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경성시가도 (1927).jpg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본 파일(2,232 × 1,661 픽셀, 파일 크기: 4.71 MB, MIME 종류: image/jpeg)

파일 설명

묘사
한국어: <경성시가도京城市街圖>는 1927년에 발행한 1:7,500 지도로서 사대문 안을 중심으로 한 강북지역을 그린 지도이다. 저작권소유는 조선총독부이며, 판매자는 소림우칠조선지도부조선지도부小林又七朝鮮地圖部이고, 인쇄소는 조선인쇄주식회사朝鮮印刷株式會社이다. 1923년 12월에 인쇄 · 발행된 것을 1927년 4월에 3회 수정하여 인쇄한 것이다.

지도의 특색으로는 방안을 표시한 점과 함께 색인(정동리와 관청 · 회사 · 학교 등)과 범례를 지도 밖 왼쪽에 둔 점, 시가지 표시에는 지번을 작은 글씨로 적어 놓아 지적도의 성격도 겸한 점, 주요 건물들의 배치를 사실적으로 표기함으로써 조선총독부의 식민지배기구의 틀이 갖추어진 경성의 시가 모습이 현실감 있게 묘사되어 있다. 경복궁 안에는 완공된 총독부청사('日' 자형字形)가 있고, 태평로에는 경성부청사와 경성일보사 건물도 보인다. 소공동 일대의 조선호텔 · 중국영사관支那領事官 · 조선은행 본점 · 중앙우체국 등도 표기되어 있다. 거의 동일한 시기에 완성된 조선총독부(1926), 경성부청(1926), 경성역사(1925) 등 식민지 배관청의 재배치는 조선건국이래 한성부의 상징적 남북축을 형성하였던 북악에서 남산으로 이어지는 경관축 및 도시구조의 개편을 가져왔다. 황토현에서 만나는 육조거리와 종로, 보신각에서 만나는 종로와 남대문로의 '丁'형 도로 체계는 태평로의 개설과 주요 결절점에 주요 식민지배기구가 들어서면서 조선총독부 · 경성형 축으로 대치되었다. 또한 남산에 조선신궁(1925)이 건축됨으로써 경복궁이 위치한 북악에서 남산의 국사당으로 이어지는 조선신궁으로 이어지는 상징 축으로 바뀌었다.

한편 현 서울시립미술과 자리에 신축 예정인 경성재판소는 '법원신축장'이라는 표기와 함께 건물외형에 맞게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대학로 구서울대학교 자리에 신축예정이던 경성제국대학 등 신축중이거나 신축이 예정되어 있는 공공시설은 점선으로 표기되었다.
날짜
출처 서울역사아카이브 > 서울지도 > 근현대지도 > 서울지도 > 경성시가도 (아카이브 번호: H-TRNS-67483-785)
창작자
조선총독부
지리 참고 Wikimaps Warper에서 지도 지리를 참고하기 부적절한 경우에 숨기려면 warp_status = skip로 설정하세요.


라이선스

This is a faithful photographic reproduction of a two-dimensional, public domain work of art. The work of art itself is in the public domain in its source country for the following reason:
이 저작물은 1910년과 1945년 사이 대한민국에서 처음 제작되었기 때문에 대한민국일본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며, 다음 각 호에 따라 저작권이 소멸하였습니다.
Public domain
일본에서 만들어진 이 저작물은 저작자(공동저작물에서는 최후에 사망한 저작자)의 사망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를 시작으로 50년을 경과한 것이므로 일본의 저작권법 제51조 및 제57조의 규정을 따라 저작권의 보호기간이 만료되었습니다. 주의: 1956년 12월 31일 이전에 촬영된 사진은 {{PD-Japan-oldphoto}}를, 1953년 이전에 제작된 영화는 {{PD-Japan-film}}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You must also include a United States public domain tag to indicate why this work is in the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Note that this work might not be in the public domain in countries that do not apply the rule of the shorter term and have copyright terms longer than life of the author plus 50 years. In particular, Mexico is 100 years, Jamaica is 95 years, Colombia is 80 years, Guatemala and Samoa are 75 years, Switzerland and the United States are 70 years, and Venezuela is 60 years.

Public domain
이 파일은 대한민국에서 저작재산권 보호기간이 만료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대한민국 현행 저작권법 제39조부터 제43조까지의 내용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관할 아래 있는 모든 저작물은 저작자(공동저작물은 맨 마지막으로 사망한 저작자)가 사망한 후 70년, 법인 등이 작성한 업무상저작물은 공표한 때부터 70년이 경과하면 저작재산권이 소멸됩니다. (1953년 이전에는 30년, 2013년 7월 이전에는 50년)

또한 현행 저작권법 제49조에 의해 개인인 저작재산권자가 상속인 없이 사망하거나, 법인 또는 단체가 해산되어 민법 또는 그밖의 법률에 의해 저작재산권이 국가에 귀속될 때도 저작권이 소멸합니다.

저작권법(법률 제3916호, 시행 1987.7.1.) 부칙 제2조 제1항 및 구 저작권법(법률 제432호, 시행 1957.1.28.) 제35조 제1항, 제36조, 제37조, 제39조에 따라, 1976년 12월 31일 이전에 창착된 사진저작물 및 사진술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작된 사진저작물은 저작재산권이 소멸되었습니다.


English  日本語  한국어  조선말  македонски  русский  简体中文  繁體中文  +/−

You must also include a United States public domain tag to indicate why this work is in the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일부 국가는 저작권을 사후 70년보다 더 길게 적용하고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멕시코는 100년, 자메이카는 95년, 콜롬비아는 80년, 과테말라와 사모아는 75년을 저작권 보호 기간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국가에서 이 작품은 퍼블릭 도메인이 아닐 수 있으며, 저작권 상호주의 또한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저작물은 저작자의 사망일 및 소속 관할권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퍼블릭 도메인에 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PD-North Korea}}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안내: 만약 저작물이 대한민국 밖에서 처음 제작되었다면, 이 라이선스 태그가 아닌 저작물이 제작된 국가별 라이선스 태그를 적용해야 합니다.


사진 저작물의 경우 {{PD-Korea-1910-1945-photo}}를, 동영상 저작물의 경우 {{PD-Korea-1910-1945-film}}를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It is also in the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following reason:
Public domain
이 작품은 1929년 1월 1일 이전에 출판하였으므로 미국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The official position taken by the Wikimedia Foundation is that "faithful reproductions of two-dimensional public domain works of art are public domain".
This photographic reproduction is therefore also considered to be in the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In other jurisdictions, re-use of this content may be restricted; see Reuse of PD-Art photographs for details.

العربية  Deutsch  English  español  français  Bahasa Indonesia  italiano  日本語  македонски  മലയാളം  polski  português  русский  sicilianu  slovenščina  Türkçe  中文  中文(中国大陆)  中文(简体)  中文(繁體)  中文(臺灣)  +/−


KOGL Type 1

이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표시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자표시: Seoul Museum of History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 저작물 변경: 2차적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해야 합니다.

설명

이 파일이 나타내는 바에 대한 한 줄 설명을 추가합니다

이 파일에 묘사된 항목

다음을 묘사함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22년 11월 4일 (금) 19:392022년 11월 4일 (금) 19:39 판의 섬네일2,232 × 1,661 (4.71 MB)밥풀떼기Uploaded a work by 서울역사박물관 from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New/NR_archiveView.do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아카이브 - 근현대] with UploadWizard

다음 문서 1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