임과 탕산 단층에서의 우수향 움직임은 서쪽과 동쪽의 지각괴가 함께 압축되면서 두 지진 사이의 지각괴가 남쪽으로 눌러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어서 규모 M6 이상의 여진이 12차례 발생하는 등 큰 여진이 이어졌다.[27] 이 중 첫 번째 여진은 1차 대지진 발생 후 3시간 반이 지난 7시 17분경 탕산 단층 남쪽 끝인 닝허구 지역(지도에서의 C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규모 Ms6.2이다.[28] 11월에도 닝허 인근에서 규모 Ms6.9의 또 다른 여진이 발생했다. 대부분의 여진은 길이 140 km, 폭 50 km 사이의 진원역 사이에서 발생했다.[29] 여진으로 인해 수많은 건물이 추가 피해를 입었다.[30]

탕산 지진의 여진은 21세기에도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2012년, 2016년, 2019년에도 Ms4.7~4.9의 지진이 발생했다. 2020년 7월 12일에는 탕산 단층 북부에서 규모 Ms5.1의 2020년 탕산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2020년 7월 17일까지 여진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다.[31] 2020년 지진은 탕산의 여러 건물에 경미한 피해를 일으켰다.[32] 2020년 탕산 지진은 1976년 탕산 지진의 여진인지, 아니면 그와 상관없이 일어난 배경지진인지에 대해 과학계 사이에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33]

피해[편집]

영화[편집]

  • 2010년 7월 22일, 《탕산대지진》 개봉.
  • 2010년 11월 4일, 《탕산대지진》 한국 개봉.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내용주
  1. 초기에는 사망자 수치가 불확실하고 그 오차범위가 커서 최대 75만명 사망설을 주장한 곳도 있었다.
출처주
  1. ISC-EHB Event 711732 [IRIS].
  2. ISC-EHB Event 711773 [IRIS].
  3. Xinhua News Agency, 29 July 2017; Chen 등. 1988
  4. Pararas-Carayannis, George (March 2001). 《The Big One: The Next Great California Earthquake; Understanding Why, Where, and when, It Will Happen》. Forbes Pub. ISBN 9780970972507. 
  5. '76 Termed Among Worst in Toll from Earthquakes”. 《The New York Times》. 1977년 1월 24일. 
  6. Housner & He 2002, Prologue.
  7. 夏明方 (2020). 〈家庭的解体与重生:历史视野下的唐山大地震〉. 《文明的"双相"——灾害与历史的缠绕》. 广西师范大学出版社. 79쪽. 
  8. 王瓒玮 (2016년 7월 28일). “唐山大地震四十年:反思与"记忆". 《东方历史评论》.  Reprinted as: 王瓒玮 (2016년 7월 28일). “唐山大地震40年:从死亡人数到天灾还是人祸仍是一地鸡毛”. 《Jiemian》. 2021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6일에 확인함. 
  9. Jennings 1980, 77쪽.
  10. Jennings 1980, 84–85쪽, and see figure 4.14.
  11. Jennings 1980, 84쪽; Xing & Zou 2002, 88쪽.
  12. Guo 2002, 27쪽.
  13.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zha 2002 626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4. Kusky, Windley & Zhai 2007, 3쪽.
  15. Some say 1.8 Ga, others 2.5. See Kusky & Li 2003 and Kusky, Windley & Zhai 2007, 20쪽 for details.
  16. Yang 2002a, 50쪽.
  17. Kusky, Windley & Zhai 2007, 20쪽.
  18. Jennings 1980, 89쪽.
  19. See figure 16 in Zhu 2002, 23쪽, and figure 13 in Guo 2002, 43쪽. The secondary quake occurred on a north oriented section of a fault in a zone that, coming from the southeast, turns north, and then gets complicated.
  20. Guo 2002, 30–31쪽.
  21. Jennings 1980, 69쪽.
  22. Zhu 2002, 6쪽.
  23. Butler, Stewart & Kanamori 1979, 207쪽. See figure 12 (p. 218) for an illustration. See also Zhu 2002, 8쪽, Guo 2002, 33–34쪽.
  24. Lomnitz & Lomnitz 1978, 109쪽; Jennings 1980, 88쪽.
  25. Jennings 1980, 89쪽, and see figure 4.17.
  26. Jennings 1980, 88, 92쪽.
  27. Lomnitz & Lomnitz 1978, 109쪽.
  28. Zhu 2002, 8쪽, and see Table 4, p. 12.
  29. Jennings 1980, 88쪽, and see figure 15 in Guo 2002, 45쪽.
  30. Jennings 1980, 75쪽.
  31. Guo 등. 2022
  32. Liu 2020
  33. Chen, Liu & Wang 2021

참고 문헌[편집]

  • ANSS, 〈Sichuan 1976〉, 《Comprehensive Catalog》, U.S. Geological Survey 
  • Bo, Zhiyue (2010), 〈Chapter 7, Sichuan Earthquake〉, 《China's Elite Politics: Governance and Democratization》, Series on Contempoary China 19, ISBN 978-981-283-672-4 .
  • Cha, Chi-Yuan (August 1976), 〈General Conditions of Earthquake Studies and Actions in China〉 (PDF), Muller, Paul M., 《Proceedings of Lectures by the Seismological Delegation of the PRC》, Special Report 43-32, Jet Propulsion Laboratory, 5–11쪽 . English translation by JPL of a lecture originally published in 1976 in a special issue of the Journal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Japan (in Japanese).
  • Chen, Yong; Tsoi, Kam-Ling; Chen, Feibi; Gao, Zhenhuan; Zou, Qijia; Chen, Zhangli, 편집. (1988), 《The Great Tangshan Earthquake of 1976: An Anatomy of Disaster》, Oxford: Pergamon Press, 153쪽, ISBN 978-0080348759, LCCN 88005916 .
  • Chu, Fung-Ming (August 1976), 〈Outline of Prediction and Forecast of Haicheng Earthquake of M=7.3〉 (PDF), Muller, Paul M., 《Proceedings of Lectures by the Seismological Delegation of the PRC》, Special Report 43-32, Jet Propulsion Laboratory, 11–19쪽 . English translation by JPL of a lecture originally published in 1976 in a special issue of the Journal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Japan (in Japanese).
  • 林[Lin], 泉 [Quan] (1982), 地球的震撼 [The Earth's Shock] (중국어), Beijing, China: 中国地震出版社 [Seismological Press] .
  • Malcolm, Andrew H. (1977년 6월 2일), “Chinese Disclose That 1976 Quake Was Deadliest in Four Centuries”, 《New York Times》, 1쪽 .
  • Stoltman, Joseph P.; Lidstone, John; Dechano, M. Lisa. (2004),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Natural Disasters》, Springer Publishing, ISBN 978-1-4020-2850-2 .

추가 읽기[편집]

  • Qian Gang. The Great China Earthquake. Beijing: Foreign Languages Press, 1989. ISBN 0835122271.
  • James Palmer. Heaven Cracks, Earth Shakes: The Tangshan Earthquake and the Death of Mao's China. New York: Basic Books, 2011. ISBN 978-0-465-01478-1 (hardcover alk. paper) 9780465023493 (ebk. alk. paper).
  • Report on The Great Tangshan Earthquake of 1976: English translation of an extensive Chinese report from 1986.
  • Knotts, Joey (2019년 12월 5일). “Beijing Tremors a Ghostly Reminder of Catastrophic 1976 Tangshan Quake”. 《The Beijinger》.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