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당나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10.70.47.145 (토론)님의 2019년 10월 9일 (수) 21:58 판

618년~907년
 

 

6도호부를 포함한 최대 영토.
6도호부를 포함한 최대 영토.
수도장안 (618년 ~ 904년),
낙양 (904년 ~ 907년)
정치
정치체제전제 군주제
황제
618년 ~ 626년
626년 ~ 649년
712년 ~ 756년
904년 ~ 907년

고조 신요제
태종 성황제
현종 명황제
애종
역사
 • 성립618년 6월 18일
 • 안사의 난755년 12월 16일 ~ 763년 2월 17일
 • 멸망907년 6월 1일
인문
공용어중세 중국어
기타
현재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홍콩
마카오 마카오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파키스탄
라오스 라오스
러시아 러시아
베트남 베트남
이란 이란

몽골 몽골


, (唐, 618년 ~ 907년) 또는 당나라[1]수나라오대 십국 시대 사이에 존재했던 중국의 왕조이다. 중국에서는 중국의 역사로 표방하고 있으나 많은 역사학자들은 선비족의 정복왕조로 보고 있다. 당나라 선비족들이 한족(漢族)과 중국을 정복해서 성립된 국가이며 북위부터 시작한 선비족에 복속당한 중국과 한족(漢族)의 역사이기도 하다. 당나라의 수도는 오늘날 시안장안으로, 동시대의 어느 도시들보다도 인구 수가 많았다.

당왕조의 이씨는 수나라와 양씨와 같이 무천진 관롱집단 출신으로 북주,북위 이래 팔주국 십이장군을 칭하는 선비계이다. 북주 때 행해진 선비족 복고정책 때 당왕조의 이씨는 북주(北周)로부터 대야(大野)라는 성씨를 하사받는다. 중국 학계에서는 진인각(陈寅恪)이 당대정치사술론고(唐代政治史述論稿)에서 선비계의 관롱집단에 속하는 조군(趙郡)의 이씨가 (선비족) 당조를 건국했다는 것을 정론으로 하여, 정론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화민국의 학자 조미원(姚薇元)은 북조호성고(北朝胡姓考)에서 당나라는 튀르크계의 고차(高車)에서 기원하였다고 주장하였다[2]

이연은 수나라의 쇠퇴와 붕괴 시기에 권력을 잡아 당나라를 건국했다. 7세기와 8세기의 당나라 기록에 따르면 당나라 정부에 등록된 인구 수는 약 5,000만 명으로 추산된다.[3][4] 중앙 정부가 붕괴되어 인구 수를 제대로 조사하기 어려웠던 9세기에도, 당나라의 인구 수는 8,000만 명 정도로 증가했다고 추정된다.[5][6].하지만 이것은 정확한 통계가 아닌 추측일 뿐이다. 당나라는 오랫동안 안정된 정치를 유지했으나, 안사의 난 이후 중앙집권체계가 쇠퇴하기 시작했다. 수나라 때와 마찬가지로, 당나라는 선비족 8주국 군사들을 통해 백성들을 다스렸다. 사대부들은 과거제나 관리들의 추천을 통해 관직에 등용되었다. 점차 이민족들의 침략에 의해 쇠퇴하고 안사의 난으로 당나라 수도 장안이 유린되면서 당나라는 멸망의 길로 가게 되었다.

