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혜화문 현판 탑본.jpg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본 파일(5,602 × 2,892 픽셀, 파일 크기: 1.87 MB, MIME 종류: image/jpeg)

파일 설명

설명
한국어: 조선시대에 도성을 에워싸는 성곽에 설치한 네 개의 소문(小門) 가운데 하나인 혜화문(惠化門) 현판의 탑본이다. ‘惠化門’이라고 횡으로 쓴 대자해서(大字楷書)를 양각(陽刻)으로 판각한 현판을 종이에 먹으로 탑본한 것이다. 혜화문은 도성의 북문과 동문 사이에 위치하였으므로 ‘동소문(東小門)’이라고도 불렸으며, 현재의 서울시 성북구 동소문동에 위치해 있었다. 1397년에 성곽을 축조할 때 함께 세워졌으며, 1684년(숙종10) 문루(門樓)를 새로 지은 후 20세기초까지 보존되었다. 그러나 문루가 퇴락하자 1928년 도시의 확장과 함께 헐렸으며 이후까지 남아 있던 홍예는 일제강점기에 전찻길을 내면서 마저 헐려 없어졌다. 2008년 현재의 혜화문은 1992년에 재건된 것이다.
날짜
출처 국립고궁박물관[1]
저자 미상Unknown author

라이선스

KOGL Type 1

이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표시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자표시: 국립고궁박물관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 저작물 변경: 2차적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해야 합니다.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21년 1월 19일 (화) 20:402021년 1월 19일 (화) 20:40 판의 섬네일5,602 × 2,892 (1.87 MB)SadopaulUploaded a work by unknown from 국립고궁박물관[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00013579CI&searchGubun=ALL1] with UploadWizard

다음 문서 1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