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이 문서에서 링크하고 있는 문서에 대한 최근 바뀜이 나와 있습니다. 주시하는 문서의 경우에는 굵은 글씨로 나타납니다.

최근 바뀜 설정 최근 1 | 3 | 7 | 14 | 30일간의 50 | 100 | 250 | 500개 바뀐 문서 보기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비등록 사용자를 숨기기 | 내 편집 숨기기 | 보이기 | 사소한 편집 숨기기 | 문서 분류 보이기 | 위키데이터 보이기 | 정상적으로 보이는 편집 숨기기
2024년 5월 19일 (일) 04:57부터 시작하는 새로 바뀐 문서 보기
 
문서 이름:
약어 목록(도움말):
위키데이터 편집
검토가 필요한 편집
새글
새 문서
잔글
사소한 편집
봇이 수행한 편집
(±123)
문서의 바이트 크기 차이
임시 주시 문서

2024년 5월 17일 (금)

2024년 5월 14일 (화)

2024년 5월 13일 (월)

  • 차이역사 잔글 굴광성 15:15 +231PH.scale 토론 기여(세포 안으로 들어오면 세포 안에 있던 수소이온들을 세포막 밖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세포 밖은 pH가 낮아져서 산성을 띄게 된다. 이렇게 pH가 낮아져야만 생장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2024년 5월 12일 (일)

  • 차이역사 굴광성 21:28 +14LR0725 토론 기여(→‎관찰 5) 태그: 2017 원본 편집
  • 차이역사 잔글 굴광성 21:19 +967PH.scale 토론 기여(1881년 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1882)과 아들 프란시스(Francis Darwin, 1848-1925)는 귀리의 자엽초(coleoptiles) 실험을 통하여 햇빛에 의한 식물의 생장을 조절하는 물질이 귀리의 줄기 끝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윈 부자는 귀리의 자엽초의 꼭대기를 가리고 한쪽 방향에서 빛을 주었을 때에도 자엽초가 빛이 오는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자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렇지만 꼭대기를 가리지 않았을 때에 비해서 빛이 오는 방향으로 자엽초가 구부러지는 정도가 약했다. 꼭대기를 가리면 빛이 오는 방향으로 반응하는 정도가 현저하게 약해지는 사실은 빛이 오는 방향을 인지하는데 있어서 꼭대기 부분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