중국 도자기 문화가 이 시기에 정점을 찍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7] 중국의 유명한 시인인 이백두보가 당나라 시대에 살았으며, 유명한 화가들인 한간, 장훤, 주방도 당나라 사람이다. 이 시기의 학자들은 다양한 역사책을 출간했으며, 지리서와 백과사전도 많이 출판되었다.[8] 목판 인쇄의 발달과 같은 수많은 기술적 혁신도 당나라 시대 때 일어났다. 당나라 시대에 불교가 중국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정도로 확산되었고, 중국 고유의 불교 종파가 확대되었다. 하지만 당 무종폐불을 선언하면서 불교의 영향력은 쇠퇴했다. 9세기에는 왕조와 중앙 정부가 쇠퇴하기 시작했지만 예술과 문화는 계속 융성했다. 또한 9세기에도 여전히 당나라의 상업 활동과 무역은 지속되고 있었다. 그러나 9세기 후반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인해 관료제 전체가 타격을 입었고, 이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위구르가 당나라의 요청을 받고 안사의 난을 막기 위해 당나라 수도인 장안을 쳐들어가 장안은 불태워지고 많은 당나라 후궁들이 약탈당했다. 당나라 현종은 위구르인들에게 장안에서 물러나길 요청하였고 위구르인 군사들이 장안에서 물러나는 조건으로 당나라 귀족들의 유부녀들은 승자측인 위구르 군인들에게 첩과 노예로 넘겨지게 되었다.[9] 안사의 난으로 인해 쇠퇴하기 시작했던 당나라는 황소의 난 (874–884) 당시 장안과 낙양이 모두 약탈당하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10] 당나라는 황소의 난을 진압하는데 성공했지만, 이 과정에서 황소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 군벌들이 성장했다. 이후 군벌 중 한 명이었던 주전충당 애제를 축출하고 907년 스스로 황제가 되어 후량을 건국함으로써 당나라는 멸망했다. 후량도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에 의해 유린당하고 멸망하게 된다.

역사

초기

수나라 왕조의 외척이며 독고씨 등 친적이 모두 선비족이였던 선비족 출신 이연이 수나라 말기 혼란을 수습하고 퉁구스인들인 8주국 관롱집단 무천진 선비족들과 함께 북주 때부터 피지배민족으로 전락한 한족(漢族)들을 굴복시키고 장안에서 당나라의 개국을 선포하였다.

정관의 치

건국 당시 당나라의 북방에는 돌궐이 위치해 있었다. 북주 북제 때부터 선비족의 국가들은 돌궐에 복속되어 조공을 바쳤다. 돌궐의 4대 카간이었던 타스파르 카간(Taspar Qaghan)은 조공을 바치는 북주와 북제를 두고 "내가 남쪽의 두 아들를 효순하게만 하면 어찌 물자가 없음을 걱정할 필요가 있겠는가"라고 천하에 알릴 정도였다. 당나라 또한 중국인들을 정복하는데 돌궐의 협조가 필요하였다. 돌궐의 도움을 받은 이연은 돌궐 군사와 함께 중국의 장안까지 처들어가 수나라의 수도를 유린하였다. 돌궐에 군사 원조를 받은 이연은 수나라를 멸하고 당나라를 건국하게 된다.

대외확장

당나라와 삼국 간의 전쟁 상황도

태종은 서쪽의 고창국 등 여러 국가를 공격해 정복하고서 책봉을 받았다. 이때 고구려의 장군 연개소문영류왕을 죽였고, 실권 잡고서 보장왕을 옹립했다. 이 사실을 안 태종은 일단은 고구려와 동맹을 맺어 국력을 강화시키는 데 주력했고 그러는 한편 첩자를 파견해 지리를 파악해 요동 일대에 천리장성을 쌓았다는 정보를 얻는다. 그렇지만 아직까지도 태종은 관심을 두지 않았고 오히려 남쪽으로 베트남의 부족들을 토벌해 교지 지역을 얻었다. 고구려를 상대로 전쟁의 빌미를 잡자 군사를 모아 정벌을 떠난다. 당시의 군사는 보병 7만명, 수병 6만명과 기병 3만명으로 추정한다. 고구려의 요동방어선이 무너지자 연개소문은 15만 구원군을 급파하지만, 보병과 기병으로 구성된 태종의 친정군에게 크게 패하고 3만명이 사로잡혔다. 그러나 태종은 안시성을 점령하지 못하고 시간을 끌게 되자, 겨울이 되어 결국은 철수했다. 이후로도 태종이 고구려에 병력을 파견하기도 하지만 번번히 실패했다.

