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타의 수상 및 후보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타의 수상 및 후보 목록

2018년 7월 30일, 강타

총계
수상 합계 28
후보 합계 34
총계
수상 11

다음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강타의 수상 및 후보 목록이다.

국내[편집]

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벌[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1 제3회 북극성 남자 솔로 부문 수상 [1]
최고인기 뮤직비디오상 후보
2002 제4회 사랑은 기억보다 남자 솔로 부문 후보 [2]
최고인기 뮤직비디오상 후보
2003 제5회 Fr.in.Cl. (그룹 S) 남자 그룹 부문 후보
2005 제7회 가면 해외시청자상 수상 [3]
  • 이후에는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2022년부터는 《마마 어워즈》로 명칭 변경됨

서울가요대상[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1 제12회 북극성 본상 수상
2006 제17회 Scandal (강타 & 바네스) 한류특별상 수상 [4]

골든디스크상[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1 제16회 북극성 본상 수상 [5]
2002 제17회 사랑은 기억보다 본상 수상 [6]
2003 제18회 Fr.in.Cl. (그룹 S) 파브 인기상 수상

KMTV 가요대전[편집]

연도 곡(제목) 부문 결과 출처
2001 북극성 최고 인기가수상 수상 [7]
  • 이후에는 《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벌》과 통합됨

KMTV 코리안 뮤직 어워드[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2 사랑은 기억보다 본상 수상
시청자 인기상 수상
2003 Fr.in.Cl. (그룹 S) 본상 수상
시청자 인기상 수상
  • 이후에는 《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벌》과 통합됨

SBS 가요대전[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1 북극성 본상 수상
최고인기상 수상
2002 사랑은 기억보다 본상 수상 [8]
2003 Fr.in.Cl. (그룹 S) 본상 수상

KBS 가요대상[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1 북극성 본상 수상
2002 사랑은 기억보다 본상 수상 [8]
2003 Fr.in.Cl. (그룹 S) 본상 수상
  • 이후에는 《KBS 가요대축제》로 명칭 변경됨

MBC 10대 가수 가요제[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1 북극성 30세 미만의 국민이 뽑은 10대 가수상 수상 [9]
2002 사랑은 기억보다 10대 가수상 수상 [10]
  • 이후에는 《MBC 가요대제전》으로 명칭 변경됨

한국 최고 인기연예대상[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1 제9회 북극성 청소년 부문 가요 대상 수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6 빈칸 대중예술부문 수상 [11]

대한민국 연예예술상(문화관광부, 한국연예예술인협회)[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4 제11회 빈칸 한류 열풍 공로상 수상 [12]
2006 제13회 Scandal (강타 & 바네스) 한류올스타상 수상 [13]
2007 제14회 빈칸 국무총리 표창 수상 [14]
  • 이후에는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으로 명칭 변경됨

KBS 연예대상[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3 제2회 강타 신혜성의 자유선언 라디오 MC부문 수상 [15]

MBC 방송연예대상[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6 제16회 강타의 별이 빛나는 밤에 라디오 DJ 신인상 수상 [16]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4 제177회 꽃밭에서 (그룹 S) 작곡가 故 이봉조 특집 177회 우승 수상 [17]
2015 제190회 잡초 (그룹 S) 왕중왕전 쇼쇼쇼 별들의 귀환 특집 190회 우승 수상 [18]

해외[편집]

MTV ASIA Awards[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2 북극성 Favorite Artist - Korea 수상 [19]

중국 차이나 골든디스크 시상식(중국 음원판권협회)[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3 Pine Tree 해외음반특별상 수상 [20]

중국 금호상 시상식[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4 제4회 빈칸 최고 해외인기가수상 수상 [21]

중국 동남경폭음악방(동남TV)[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5 제3회 빈칸 최고 해외아티스트상 수상 [22]

중국 난팡TV 시상식[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5 빈칸 가장 빛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상 수상 [23]

차이나 패션 어워드[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05 빈칸 한일 베스트드레서상 수상 [24]

중국 안후이 위성TV 아시아 아이돌 시상식[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3 빈칸 해외 만능 엔터테이너상 수상 [25]

중국 쿠뮤직 아시아 성전[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6 제2회 빈칸 한류 문화 전파 공로상 수상 [26]

중국 음악풍운방 연도성전[편집]

연도 회차 작품 부문 결과 출처
2016 제16회 빈칸 한류우상대상 수상 [27]

