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화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elcome to Chemistry Portal
화학 포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화학물질의 성질, 조성, 구조, 변화 등에 대해서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정의됩니다.

화학은 이미 존재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특정한 목적에 맞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는 길을 제공하며, 이는 농작물의 증산, 질병의 치료 및 예방, 에너지 효율 증대, 환경오염 감소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자세히 읽기...

알찬 글
앙투안 로랑 드 라부아지에
앙투안 로랑 드 라부아지에
앙투안로랑 드 라부아지에(Antoine-Laurent de Lavoisier, 1743년 8월 26일 ~ 1794년 5월 8일)는 프랑스화학자이다. 근대 화학의 아버지라 불린다. 그는 뛰어난 실험가였으며 화학 이외의 다른 방면에서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여러 공직에 있기도 하였다. 그는 연소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주장하여 플로지스톤설을 폐기하면서 화학을 크게 발전시켰고, 산화 과정에서의 산소의 역할이나 산화나 호흡 간의 정량적인 유사점 등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또한 그는 화학 반응에서의 질량 보존의 법칙을 확립하였으며 원소화합물을 구분하여 근대 화합물 명명법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화학에 정량적인 방법을 도입한 최초의 학자 중 한명이기도 하다. 라부아지에의 새로운 연소 이론은 산소와 연관된 여러 가지 반응에 적용되었으며 호흡, 발효, 부패 등의 현상을 설명하는 데도 도입되었다. 또한 새로운 이론의 도입은 수많은 새로운 염기, 그리고 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수많은 화합물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방법이 필요하였으며 이는 곧 화학적 명명법 정리로 이어졌다. 이와 함께 원소의 개념 역시 확장되어 재정립되었다. 이러한 체계의 확립은 근대화학의 기초를 이루었으며, 이를 ‘화학 혁명’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 주의 화합물

아세트산(영어: acetic acid) 또는 초산(醋酸)은 대표적인 카복실산 중 하나이다. 분자식CH3COOH이다. 식초의 주성분으로 3~5%정도 함유되어 있다. 상온에서는 무색의 자극성 강한 냄새를 가진 신맛이 있는 액체로 존재한다. 녹는점은 16.7°C, 끓는점은 118.1°C이다.

Bacterium aceti와 같은 세균에탄올산소를 이용하여 아세트산 발효를 일으켜 아세트산을 생산할 수 있다. 화학 반응을 통해서 아세트산을 합성할 때는 메탄올일산화 탄소를 반응시키는 방법이 있다. 아세트산은 체내에서 당, 아미노산, 지방 등의 대사의 결과 생성되기도 한다.
이 주의 원소

질소(窒素, nitrogen)는 비금속 화학 원소로 기호는 N이고 원자 번호는 7이다. 일반적으로 색깔, 냄새, 맛이 없는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질소는 지구 대기의 78 퍼센트를 차지하며, 모든 생명 조직의 구성물이다. 또한 질소는 아미노산, 암모니아, 질산 그리고 시안화물과 같은 중요 화합물을 구성하는 물질이기도 하다. 질소는 1772년 다니엘 러더포드에 의해서 처음으로 원소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1776년 앙투안 라부아지에에 의해서도 증명되었다.

질소는 대기에서 발견되는데, 그 양은 부피백분율로 대기의 78.09%, 질량백분율로 75.54%를 차지한다. 질소는 지표상에서 화성암의 형태로도 존재하지만, 다른 원소에 비해서 많은 양이 존재하고 있지는 않다. 질소는 태양 대기, 흑점, 성운 등에서도 발견된다. 또한 질소는 생명체에 있어서 단백질, 알칼로이드 등의 구성 원소로써 필수적인 성분이다.
이 주의 화학자

다나카 고이치(田中耕一, 1959년 8월 3일 ~ )는 일본의 과학자이다. 연성 레이저 이탈(soft laser desorption) 기법으로 단백질같은 고분자 물질의 질량을 순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을 개발했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쿠르트 뷔트리히, 존 펜 등과 함께 2002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도호쿠 대학에서 학사만 마치고 시마즈 제작소에 입사하여 평범한 엔지니어로 근무하다 노벨상을 수상하게 되어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다. 역대 과학분야 수상자중 가장 나이가 어리고, 대학원 경력이 없이 학사만 마친 유일한 수상자이다. 연성 레이저 이탈(soft laser desorption) 기법도 실험중 실수로 글리세린에 고체 분말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분류


이 주의 그림

탄소 원자 60개로 이루어진 풀러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