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대문: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5년 전 (Gcd822님) - 주제: 기술 쪽 의견 제안합니다.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운남초5학년(토론)의 편집을 Gcd822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박대서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번째 줄: 1번째 줄:
박훤(朴萱 )
{{/안내문}}

<!-- 이 토론은 대문에 한정된 내용(새 부분 추가, 디자인 변경 등)만을 다룹니다. 다른 내용은 다음에 남겨 주세요:
(∼丁未1487)
각 글에 대한 토론은 해당 글의 토론 문서에서.

각종 질문은 위키백과:질문방에서.
박훤은 태종 때 좌의정을 지낸 박은의 3남 5녀 중 셋째 아들이다.
기타 내용은 위키백과:사랑방에서.
큰형 규는 참판, 관찰사를 역임하였고, 둘째 형은 강으로 세조 때 총신으로 청백리이다.
English : If you can't speak Korean, please visit Embassy.

français : Si vous ne pouvez pas parler le coréen, consultez l'ambassade.-->
음직(蔭職) 무진(撫鎭)으로 시작하여 호군(護軍), 세조 등극 때 원종공신(原從功臣),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호조참판(戶曹參判)으로서 정조사에 다녀왔다.

명나라 실록에 나오는 대목이다. 조선왕조 사신을 접견하고 연회를 열어 치하했다는 내용이다.

1. 憲宗純皇帝實錄 ○朝鮮國王李瑈遣陪臣朴萱等齎表文及方物······○朝鮮國王李瑈遣陪臣朴萱 等齎表文及方物來朝賀正旦節
2. 憲宗純皇帝實錄 ○己卯朝鮮國王李瑈遣陪臣趙瑾等奉表貢馬······○己卯朝鮮國王李瑈遣陪臣趙瑾等奉表貢馬及方物來朝謝恩賜瑾等及賀正旦陪臣朴萱 等晏 等晏:舊校改晏作宴,下同。

다녀와서 특진관을 하고 통정대부(通政大夫) 수(守) 경주부윤(慶州府尹)을 하였다.
1487년(성종 18) 1월 25일 78세로 별세하고 증직(贈職)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겸(兼) 영경연사(領經筵事) 제수 받았다.

배(配)는 증(贈) 정경부인(貞敬夫人) 능성구씨(綾城具氏)로 아버지는 사헌부(司憲府)집의(執義) 구강(具綱)이고 할아버지는 판안동부사(判安東府使) 구성량(具成亮)이며 외할버지는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여흥(驪興) 민중리(閔仲里)이다. 영의정 구치관이 동서이다

자녀(子女)는 아홉 아들로 돈녕부 도정 숭문(崇文)의 배(配)는 숙부인(淑夫人) 파평윤씨(坡平尹氏)로 부는 좌윤(左尹) 윤자(尹慈)이고 조부는 사간(司諫) 윤수미(尹須彌)이다.
둘째 아들은 연산조에 좌의정을 지낸 숭질(崇質)이다.

2006년 6월 5일에 충남 예산군 대흥면 대야리 산2의 16에 합폄(合窆) 면례(緬禮)하였다.,


== 내용 추가 ==
== 내용 추가 ==

2019년 4월 12일 (금) 22:02 판

박훤(朴萱 )

(∼丁未1487)

박훤은 태종 때 좌의정을 지낸 박은의 3남 5녀 중 셋째 아들이다. 큰형 규는 참판, 관찰사를 역임하였고, 둘째 형은 강으로 세조 때 총신으로 청백리이다.

음직(蔭職) 무진(撫鎭)으로 시작하여 호군(護軍), 세조 등극 때 원종공신(原從功臣),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호조참판(戶曹參判)으로서 정조사에 다녀왔다.

명나라 실록에 나오는 대목이다. 조선왕조 사신을 접견하고 연회를 열어 치하했다는 내용이다.

