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noplogaster cornuta skeletal.svg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본 파일(SVG 파일, 실제 크기 933 × 600 픽셀, 파일 크기: 94 KB)

파일 설명

설명
English: Fangtooths are beryciform fish of the family Anoplogastridae (sometimes spelled "Anoplogasteridae") that live in the deep sea. The name is from Greek anoplo meaning "unarmed" and gaster meaning "stomach". With a circumglobal distribution in tropical and cold-temperate waters, the family contains only two very similar species in one genus, with no known close relatives: the common fangtooth, Anoplogaster cornuta, found worldwide; and the shorthorned fangtooth, Anoplogaster brachycera, found in the tropical waters of the Pacific, Indian, and Atlantic Ocean.
Key
  1. Forked caudal fin
  2. Dorsal fins
  3. Bony fortified sideline
  4. Weberian apparatus
  5. Octic
  6. Olfactory
  7. Dentary bone
  8. Palatoquadrade
  9. Mandibular arch
  10. Pelvic spine
  11. Pelvic fin
  12. Pectoral fin
  13. Caudal peduncle and Anal fin
  14. Forked caudal spine
Español: Anoplogaster brachycera es una especie de pez abisal de aspecto terrorífico, de la familia Anoplogastridae. Son de aguas profundas, distribución en zonas tropicales y templadas, la familia contiene sólo dos especies muy similares que no conoce parientes cercanos: Anoplogaster cornuta, que se encuentra en todo el mundo, y Anoplogaster brachycera, que se encuentra en la zona tropical de del Pacífico y Océano Atlántico.
날짜
출처 다음을 기초로 한 자작: Anoplogaster cornuta1.jpg다음을 사용한 자신의 작품:
 
This vector image was created with Inkscape, and then manually edited
.
저자 원본:
Emma Kissling  (–1913)  wikidata:Q33111991
 
다른 이름
Emma Kißling, Emma Freytag-Kissling, Emma Freytag
설명 독일의 illustrator
출생일/사망일 1860s
date QS:P,+1860-00-00T00:00:00Z/8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1913년 2월 4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작업 시기 1905년 - 1913년
date QS:P,+1950-00-00T00:00:00Z/7,P1319,+1905-00-00T00:00:00Z/9,P1326,+1913-00-00T00:00:00Z/9
작업 공간
전거 통제
creator QS:P170,Q33111991
벡터화: Wilfredor
 
W3C-validity not checked.
 
This vector image was created with Inkscape, and then manually edited
.

Featured 모습

위키미디어 공용위키백과

이 파일은 위키미디어 공용 (알찬 그림)에서 알찬 이미지였으며 최우수 이미지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이 파일은 스페인어 위키백과 (Recursos destacados)에서 알찬 이미지였으며 최우수 이미지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비슷한 품질의 이미지를 알맞은 라이선스로 배포할 수 있다면, 파일을 올린 후에 저작권 태그를 붙여서 후보로 등록 해주세요.

이 그림은 고화질 그림 지침에 적합한 것으로 인정을 받아 선정된 고화질 그림입니다.

العربية  جازايرية  беларуская  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  български  বাংলা  català  čeština  Cymraeg  Deutsch  Schweizer Hochdeutsch  Zazaki  Ελληνικά  English  Esperanto  español  eesti  euskara  فارسی  suomi  français  galego  עברית  हिन्दी  hrvatski  magyar  հայերեն  Bahasa Indonesia  italiano  日本語  Jawa  ქართული  한국어  kurdî  Lëtzebuergesch  lietuvių  македонски  മലയാളം  मराठी  Bahasa Melayu  Nederlands  Norfuk / Pitkern  polski  português  português do Brasil  rumantsch  română  русский  sicilianu  slovenčina  slovenščina  shqip  српски / srpski  svenska  தமிழ்  తెలుగు  ไทย  Tagalog  Türkçe  toki pona  українська  vèneto  Tiếng Việt  中文  中文(简体)  中文(繁體)  +/−