이후 즉위한 고종은 신라의 요청이란 명분으로 출병해서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곧바로 661년 고구려로 향해 평양성을 포위하지만 투르크계 철륵의 반란과 결정적으로 옥저도 행군총관 방효태의 패배와 소정방의 고립 등으로 말미암아 실패했지만, 연남생의 귀순으로 고구려의 내분을 감지하고서 667년 병력을 일으켜 668년 9월 고구려가 멸망한다.

750년에 현종은 석국(石國)이 제대로 조공을 바치지 않는다는 이유로 고구려 출신 장수 고선지(高仙芝)에게 명령하여 석국와의 전쟁을 감행한다. 당나라 군이 승승장구하여 수도인 타슈켄트를 점령하고 장안에서 석국 왕을 처형했다. 그러자 석국 왕자가 당나라 군을 몰아내기 위해 대식국(아랍)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결국 751년 4만 명의 아랍&투르크 연합군이 오늘날의 키르기스스탄에 있는 탈라스 강에서 고선지의 군대와 맞섰다. 당시 세계 최강국인 당나라의 군사력을 자랑하던 당나라 군이었으나, 아랍군이 당이 다민족 군대 인걸 이용해 내분을 일으켜 고선지는 대패했다. 이 전투로 겨우 몇 천 명의 당나라 군사만이 살아 돌아갔고, 아랍이 서역의 패권을 차지해 이슬람의 영향권에 들게 되었다.

중기

측천무후

측천무후는 태종의 후궁이자 고종의 황후였으나 자신에게 반기를 든 세력들을 처참하게 제거함은 물론 자신의 아들이자 황제인 중종과 예종을 연이어 폐하고 자신이 직접 즉위했다. 그렇지만 그녀가 통치한 시기는 태종의 정관의 치에 버금간다 하여 무주의 치라고 불린다. 측천무후는 690년에 황제에 오를 당시 국호를 주로 고치고 수도를 낙양으로 옮겼다.

개원의 치

측천무후 이후 내란으로 잠시 쇠퇴하였다가 현종 때에 다시 부흥하니 이를 개원의 치라고 한다. 이 시기는 이란조로아스터교기독교 교회경교가 전래될 정도로 국제적이고 개방적인 모습을 띠었다. 현종은 안으로는 민생의 안정을 꾀하고 조운 개량과 둔전 개발 등으로 경제를 충실히 하였으며 부병제의 붕괴에 대처하여 신병제를 정비하였다. 또한 동돌궐, 토번, 거란 등의 이민족의 침공을 막았다.

안사의 난과 쇠퇴

안사의 난 상황도

토번, 돌궐 등의 이민족의 당나라를 침공 정복 유린하면서 당나라는 약화된다. 국력이 약화된 당나라는 현종 재위 말기부터 귀족들의 장원토지가 증가하여 각지에서 민란이 일어났다. 755년에는 안사의 난이 일어났는데 이 사건은 중앙 정부의 통치력을 매우 약화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당나라의 요청을 받은 위구르가 당나라의 수도인 장안에 쳐들어가 유린하면서 많은 당나라 귀족들을 끌고갔다. 또한 많은 농민들이 소작농이 되었다.

후기

황소의 난과 당나라의 멸망

당 말기, 황소의 난 상황도

결국 당나라는 조세 제도를 양세법, 군사 제도는 모병제로 바꾸었다. 수많은 반란 속에서 절도사 세력이 커지고, 중앙에서는 환관과 외척이 권력다툼을 벌였다. 안산의 난 때는 위구크 카간국에 도움을 요청하여 위구르 카간국은 도움을 핑계로 당나라 수도인 장안을 유린하면서 당나라는 급속히 쇠티한다. 결국 당나라는 황소의 난을 거쳐 절도사인 주전충에게 멸망당하였고 당왕조의 후손과 여성들은 노비가 되었다. 그 후 주전충도 거란의 요나라에 의해 사로 잡혀 죽는다.

