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티야 왕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03.147.19.10(토론)의 33040895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번역 확장 필요|1=en|2=Kingdom of Castile}}
{{출처 필요|날짜=2022-07-14}}
{{옛 나라 정보
{{옛 나라 정보
|나라이름= 스페인
|나라이름= 스페인
|현지이름= 카스티야 왕국
|현지이름= 카스티야 왕국
|다른표기={{lang|es|Reino de Castilla}}
|다른표기={{llang|es|Reino de Castilla}}<br/>{{llang|la|Regnum Castellae}}
|존속기간_시작=1037년
|존속기간_시작=1065년
|존속기간_끝=1230년
|존속기간_끝=1833년
|p1=레온 왕국
|p1=레온 왕국
|flag_p1= Leon banner.svg
|flag_p1=
|p2=나바라 왕국
|p2=나바라 왕국
|flag_p2= Bandera de Reino de Navarra.svg
|flag_p2=
|s1=카스티야 연합 왕국
|s1=카스티야 연합 왕국
|flag_s1=
|flag_s1= Banner of arms crown of Castille Habsbourg style.svg|국기_경계선=no
|국기_경계선=no
|국기_그림=Estandarte del Reino de Castilla.png
|국기_그림=Royal Banner of the Kingdom of Castile (Variant).svg
|문장_그림=Royal Arms of Castille (1214-15th Century).svg
|문장_그림=Royal Arms of Castille (1214-15th Century).svg
|나라_표어=
|나라_표어=
|국가=
|국가=
|지도_그림=Crown of Castile - Map.gif
|지도_그림=506-Castile 1210.png
|지도_설명={{plainlist | style = padding-center: 0.6em; text-align: center; |
|수도= [[부르고스]], [[톨레도]]
* {{Legend|#CD858B|1210년 카스티야 왕국.}}
}}
|수도=정착 자본 없음{{refn|group=n.|[[Burgos]], [[Valladolid]] and [[Toledo, Spain|Toledo]] were centres of royal authority of the Kingdom and the later Crown of Castile.<ref>Guillén, Fernando Arias. (2013). [http://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03044181.2013.830981?needAccess=true "A kingdom without a capital? Itineration and spaces of royal power in Castile, c.1252–1350"]. ''Journal of Medieval History, Vol. 100''(4).</ref>}}
|수도위치=
|수도위치=
|공용어=[[스페인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 [[아스투리아스어]]
|공용어=[[스페인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 [[아스투리아스어]]
32번째 줄: 38번째 줄:


'''카스티야 왕국'''({{llang|es|Reino de Castilla}})은 [[중세]] [[유럽]], [[이베리아 반도]] 중앙부에 있었던 왕국이다. [[레콩키스타]]에서 주도적 역할을 완수하였으며, 훗날 [[아라곤 왕국]]과 통합하여 통일 [[스페인|스페인 왕국]]의 핵심부가 되었다.
'''카스티야 왕국'''({{llang|es|Reino de Castilla}})은 [[중세]] [[유럽]], [[이베리아 반도]] 중앙부에 있었던 왕국이다. [[레콩키스타]]에서 주도적 역할을 완수하였으며, 훗날 [[아라곤 왕국]]과 통합하여 통일 [[스페인|스페인 왕국]]의 핵심부가 되었다.

== 카스티야 백작령 ==
== 카스티야 백작령 ==
8세기 초에 [[이슬람]]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하여, 기독교 세력은 반도 북단의 [[칸타브리아 산맥]] 이북과 북동부의 [[피레네 산맥]] 기슭 주변에 몰려 있었다. 칸타브리아 산맥의 북쪽에서는 [[아스투리아스 왕국]]이 성립하여 이슬람 세력과 충돌하면서도 서서히 남쪽으로 영역을 넓혀 가고 있었으며, 914년 [[레온]]으로 천도한다.(이후는 [[레온 왕국]]이라고도 한다.) 레온 왕국의 동부 지역은 메세타라는 주위 산들에 둘러싸인 고원이 펼쳐지므로, 항상 이슬람 세력의 침공 루트로 사용되어 전투가 반복되었다. 이 지역의 주민들은 방위 때문에 대부분 성채를 만들었다. 이 지역이 [[카스티야]]로 불리게 된 것은 스페인어로 성을 의미하는 카스티료(castillo)에 유래한다고 한다. 당초 이 땅은 여러 백작령에 엇갈렸으나, 최전선의 군사력 강화를 목적으로서 932년 카스티야 백작령으로 통합됐다. 카스티야 백작 헤루난 곤살레스는 레온 왕국 내 입지를 강화하고, 백작령에 대한 왕국의 지배력을 배척하고 961년에는 사실상 독립했다.
8세기 초에 [[이슬람]]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하여, 기독교 세력은 반도 북단의 [[칸타브리아 산맥]] 이북과 북동부의 [[피레네 산맥]] 기슭 주변에 몰려 있었다. 칸타브리아 산맥의 북쪽에서는 [[아스투리아스 왕국]]이 성립하여 이슬람 세력과 충돌하면서도 서서히 남쪽으로 영역을 넓혀 가고 있었으며, 914년 [[레온]]으로 천도한다.(이후는 [[레온 왕국]]이라고도 한다.) 레온 왕국의 동부 지역은 메세타라는 주위 산들에 둘러싸인 고원이 펼쳐지므로, 항상 이슬람 세력의 침공 루트로 사용되어 전투가 반복되었다. 이 지역의 주민들은 방위 때문에 대부분 성채를 만들었다. 이 지역이 [[카스티야]]로 불리게 된 것은 스페인어로 성을 의미하는 카스티료(castillo)에 유래한다고 한다. 당초 이 땅은 여러 백작령에 엇갈렸으나, 최전선의 군사력 강화를 목적으로서 932년 카스티야 백작령으로 통합됐다. 카스티야 백작 헤루난 곤살레스는 레온 왕국 내 입지를 강화하고, 백작령에 대한 왕국의 지배력을 배척하고 961년에는 사실상 독립했다.
39번째 줄: 46번째 줄:
== 카스티야-레온 왕국 ==
== 카스티야-레온 왕국 ==
1035년에 산초 3세가 사망하자, 나바라 왕국의 영토는 4명의 왕자에 의해서 분할 상속됐다. 이 중에서 카스티야를 상속받은 차남 [[페르난도 1세]]는 카스티야의 왕을 칭하고, 또한 1037년에는 레온 왕국의 [[베르무도 3세]]를 물리 치고 레온 왕위를 획득한다. 이렇게 카스티야-레온 왕국이 탄생하였다.
1035년에 산초 3세가 사망하자, 나바라 왕국의 영토는 4명의 왕자에 의해서 분할 상속됐다. 이 중에서 카스티야를 상속받은 차남 [[페르난도 1세]]는 카스티야의 왕을 칭하고, 또한 1037년에는 레온 왕국의 [[베르무도 3세]]를 물리 치고 레온 왕위를 획득한다. 이렇게 카스티야-레온 왕국이 탄생하였다.

