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YFUFandYTL.jpg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본 파일(1,494 × 925 픽셀, 파일 크기: 769 KB, MIME 종류: image/jpeg)

파일 설명

묘사
English: Southern Part of Yangsan Fault Zone (Yangsan Fault, Dongnae Fault, Ilgwang Fault) and Geology in Gyeongju, Ulsan Area of South Korea
References and Sources
Son Moon, Kang Hee Cheol and Lim In Soo (1996)"Palaeomagmatism of Tertiary Basins in Southern Korea : 3. Cheongha-Ulsan Basins and its Vicinities". Korea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29, No. 4. pp. 509-522.
Okada, Atsumasa; Watanabe, Mitsuhisa; Suzuki, Yasuhiro; Kyung, Jai Bok; Jo, Wha Ryong; Kim, Sung Kyun; Oike, Kazuo; Nakamura, Toshio (1998). "Active Fault Topography and Fault Outcrops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System, Southeast Korea" Journal of Geography. Vol. 107, No. 5, pp. 644-658. doi=10.5026/jgeography.107.5_644.
岡田 篤正; 竹村 恵二; 渡辺 満久; 鈴木 康弘; 慶財福; 蔡鍾勲; 谷口 薫; 石山 達也; 川畑 大作; 金田 平太郎; 成瀬 敏郎 (1998) "韓国慶州市葛谷里における蔚山 (活) 断層のトレンチ調査 (Trench Excavation Survey across the Ulsan (active) Fault at Kalgok-ri, Kyongju City, Southeast of Korea)" 地学雑誌. Vol. 108, No. 3, pp. 276-288. doi=10.5026/jgeography.108.276.
류충렬, 최위찬, 최성자, 손문 (2001)"울산단층대 동변인 경주시 외동읍 신계리 활성리에서 새로이 알려진 제4기단층의 논의"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Chung-Ryul Ryoo, Bong Joo Lee, Moon Son, Yung Hee Lee, Sung Ja Choi and Ueechan Chwae (2002) "Quaternary faults in Gaegok-ri, Oedong-eup, Gyeongju,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38, No. 3, pp. 309-323.
Moon Son, Hye-yun Jeong and In Soo Kim (2002)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s in the Vicinities of the Southern Part of the Yonil Tectonic Line,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38. No. 2. pp. 175-197.
Tae Woo Chang, Jae Hyok Jeong and Chun Joong Chang (2007) "Tectonics of the Tertiary Eoil and Waeup basin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7, No. 1, pp. 27-40.
Kim Seong Jin (2007)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ault gouges in boundary faults in the Tertiary Waeup Basin". Department of Geology,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ae Woo Chang (2010) "Fractals and Fragmentation of Survivor Grains within Gouge Zones along Boundary Faults in the Tertiary Waeup Basi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0, No. 2. pp. 183-189.
Jeon et al (2012)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Moon Son, Cheol Woo Song, Min-Cheol Kim, Youngbeom Cheon, Soohwan Jung, Hyeongseong Cho,Hong-Gyun Kim, Jong Sun Kim and Young Kwan Sohn (2013) "Miocene Crustal Deformation, Basin Development,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49, No. 1, pp. 93-118. doi=10.14770/jgsk.2013.49.1.93
Minhui Han, Kwang-Hee Kim, Moon Son, Su Young Kang, and Jung-Ho Park (2016) "Location of Recent Micro-earthquakes in the Gyeongju Area"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ol. 19, No. 2, pp.97-104, doi=10.7582/GGE.2016.19.2.097, eISSN 2384-051X.
Minhui Han, Kwang-Hee Kim, Moon Son, Su Young Kang (2017) "Current microseismicity and generating faults in the Gyeongju area, southeastern Korea" Tectonophysics, Vol. 694, pp. 414-423, ISSN 0040-1951, doi=10.1016/j.tecto.2016.11.026.
Wu-Seok Seo (2021) "Underground Fault Structure Modeling in East Side of the Ulsan Fault with High-Density Temporary Seismic Network Data". Pusa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최성자, 류충렬, 최진혁 (2021) "Tracking of the Moryang Fault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 Society Of Economic&Environmental Geology, Vol. 54. No. 3. pp. 389-397. doi=10.9719/EEG.2021.54.3.389.ISSN 2288-7962.
이 지도는 오픈스트리트맵 프로젝트의 커뮤니티가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지도는 미완성이며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지도에만 의존하여 이동 계획 작성 등을 하지 말아 주십시오.
날짜
출처 openstreetmap.org
창작자
OpenStreetMap 기여자
저작권
(이 파일을 인용하기)

OpenStreetMap data is available under the Open Database License (details). Standard style map tiles are licensed as ODbL Produced Works.

This work contains information from OpenStreetMap, which is made available under the Open Database License (ODbL).

The ODbL does not require any particular license for maps produced from ODbL data. Prior to 1 August 2020, map tiles produced by the OpenStreetMap Foundation were licensed under the CC-BY-SA-2.0 license. Maps produced by other people may be subject to other licences.

지리 참고 Wikimaps Warper에서 지도 지리를 참고하기 부적절한 경우에 숨기려면 warp_status = skip로 설정하세요.


라이선스

나는 아래 작품의 저작권자로서, 이 저작물을 다음과 같은 라이선스로 배포합니다:
w:ko: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동일조건변경허락
이용자는 다음의 권리를 갖습니다:
  • 공유 및 이용 – 저작물의 복제, 배포, 전시, 공연 및 공중송신
  • 재창작 – 저작물의 개작, 수정, 2차적저작물 창작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 저작자표시 – 적절한 저작자 표시를 제공하고, 라이센스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고, 변경사항이 있는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당신은 합리적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사용권 허가자가 당신 또는 당신의 사용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없습니다.
  • 동일조건변경허락 – 만약 당신이 이 저작물을 리믹스 또는 변형하거나 이 저작물을 기반으로 제작하는 경우, 당신은 당신의 기여물을 원저작물과 동일하거나 호환 가능한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여야 합니다.


이 파일은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온 사용자가 업로드하였으며, 아직 검토되지 않았습니다.
  • 이 파일을 올린 사용자는 이 파일이 한국어 위키백과를 떠났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을 수 있습니다.
  • 이 사진을 올린 사용자는 공용의 정책프로젝트 목적에 대해 이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이 사진을 올린 사용자는 영어를 구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파일의 분류, 라이선스, 설명에 대한 검토가 완료되면 이 틀을 제거해도 됩니다.

Boarisch  Deutsch  English  español  日本語  한국어  svenska  中文(简体)  中文(繁體)  中文(臺灣)  +/−

설명

양산 단층 중부 지역, 울산 단층과 제4기 단층 노두 위치, 연일구조선, 읍천 단층, 수렴 단층, 자인 단층, 밀양 단층, 모량 단층, 내남 단층, 왕산 단층, 외동 단층, 와읍 분지, 어일 분지

이 파일에 묘사된 항목

다음을 묘사함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24년 1월 1일 (월) 16:112024년 1월 1일 (월) 16:11 판의 섬네일1,494 × 925 (769 KB)DittwjfsdgkvkdjgUploaded own work with UploadWizard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