1. 憲宗純皇帝實錄 ○朝鮮國王李瑈遣陪臣朴萱等齎表文及方物······○朝鮮國王李瑈遣陪臣朴萱 等齎表文及方物來朝賀正旦節 2. 憲宗純皇帝實錄 ○己卯朝鮮國王李瑈遣陪臣趙瑾等奉表貢馬······○己卯朝鮮國王李瑈遣陪臣趙瑾等奉表貢馬及方物來朝謝恩賜瑾等及賀正旦陪臣朴萱 等晏 等晏:舊校改晏作宴,下同。

다녀와서 특진관을 하고 통정대부(通政大夫) 수(守) 경주부윤(慶州府尹)을 하였다. 1487년(성종 18) 1월 25일 78세로 별세하고 증직(贈職)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겸(兼) 영경연사(領經筵事) 제수 받았다.

배(配)는 증(贈) 정경부인(貞敬夫人) 능성구씨(綾城具氏)로 아버지는 사헌부(司憲府)집의(執義) 구강(具綱)이고 할아버지는 판안동부사(判安東府使) 구성량(具成亮)이며 외할버지는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여흥(驪興) 민중리(閔仲里)이다. 영의정 구치관이 동서이다

자녀(子女)는 아홉 아들로 돈녕부 도정 숭문(崇文)의 배(配)는 숙부인(淑夫人) 파평윤씨(坡平尹氏)로 부는 좌윤(左尹) 윤자(尹慈)이고 조부는 사간(司諫) 윤수미(尹須彌)이다. 둘째 아들은 연산조에 좌의정을 지낸 숭질(崇質)이다.

2006년 6월 5일에 충남 예산군 대흥면 대야리 산2의 16에 합폄(合窆) 면례(緬禮)하였다.,

내용 추가

대문에 비한국어권 사용자를 위하여 일본어판&민난어판처럼 대사관과 Help for Non-Korean Speakers로 가는 링크를 마련했으면 좋겠습니다. 정책과 지침, 사용자 모임, 도움말, 방명록, 기부 안내, 모바일판 대문 등 링크 모임이 있는 곳 아래 행에 Embassy, Embajada, 大使館, السفارة, Посольство, Botschaft, Ambassade, 대사관, Tòa đại sứ[[위키백과:대사관|Embassy, Embajada, 大使館, السفارة, Посольство, Botschaft, Ambassade, 대사관, Tòa đại sứ]]Help for Non-Korean Speakers[[위키백과:Help for non-Korean Speakers|Help for non-Korean Speakers]]를 추가하면 어떨까 합니다. --Jason6494 (討論 | 寄與) 2017년 2월 4일 (토) 11:24 (KST)답변

동의합니다. 대문에 왠지 모르겠지만 검색창이 2개 있고, 또 그 부분에 왼쪽 메뉴에 있는 항목들과 대부분 겹치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없애고, 남은 공간을 Help for Non-Korean Speakers 같은 표어로 대사관으로 안내하는 것을 넣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17년 8월 1일 (화) 16:11 (KST)답변

찬성합니다. 좋은 의견인 것 같습니다.--정서원 (토론) 2017년 11월 12일 (일) 13:00 (KST)답변

대문에 '환영합니다' 틀에 대하여

현재 미술이나 사회과학 등의 포털로 가는 링크가 걸려있습니다만, 이들 포털은 관리가 되고 있지 않으며 이는 처음 사용자들에게 위키백과에 대한 나쁜 이미지를 심어줄까에 대한 걱정이 듭니다.

위키백과에 들어와 '환영합니다' 틀을 보는 사람들은 대개 위키백과를 처음 방문하는 사용자 입니다. 제가 위키백과에 처음 들어왔을 때의 기억을 되짚어 보면 각 포털마다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것을 보고 실망감과 왠지 모를 공허함까지 들었던 것 같습니다.

새로운 사용자들을 위하여 기존 포털들에 대한 링크 대신 질문방이나 사랑방, 키다리아저씨 등의 링크를 걸어두는 것은 어떨까요? --호로조 (토론) 2017년 3월 1일 (수) 13:33 (KST)답변

비슷하지는 않지만 연관된 토론으로 기술 사랑방의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링크 토픽이 있겠군요. 기본적으로 대문 및 이외 수정이 가능한 것에 대해 신규 사용자에게 특화되도록 수정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 Tursetic 2017년 3월 1일 (수) 14:22 (KST)답변
그거 참 좋다고 생각해요. 그나마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곳이 사랑방인데 가기가 복잡하다 보니까 거기 일이 투명하게 이뤄지지 않는 것 같은 감도 없지 않아 있고요. --호로조 (토론) 2017년 3월 1일 (수) 16:16 (KST)답변

