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협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리 관습에서 넘어옴)

공업소유권의 보호를 위한 파리 협약(Paris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Property)은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의 주관 아래 1883년 3월 20일 프랑스 파리에서 서명된 최초의 지적재산권 협정 중의 하나이다. 이 협정에 따르면 한 나라의 특허를 포함한 지적재산 체계는 다른 나라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및 상호, 산지표시 및 원산지명명 등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불공정경쟁을 억제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3대 원칙이 있는데, 내국민 대우의 원칙, 우선권 제도, 각국 산업 재산권 독립의 원칙이 있다.

그것은 하나의 계약한 나라에서 출원자는 그 최초의 등록일을 다른나라에서의 유효 등록일로 사용할 수 있다.

협약의 보호 대상[편집]

파리 협약의 1조 2항에 따르면, 파리 협약의 보호 대상은 특허, 실용 신안, 상표, 서비스, 마크 및 상호, 원산지 표시 또는 원산지 명칭 및 부정 경쟁의 방지이다. 파리 협약 6조 6항에 따라서, 서비스 및 마크의 보호 형태는 각국의 국내법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