라이선스

나는 아래 작품의 저작권자로서, 이 저작물을 다음과 같은 라이선스로 배포합니다:
w:ko: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동일조건변경허락
이용자는 다음의 권리를 갖습니다:
  • 공유 및 이용 – 저작물의 복제, 배포, 전시, 공연 및 공중송신
  • 재창작 – 저작물의 개작, 수정, 2차적저작물 창작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 저작자표시 – 적절한 저작자 표시를 제공하고, 라이센스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고, 변경사항이 있는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당신은 합리적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사용권 허가자가 당신 또는 당신의 사용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없습니다.
  • 동일조건변경허락 – 만약 당신이 이 저작물을 리믹스 또는 변형하거나 이 저작물을 기반으로 제작하는 경우, 당신은 당신의 기여물을 원저작물과 동일하거나 호환 가능한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여야 합니다.
  1. Database of Scientific Illustrators: Emma Freytag.
  2. (1958년) Gustav-Freytag-Blätter "Geschenkweise erhielt das Archiv einen Band der Beilage zu den „Kreuzburger Nachrichten" aus den Jahren 1928 — 1932, die unter dem Titel „Aus der Heimat" erschien. In dem Band befinden sich auch Beiträge vont Prof. Dr. Willibald Freytag, u. a. der Aufsatz über seinen Vater Gustav Freytag. Auf Seite 24 finden wir auch eine Notiz zur Stammtafel der Familie Freytag mit der Bemerkung "Am 4. 2. 1913 ist die zweite Gemahlin Prof. W. Fr. Emma Kißling gestorben. Er hat sich am 29. 10 1929 zm dritten Male mit Agnes Maria Herrmann in München vermählt." Die Besitzer der Stammtafel können dieselbe also in diesem Sinne vervollständigen. (Bern. Agnes Maria ist auch verstorben.)"
  3. Zugmayer, Eric (1911년) Résultats des campagnes scientifiques accomplies sur son yacht, Imprimerie Monaco, p. 4 "Les figures ont été dessinées et peintes par Mlle Emma Kissling, en s'aidant pour nombre d'entre elles des notes de couleur prises sur les animaux frais par M. Louis Tinayre. Je me fais un plaisir d'adresser à cette jeune artiste mes bien sincères remerciements pour tout le labeur et le dévouement qu'elle a apportés à l'accomplissement de sa pénible tâche; les intéressés pourront en apprécier par eux-mêmes les superbes résultats."
  4. Anthropologica, 81, p. 77 "Lorenz Müller in München, der ausgezeichnete Kenner und Künstler, und seine Schülerin Emma Kissling, spätere und dann allzu früh verstorbene Frau Prof. Dr. G. Freytag haben in uneigennütziger Weise die auf Tafel I — VIII vervielfältigten Eidechsenbilder gezeichnet und gemalt (welche Bilder von E. Kissling herrühren und welche von L. Muller, ist in der Tafelerklarung bemerkt)."
  5. (1905년) Ex libris: Buchkunst und angewandte Graphik, 15-16
  6. (1920년) Zoologische Jahrbücher, 42 "die noch von der Hand der verstorbenen Frau EMMA FREYTAG-KISSLING herrühren"

설명

이 파일이 나타내는 바에 대한 한 줄 설명을 추가합니다

이 파일에 묘사된 항목

다음을 묘사함

image/svg+xml

7643821341781eb173109014207167e0281bb084

95,749 바이트

600 화소

933 화소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12년 7월 3일 (화) 10:012012년 7월 3일 (화) 10:01 판의 섬네일933 × 600 (94 KB)Wilfredorcode optimization
2012년 7월 3일 (화) 09:43섬네일 없음0 × 0 (92 KB)Wilfredoroptimize poligons
2012년 7월 3일 (화) 02:372012년 7월 3일 (화) 02:37 판의 섬네일933 × 600 (98 KB)WilfredorFix image size and arrows
2012년 7월 1일 (일) 23:352012년 7월 1일 (일) 23:35 판의 섬네일2,091 × 1,319 (126 KB)Wilfredortexture

다음 문서 1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위키의 문서 목록

다음 위키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