우선 갈아엎을 만한 부분은 포털 부분과 그 아래 검색창 오른쪽의 링크 정도가 되겠네요. 위키백과:길라잡이, 위키백과:빠른 길라잡이, 위키백과:질문방, 위키백과:도움말위키백과:키다리 아저씨, 사랑방 등의 도움말 및 소통 링크를 넣을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 직접 넣어 보지 않으니 어떻게 배열해야 할지 감이 안 오네요. 위키백과 소개 및 참여하기 부분과 겹치는 것도 좋다고는 볼 수 없으니까요. 사용자:Tursetic/협곡 문서에다가 조만간 정리해 놓겠습니다. + 에... 위키백과:편집 공유를 넣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Tursetic 2017년 3월 19일 (일) 18:40 (KST)답변

@Tursetic 의견 편집 공유란을 들어가보니 마지막 업데이트가 2년 전이니, 차라리 의견 요청란이 사람들을 '커뮤니티'로 끌어들이기가 더 쉽지 않을까 하는 의견입니다. Kingkenny1967 (토론) 2017년 3월 20일 (월) 12:21 (KST)답변
포털은... 이미 죽은 아이 귀 만지는 격인 듯합니다. 좀더... 소통을 강화하는 쪽으로 바꾸어보았음 합니다만......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7년 3월 22일 (수) 05:27 (KST)답변

위키백과 소개 및 항목을 읽는 것 중심의 안내는 대문에서, 편집 및 사용자간 교류를 위한 공동체 관련 링크는 백:사용자 모임에서 안내되고 있습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6월 11일 (월) 10:55 (KST)답변

이동

여기에 있는 이동을 백:이동으로 오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ㅂㄱㅇ (토론) 2017년 7월 21일 (금) 19:08 (KST)답변

이동문서 읽기로, 본문 검색검색 결과로 변경해야 합니다. --Red spread korea · 2017년 8월 1일 (화) 19:34 (KST)답변
"이동"보다는 "찾기"가 적합해 보입니다. 아래 편집요청에 관리자에게 변경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6월 19일 (화) 15:17 (KST)답변

안녕하세요 BellaDaddy 입니다만,

위키백과 페러디를 해보았는데요, 광복절을 맞이하여 대문에 올려주실수있는지요?

아울러 위키 대문한켠에 페러디 신청도 받아주는 칼럼이 생겼면 좋겠다고 조심히 생각을 말해봅니다. 수고하세요. BellaDaddy (토론) 2017년 8월 9일 (수) 21:34 (KST)답변

로고 교체는 백:아님#국가 때문에 조심스러운 면이 있을 것 같고(물론 광복절은 한국어권 전체에서 의미 있는 날이긴 하지만), 위키백과:오늘의 역사 정도에는 그림으로 올려도 되지 않을까 의견을 내봅니다. Bluemersen (+) 2017년 8월 9일 (수) 21:44 (KST)답변
광복직후에는 한반도 전체에서 태극기를 사용했기 때문에 딱히 문제가 없지 않을까요. --95016maphack (토론) 2017년 8월 13일 (일) 22:22 (KST)답변
한국어 사용자가 한반도에만 국한되어 있는게 아니라는 점을 잊고 있었네요. --95016maphack (토론) 2017년 8월 13일 (일) 22:24 (KST)답변

반갑습니다 레오나 (토론) 2019년 1월 5일 (토) 01:14 (KST)답변

편집 요청

  1. 오늘의 그림 부분에서 '더 보기'의 commons:Commons:알찬 그림 링크를 commons:Commons:Featured pictures/ko로 변경 부탁드립니다. 링크된 공용 문서가 이동되었습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6월 8일 (금) 10:30 (KST)답변
  2. inputbox에서 "이동"을 "찾기"로 바꿔주세요. --관인생략 (토론) 2018년 6월 19일 (화) 15:17 (KST)답변
예완료 — regards, Revi 2018년 6월 20일 (수) 10:31 (KST)답변

