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푸록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나세프에서 넘어옴)

세푸록심
Skeletal formula of cefuroxime
Ball-and-stick model of the cefuroxime molecule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6R,7R)-3-{[(Aminocarbonyl)oxy]methyl}-7-{[(2Z)-2-(2-furyl)-2-(methoxyimino)acetyl]amino}-8-oxo-5-thia-1-azabicyclo[4.2.0]oct-2-ene-2-carboxylic acid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55268-75-2
ATC 코드 J01DC02 S01AA27 QJ51DC02
PubChem 5361202
드러그뱅크 DB01112
ChemSpider 4514699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6H16N4O8S 
분자량 ?
SMILES eMolecules & PubChem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공복 때 투여 시 37%, 식사 후 투여 시 52% (경구)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
생물학적 반감기 80분
배출 66~100%가 대사되지 않은 채 소변으로 배설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B
법적 상태
  • AU: S4 (처방전 필요)
  • In general: ℞ (Prescription only)
투여 방법 근육 주사, 정맥 주사, 경구 투여

세푸록심(Cefuroxime)은 지나세프(Zinacef)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2세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1]로, 다양한 세균 감염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된다.[2] 적응증에는 폐렴, 수막염, 중이염, 패혈증, 요로감염증, 라임병 등이 있다.[3] 경구 투여, 정맥 주사, 근육 주사로 투여한다.[3]

흔한 부작용에는 구역질, 설사, 알레르기 반응, 주사 부위 통증이 있다.[3] 드물지만 심한 부작용에는 디피실리균 감염증, 아나필락시스,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등이 있다.[3] 임신수유 중 사용은 안전하다고 여겨진다.[4] 2세대 세팔로스포린에 속하며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을 죽인다.[3]

특허가 출원된 것은 1971년, 의료용 사용이 승인된 것은 1977년이다.[5]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6] 2020년 기준, 미국에서 한 해 동안 80만 건 이상 처방되어, 325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제로 기록되었다.[7]

의학적 사용[편집]

세푸록심은 포도상구균연쇄상구균의 감수성 있는 균주 등 다양한 세균에 효과를 보인다. 또한 일부 그람 음성균에도 활성을 가진다.[8] 여타 세팔로스포린과 마찬가지로 베타-락타메이스에 감수성이 있기는 하지만, 그 정도가 덜하다. 따라서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임균, 보렐리아 등에 효과가 강하다. 또한 다른 2세대 세팔로스포린과 달리 뇌혈관장벽을 통과 가능하다.[9]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서는 백내장 수술 후 세푸록심 안구내 주사가 술후 안구내염 발생 가능성을 낮춘다는 고품질 근거를 발견했다.[10]

각주[편집]

  1. Katzung B (2018).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McGraw Hill. 803쪽. 
  2.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76》 76판. Pharmaceutical Press. 2018. 518쪽. ISBN 9780857113382. 
  3. “Cefuroxime Sodium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9년 3월 22일에 확인함. 
  4. “Cefuroxime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2019년 3월 3일에 확인함. 
  5. Fischer J, Ganellin CR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John Wiley & Sons. 493쪽. ISBN 9783527607495. 
  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7. “Cefuroxime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2년 10월 7일에 확인함. 
  8. “Appendix 5 – Antibiotic overview”. 《Wellington ICU Drug Manual》 (영어). 2023년 4월 7일에 확인함. 
  9. Root RK, Waldvogel F, Corey L, Stamm WE (1999).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A Practical Approach》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259쪽. ISBN 9780195081039. 
  10. Gower EW, Lindsley K, Tulenko SE, Nanji AA, Leyngold I, McDonnell PJ (February 2017). “Perioperative antibiotics for prevention of acute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 (2): CD006364. doi:10.1002/14651858.CD006364.pub3. PMC 5375161. PMID 28192644. 

외부 링크[편집]

  • “Cefuroxim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