정치 체계

당나라는 3성 6부제를 실시하여, 3성은 중서성(中書省), 문하성(門下省), 상서성(尚書省)으로 나누고, 6부는 이부(吏部), 호부(戶部), 예부(禮部), 병부(兵部), 형부(刑部), 공부(工部)로 나눴다.

율령 체제는 당나라의 행정법으로써 당나라 통치의 기본을 이루었다. 3성 6부로 이뤄진 통치 조직과 지방에 설치한 주, 현 체제로 황제권을 강화하였다. 지방관리는 중앙에서 파견하였다.

토지 제도는 균전제, 조세 제도는 조용조, 군사 제도는 부병제를 실시했다.

경제 체계

당나라는 귀족 중심 사회였고 그들은 과거음서라는 제도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였다.

당나라 때는 차가 처음으로 재배되어서 해외로 많이 수출됐다. 또한 화북 지방에는 2년 3모작이 가능하게 되어 농업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영토가 넓어짐에 따라 비단길을 통한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상업이 발달하고 양저우 같은 도시들이 크게 성장하였다. 또한 화폐 유통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어음인 비전이 사용되었고 (行)이라는 상인 조합도 생겼다.

문화

과거 제도에서는 유교에 관련된 서적에 대한 지식을 테스트했다. 그래서 유학과 문학이 크게 발달하였는데 당나라 때에는 훈고학이라는 것이 크게 발달하였다. 이로 인해 사상의 획일화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문학 역시 귀족 중심의 시가 발달하였는데 이백두보가 대표적인 시인이다.

종교적으로는 불교가 매우 발전하였고 현장이 지은 대당서역기라는 책은 인도동남 아시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당나라 때는 무역이 크게 발달하였기 때문에 조로아스터교,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마니교 등도 전파되었다. 도교는 황실의 지원을 받았다.

당나라의 문화는 아시아 각국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에서도 나라 시대헤이안 시대견당사를 파견하여 당나라 문물을 수입해갔다.

대외 관계

그 당시 나라 시대였던 일본은 때 당나라와 긴밀하게 통교하고 있었다.[11] 당나라와 교역을 하면서도 항상 견제를 하던 발해는 812년 당나라가 신라와 손을 잡고 발해원정에 나서자 일본과 동맹하여 신라를 적대시 하였다. 따라서 당시 동아시아 정세는 신라와 당나라, 발해와 왜의 이분구도를 이루게 되었다. 일본은 836년에 견신라사 파견을 중단하고 이어서 838년에 견당사 파견을 중단하여 발해와의 관계만을 유지했다.[12]

같이 보기

각주

  1. Wilkinson 2013, 6쪽.
  2. 北朝胡姓考(修訂本)中華書局 2007年
  3. Ebrey, Walthall & Palais 2006, 91쪽.
  4. Ebrey 1999, 111, 141쪽.
  5. Du 1998, 37쪽.
  6. Fairbank & Goldman 2006, 106쪽.
  7. Yu 1998, 73–87쪽.
  8. Skaff 2012, 127쪽.
  9. 「長安―絢爛たる唐の都 (角川選書)」(角川書店、1996年)
  10. Eberhard 2005, 189–190쪽.
  11. 연민수 (1998). 《일본역사》. 보고사. 55쪽. ISBN 89-86142-81-3. 
  12. 허홍범 (2006). 《군함 이야기》. 좋은책만들기. 82쪽. ISBN 89-89222-93-1. 

참고 문헌

  • Chinese history (영국, 소책자)
  • 이야기 중국사 (대한민국, 서적)
  • Great dragon of Asia (영국, 소책자)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공용에 당나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중국의 역사
이전 시대 당나라
~
다음 시대
수나라 무주 (당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