대문 일부 수정안 제안

현재 위키백과:사용자 모임에 반영한 것과 비슷하게 사용자:관인생략/대문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현재의 대문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역별 간격을 조정 (1, 0.5em 간격을 0.5em으로 조정)
  2. 왼쪽, 오른쪽을 하나의 구역으로 묶음처리,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해 빈칸을 보이지 않게 함
  3. 문단별 제목에 linear-gradient 배경 적용
  4. 들머리:예술 (들머리:미술에서 이동 예정) 링크 교체
  5. 위키백과 참여하기 문단 제목에 링크 추가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7월 4일 (수) 23:38 (KST)답변

gradient가 색이 점점 옅어지는 걸 말하는 거죠? 저는 그냥 단색이 좋은 것 같습니다. 파트별로 확실히 구분이 돼서요. 옅어지게 하는 경우 글자가 많으면 좀 어수선해보입니다. 사용자 모임도 마찬가지입니다. 빈칸 안 나오게 하는 건 좋은 것 같네요 :)--Gcd822 (토론) 2018년 7월 5일 (목) 00:52 (KST)답변
저 역시 3번의 그래디언트보다는 단색으로 가는 쪽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백:사용자 모임 쪽을 오히려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해오던 참입니다.---"밥풀떼기" 2018년 7월 7일 (토) 22:40 (KST)답변
사용자 모임에 적용된 그라디언트는 현재의 대문 디자인과 맞추기 위해 제거하였습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7월 9일 (월) 11:08 (KST)답변
👍좋아요--Gcd822 (토론) 2018년 7월 11일 (수) 11:26 (KST)답변
찬성 --Tebula (토론) 2018년 7월 9일 (월) 15:20 (KST)답변

그라디언트를 제거하였습니다. 그 외의 다른 내용에 의견을 더 듣고 나서 편집 요청을 넣도록 하겠습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7월 13일 (금) 12:41 (KST)답변

대문에서 "위키백과 소개"와 "위키백과 참여하기"가 내용이 겹치고, 너무 많은 자리를 차지합니다. 위치나 크기를 조절하면 어떨까요? -- ChongDae (토론) 2018년 8월 14일 (화) 09:17 (KST)답변

어떻게 바꾸시게요?--Gcd822 (토론) 2018년 8월 14일 (화) 10:33 (KST)답변
기존에 있는 내용에 대해서는 변경하자는 의견이 없어 총의가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디자인만 변경한 저의 제안을 통과시키고 나서 논의해도 될 것 같습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8월 14일 (화) 14:32 (KST)답변
토론 참여가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두 명의 동의는 총의 형성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8년 8월 15일 (수) 03:03 (KST)답변
의견 요청에 걸려있었는데, 그거면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되든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는 얘기 아닌가요?--Gcd822 (토론) 2018년 8월 15일 (수) 06:40 (KST)답변
의견 요청이 오랫동안 걸려 있었고, 컨텐츠의 변화가 아닌 디자인의 사소한 변화 외에는 변경점이 없습니다. 다른 사용자들의 더 많은 의견을 구하는 것은 언제든 좋지만 지금은 그정도의 규모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8월 20일 (월) 09:02 (KST)답변
의견 위에서 의견 낼 때에는 몰랐는데 왼쪽칸과 오른쪽칸의 비중은 현행대로 가는 것이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화면과 느낌상으로는 오른쪽 공간이 너무 답답해진 듯한 느낌이 드네요. --"밥풀떼기" 2018년 8월 22일 (수) 16:53 (KST)답변
이제보니 서로 똑같네요...-_- 혹시 저처럼 오른쪽 칸 부분이 좁게 느껴지시는 분 계신가요? --"밥풀떼기" 2018년 8월 22일 (수) 16:55 (KST)답변
막눈이라 아모 생각이 없이 봐서 눈치 못챘습니다 ㅎㅎ--Gcd822 (토론) 2018년 8월 23일 (목) 05:35 (KST)답변
찬성 다만 성질이 다른 위키백과 소개란과 새로 들어온 소식은 물리시각적으로 분리했으면 합니다 --trainholic (T, C) 2018년 8월 23일 (목) 01:52 (KST)답변
그냥 왼쪽 오른쪽 단 구분만 되어 있는 것 같은데 분리가 좋다면 반대하진 않습니다.--Gcd822 (토론) 2018년 8월 23일 (목) 05:35 (KST)답변

