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창원 외동지석묘

(창원 외동 지석묘에서 넘어옴)

창원 외동지석묘
(昌原 外洞支石墓)
대한민국 경상남도기념물
종목기념물 제5호
(1974년 2월 16일 지정)
면적11.4m2
수량일원(1기)
시대청동기시대
관리남면학원
위치
주소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원대로 813 (외동)
좌표북위 35° 12′ 51″ 동경 128° 40′ 48″ / 북위 35.21417° 동경 128.68000°  / 35.21417; 128.68000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창원 외동지석묘(昌原 外洞支石墓)는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외동에 있는 고인돌이다.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5호 외동지석묘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지정 사유[편집]

창원 외동지석묘가 위치한 곳은 가음정동 서쪽으로 뻗어 내린 구릉 끝 부분으로, 본래 당산(堂山)의 서쪽 구릉 사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1929년에 웅남소학교(현재 남중학교) 교정 공사 중 돌널무덤[석관묘(石棺墓)]이 확인되어 수습조사되었다. 내부에서는 간돌검[마제석검(磨製石劍)] 1점, 간돌화살촉[마제석촉(磨製石鏃)] 7점, 붉은간토기[적색마연토기(赤色磨硏土器)] 등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청동기시대 무덤이 발견되거나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한다.\n 현재 남아 있는 지석묘는 1950년에 학교 운동장을 조성하면서 지금의 위치로 옮긴 것으로, 바둑판식[기반식(碁盤式)] 지석묘이다. 덮개돌[상석上石]은 정방형의 형태로 길이 292㎝, 너비 280㎝, 두께 135㎝ 정도이며, 고임돌[지석(支石)]이 네 모서리를 받치고 있다. 덮개돌 윗면에는 6개의 홈구멍[성혈(性穴)]이 확인되는데, 모방주술의 일종으로 풍년이나 자식을 기원하는 농경의례로 생각된다.[2]


창원 남중학교 내에 있는 남방식 고인돌로 현재는 1기만 남아 있으나 1929년 웅남소학교 신축 및 1952년 남중학교 교지확장때 수기의 지석묘가 파괴된 것으로 전하고 있다. 방형(方形)의 상석(上石 )을 4매의 지석( 支石)이 받치고 있는 형태로, 상석의 크기는 292cm X 280cm X 135cm 정도이다.[3]

현지 안내문[편집]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4]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지상에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 놓은 탁자식과, 땅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4]

경상남도 창원시 외동에 있는 이 고인돌은 바둑판식으로 덮개돌의 길이는 2.8m이며 받침돌의 길이는 0.88∼0.9m 정도이다. 덮개돌에는 6개의 작은 알구멍<성혈(性穴)>이 있는데, 이것은 풍년을 기원하거나 자식낳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4]

땅속에는 막돌로 쌓아만든 관이 마련되어 있고 돌화살촉,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4]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