== 각주 ==
{{각주}}
<references group="n."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2년 7월 25일 (월) 20:18 판

카스티야 왕국
스페인어: Reino de Castilla
라틴어: Regnum Castellae

 

1065년~1833년
문장
문장
alt= *   1210년 카스티야 왕국.
  •   1210년 카스티야 왕국.
수도정착 자본 없음[n. 1]
정치
정치체제군주제
인문
공용어스페인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 아스투리아스어
종교
종교로마 가톨릭

카스티야 왕국(스페인어: Reino de Castilla)은 중세 유럽, 이베리아 반도 중앙부에 있었던 왕국이다. 레콩키스타에서 주도적 역할을 완수하였으며, 훗날 아라곤 왕국과 통합하여 통일 스페인 왕국의 핵심부가 되었다.

카스티야 백작령

8세기 초에 이슬람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하여, 기독교 세력은 반도 북단의 칸타브리아 산맥 이북과 북동부의 피레네 산맥 기슭 주변에 몰려 있었다. 칸타브리아 산맥의 북쪽에서는 아스투리아스 왕국이 성립하여 이슬람 세력과 충돌하면서도 서서히 남쪽으로 영역을 넓혀 가고 있었으며, 914년 레온으로 천도한다.(이후는 레온 왕국이라고도 한다.) 레온 왕국의 동부 지역은 메세타라는 주위 산들에 둘러싸인 고원이 펼쳐지므로, 항상 이슬람 세력의 침공 루트로 사용되어 전투가 반복되었다. 이 지역의 주민들은 방위 때문에 대부분 성채를 만들었다. 이 지역이 카스티야로 불리게 된 것은 스페인어로 성을 의미하는 카스티료(castillo)에 유래한다고 한다. 당초 이 땅은 여러 백작령에 엇갈렸으나, 최전선의 군사력 강화를 목적으로서 932년 카스티야 백작령으로 통합됐다. 카스티야 백작 헤루난 곤살레스는 레온 왕국 내 입지를 강화하고, 백작령에 대한 왕국의 지배력을 배척하고 961년에는 사실상 독립했다.

1029년 카스티야 백작 가르시아-산체스가 암살되자 그 여동생을 왕비로 데리고 있던 나바라 왕국의 산초 3세가 백작령을 계승하였으므로, 나바라 왕국에 병합했다. 이즈음, 이베리아 반도 중부 및 남부의 이슬람권(알안달루스)에서는 점차 우마이야 왕조가 내분으로 쇠퇴하면서 "타이파"로 불리는 이슬람 소국이 난립하는 군웅할거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카스티야-레온 왕국

1035년에 산초 3세가 사망하자, 나바라 왕국의 영토는 4명의 왕자에 의해서 분할 상속됐다. 이 중에서 카스티야를 상속받은 차남 페르난도 1세는 카스티야의 왕을 칭하고, 또한 1037년에는 레온 왕국의 베르무도 3세를 물리 치고 레온 왕위를 획득한다. 이렇게 카스티야-레온 왕국이 탄생하였다.

각주

  1. Guillén, Fernando Arias. (2013). "A kingdom without a capital? Itineration and spaces of royal power in Castile, c.1252–1350". Journal of Medieval History, Vol. 100(4).
  1. Burgos, Valladolid and Toledo were centres of royal authority of the Kingdom and the later Crown of Castile.[1]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