대문 수정안으로 반영 요청

#대문 일부 수정안 제안을 참고해, 사용자:관인생략/대문으로 디자인을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7월 25일 (수) 20:52 (KST)답변

최종 총의를 다시 구하고 다시 요청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8월 21일 (화) 22:20 (KST)답변
특수:차이/22200225 모바일 대문은 고정인가 보네요. 수정안 소스를 그대로 옮겼습니다. 틀을 처리표시하고, 요청을 닫습니다. -- 메이 (토론) 2018년 9월 3일 (월) 22:46 (KST)답변

사회공학(사회혁신공학)

사회공학(社會工學, 영어: social engineering) : 사회혁신공학 -사회의 구조와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공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발전된 기술을 사회개선에 응용하지 않는다면 기술발전이 저절로 사회발전에 공헌되기 어렵다. 시스템공학의 기법과 사회현상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경험적 규칙성을 응용해서 실천적으로 사회문제의 해결을 도모하는 것이 사회공학이다. 사회계획의 중요한 기법의 하나로 사회공학은 포괄적인 사회변혁이나 사회계획에 대해 부분적인 사회구조의 점진개혁을 중시하는 입장에 서있다. 가끔 사회계획, 사회정책, 사회개량, 응용사회학 등과 동의어로 쓰이기도 한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Drlyntz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Drlyntz:이 글은 사회 공학 (정치 과학)에 올리는 게 어떨까요? 혹시 위키백과에 대해 잘 모르시겠다면 위키백과:질문방에 질문해주세요.--Gcd822 (토론) 2018년 8월 10일 (금) 19:12 (KST)답변

위키피디아에 웨이백 머신 링크 인용 제한을 요청합니다

문서 편집자 분들중에는 자신의 지식을 인용하려고 웨이백 머신을 활용합니다. 웨이백 머신은 해당 페이지 주소를 넣고 밑의 캘린더에 해당하는 날짜를 누르면 그 날짜의 페이지 상태가 어땠는지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걸 보여주는 링크를 복사할 수 있고요. 그런데 그 문제는 삭제된 사이트의 과거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잘못 기록되서 삭제된 기사마저 보여줍니다. 만약 그걸로 사실 여부와 무관하게 특정 집단만을 유리하게 하는 내용을 문서에 넣게되면 큰일입니다. 문서는 설명문입니다. 따라서, 논리를 지니고 객관적 개념,관점을 설명해주는 것이 문서의 본 목적이지 객관적 사실을 무시한 특정 집단의 관점을 무조건 지지하는 용도가 아닙니다. 참고로 전 스토킹, 성범죄 관련 문서에서 웨이백 머신으로 되돌린 기사가 인용된 걸 보기도 했어요. 어논 (토론)

@어논: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9년 제6주#위키피디아에 웨이백 머신 링크 인용 제한을 요청합니다로 옮깁니다.--Gcd822 (토론) 2019년 2월 8일 (금) 16:45 (KST)답변

새로 개정된 이름으로 바꿀수 있게 제목 편지도 만들어주세요.

제가 저번에 이름이 Mk2로 바뀐 마케마케의 위성, 136742 S 2015를 편집할 때 이름을 바꿀수 없는 것이 불편하더군요. 개선 부탁드립니다. 우리 태양계 13 행성 (토론) 2019년 2월 8일 (금) 23:49 (KST)답변

@우리 태양계 13 행성: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9년 제6주#새로 개정된 이름으로 바꿀수 있게 제목 편지도 만들어주세요.로 옮깁니다.--Gcd822 (토론) 2019년 2월 10일 (일) 14:08 (KST)답변

기술 쪽 의견 제안합니다.

https://ko.m.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82%AC%EB%9E%91%EB%B0%A9_(%EA%B8%B0%EC%88%A0)#/talk/3 어논 (토론) 2019년 2월 11일 (월) 17:37 (KST)답변

기술 사랑방으로 옮겼습니다.--Gcd822 (토론) 2019년 2월 11일 (월) 18:0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