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클럭 속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럭속도에서 넘어옴)

마이크로프로세서 클럭 속도는 프로세서의 템포를 설정하는 발진기에 의해 생성되는 초당 펄스 수를 측정한다. 헤르츠(초당 펄스) 단위로 측정된다.

클럭 속도(영어: clock rate, 문화어: 박자속도) 또는 클럭 주파수는 컴퓨터 프로세서의 동작 속도이다. "초당 주기"로 측정하며 헤르츠(Hz) 단위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의 클럭 생성기가 부품의 작동을 동기화하는 데 사용되는 펄스를 생성할 수 있는 주파수를 나타내며[1] 프로세서 속도의 지표로 사용된다. 주파수 헤르츠(Hz)의 SI 단위로 측정된다.

1세대 컴퓨터의 클럭 속도는 헤르츠 또는 킬로헤르츠(kHz) 단위로 측정되었으며,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출시된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PC)는 클럭 속도를 메가헤르츠(MHz)로 측정했으며, 21세기에는 속도가 일반적으로 기가헤르츠(GHz)로 광고된다. 이 지표는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동일한 제품군 내의 프로세서를 비교할 때 가장 유용하다.

평가[편집]

클럭 속도가 반드시 컴퓨터의 속도를 좌우하는 것은 아니다. 자세히 말하면 컴퓨터의 성능을 측정하는 경우 CPU의 클럭 속도가 중요하지만 다른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구성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를테면 프론트 사이드 버스의 속도, 의 클럭, CPU 버스, L1/L2/L3 캐시의 양에 따라 컴퓨터 속도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좀 더 정확한 평가를 위해 벤치마크를 사용한다.

역사[편집]

숫자가 높을수록 빠른 처리 능력을 갖고 있다. 1990년대 초에 대부분의 컴퓨터 회사가 CPU의 클럭 속도로 컴퓨터 속도를 광고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2000년에 인텔의 경쟁자 AMD는 CPU의 클럭 속도 대신 모델 번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 인텔의 어느 정도 높은 클럭 속도가 AMD의 조금 더 낮은 클럭 속도와 동등한 속도를 냈기 때문이었다. 2004년에 인텔도 또한 이와 같은 이름을 사용하였는데 그 까닭은 펜티엄 M 모바일 CPU와 펜티엄 4의 속도에 대한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 문서에는 GFDL 라이선스로 배포된 자유 온라인 컴퓨팅 사전(FOLDOC)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