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쪽무릎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외측슬상핵에서 넘어옴)

외측슬상핵
시상의 신경핵들. 좌측 하단에 무릎 모양의 슬상핵(geniculate nucleus)가 보인다.
정보
상위 구조시상
기관계시각계
식별자
라틴어Corpus geniculatum laterale
두문자어LGN
NeuroNames352
NeuroLex IDbirnlex_1662
TA98A14.1.08.302
TA25666
FMA62209

가쪽무릎핵(lateral geniculate nucleus, LGN) 또는 가쪽무릎체 또는 외측슬상체핵 또는 외측슬상체변연계시상의 외측 슬상체 속에 모여 있는 신경 세포체의 집단이다. 시상의 후방부에 무릎 모양으로 튀어나온 두 신경핵 중 바깥측에 위치하여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었다. 망막에서 출발한 시신경이 도달하는 장소 중 하나로, 시각 정보를 대뇌 피질에 전달하기 전에 거치는 장소이다.

구성[편집]

외측슬상핵은 M-세포층(Magnocellular cells), P-세포층(Parvocellular cells), 그리고 K-세포층(Konioceullar cell)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슬상핵 내부의 세포층 구성.
종류 크기* 망막신경절세포 중개하는 정보 위치 반응 숫자
큰세포성 세포 (Magnocellular cells) 파라솔 세포 움직임, 깊이, 밝기에 민감함. 1, 2층 빠름 ?
작은세포성 세포 (Parvocellular cells) 작음 난쟁이 세포 과 형태 (세부적인 특징) 3~6층 느림 ?
먼지세포성 세포 (Koniocellular cells) 극히 작음 이중층 세포 각각의 M층과 P층의 사이

*크기는 세포체와 수지상 나무의 크기를 의미하지만 수용 영역의 크기도 마찬가지이다.

가쪽무릎핵의 M세포층, P세포층, K세포층의 이름은 모두 이들에게 신호를 전달해주는 망막 신경절 세포의 이름에 따라 이름붙여졌다.[1]:269 이들 중 K세포층의 경우 기능이 아직 완전히 알려져있지 않다.[2]

PGO[편집]

수면시 관촬되는 뇌파중 하나로 PGO파는 REM수면 및 꿈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것으로 알려져있다. 이 때 PGO는 다리뇌(pons), (외측)슬상핵(geniculate) 그리고 후두엽피질(occipital)을 가리킨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Purves, Dale; Augustine, George; Fitzpatrick, David; Hall, William; Lamantia, Anthony-Samuel; White, Leonard (2011). 《Neuroscience》 5.판. Sunderland, Mass.: Sinauer. ISBN 978-0878936953. 
  2. White, BJ; Boehnke, SE; Marino, RA; Itti, L; Munoz, DP (2009년 9월 30일). “Color-related signals in the primate superior colliculus”.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9 (39): 12159–66. doi:10.1523/JNEUROSCI.1986-09.2009. PMC 6666157. PMID 19793973. 

참조[편집]

  • (우리말샘) 외측슬상핵, 내측슬상핵, 슬상핵, 렘(REM)수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