기타 시상식[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3년 제1회 앙드레김 베스트 스타 어워드 가수 부문 빈칸 수상
중국 사스퇴치 기념 공연 한국, 중국 정부 감사패 빈칸 수상
서울 외신기자클럽 외신 홍보상 음악부문 빈칸 수상 [28]
2004년 아시아 문화사업 교류재단 출범식(문화관광부) 문화부장관 유공표창 빈칸 수상 [29]
한류 관광의 해 코리안 웨이브 출범식(문화관광부, 한국관광공사) 한류 열풍의 주역, 감사패 빈칸 수상 [30]
2005년 한·아세안 대화 관계 수립 15주년 기념 (외교통상부) 외교통상부 감사패 빈칸 수상 [31]
제1회 국제 전시광고 예술 금야자상 시상식 TV광고계 최고 가치 있는 연예인상 빈칸 수상 [32][33]
2006년 제1회 동아시아 공연예술제(외교통상부) 외교통상부 감사패 빈칸 수상 [34]
2007년 한·중 문화수교 15주년 기념(외교통상부) 외교통상부 감사패 빈칸 수상
2009년 제15회 강원도민의 날 기념 육군 군악연주회 (춘천시, 강원문화재단, 육군본부) 육군참모총장상 빈칸 수상 [35][36]
2022년 한중 우호 포럼 한중 우호 대상 감사패 빈칸 수상 [37]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11회)
2001년 (총 4회)
2002년 (총 3회)
2003년 (총 4회)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스포츠연예부 (2001년 11월 21일). “m·net 뮤직비디오 시상식 “스타 총출동””. 국민일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2. 홍제성 (2002년 11월 6일). “m·net 뮤직비디오 시상식 “스타 총출동”`2002 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29일 개최”.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3. 안지선 (2005년 11월 22일). “강타 한류 톱! 50만 참여중인 해외네티즌 최고뮤비 화제”. 마이데일리.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4. 이해리 (2005년 12월 2일). “동방신기, '제16회 서울가요대상' 대상 영예”. 노컷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5. 정천기 (2001년 12월 14일). “골든디스크 대상에 그룹 god의 '길'.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6. 홍제성 (2002년 12월 13일). “제17회 골든디스크상 대상에 그룹 쿨”.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7. 스포츠연예부 (2001년 12월 19일). “[케이블 하이라이트] 2001 KMTV 가요대전(KMTV 채널43)”. 국민일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8. 황정우 (2002년 12월 26일). “SBS.MBC 연말 가요대상 후보 발표”.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9. 최승현 (2001년 12월 21일). “MBC '10대 가수 가요제' 수상자 선정”.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10. 황정우 (2003년 1월 2일). '2002 MBC 10대가수 가요제' 대상에 장나라”.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11. 유순호 (2006년 10월 11일). “강타, 배용준 이어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수상”. 머니투데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12. 홍제성 (2004년 12월 28일). “제11회 대한민국연예예술상 시상식 열려”.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13. 박성기 (2006년 10월 31일). “[포토]'한류올스타상' 수상 강타&바네스, "감사합니다". 머니투데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14. 김태은 (2007년 10월 1일). “임하룡 강타, 대한민국연예예술상 총리표창 받는다”. 머니투데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15. 홍제성 (2002년 12월 29일). “`2002 KBS 연예대상'에 개그맨 신동엽”.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16. 박윤진 (2016년 12월 29일). “[MBC연예대상] '신인상' 강타 "데뷔 20주년에 신인상, 감사하다". 마이데일리.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17. 김경주 (2014년 12월 13일). '불후' S, 조관우 함께한 아름다운 하모니..최종우승[종합]”. OSEN.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18. 나금주 (2015년 3월 14일). '불후의명곡' S, 효연 지원사격에 왕중왕전 '최종 우승'. 엑스포츠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19. 정천기 (2002년 2월 3일). “강타, MTV의 한국 최고 인기가수상 수상”.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20. 심윤희, 신익수, 정철진 (2003년 12월 21일). '한국 30배' 中 가요시장 뚫어라”. 매일경제.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21. 유상우 (2004년 9월 30일). “강타, 중국서 최고 '해외인기가수상'. 뉴시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22. 안인용 (2005년 10월 24일). “강타 中동남TV 최고해외아티스트상”.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23. 이은정 (2005년 12월 26일). “강타, 장쯔이ㆍ장바이즈와 中 광고상 받아”. 연합뉴스. 2023년 5월 20일에 확인함. 
  24. 강승훈 (2005년 11월 7일). “강타, 中서 '한일 최고 베스트드레서 선정'. 마이데일리.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25. 이재훈 (2013년 7월 30일). “엑소·강타, 인기그룹상과 만능엔터테이너상…중국 시상식”. 뉴시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26. 이정혁 (2016년 3월 30일). “中서 '공로상' 받은 강타, "한중 문화 교류에 기여할 것". 스포츠조선.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27. 박수정 (2016년 4월 10일). “이수만+강타+엑소+NCT U, 중국의 그래미 '음악 풍운방'을 휩쓴 SM”. 텐아시아. 2023년 5월 20일에 확인함. 
  28. 이백규 (2003년 12월 11일). “재경부, 강금실장관 한국홍보상 수상”. 머니투데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29. 유상우 (2004년 1월 20일). “보아·강타·안재욱·김희선 등 문화부장관 유공표창”. 뉴시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30. 스포츠연예부 (2004년 3월 9일). “한류관광의 해 ‘코리안 웨이브…’ 출범식”. 경향신문.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31. 스포츠연예부 (2005년 12월 8일). “가수 '강타' 외교부로부터 감사패 받아”.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32. 김한준 (2005년 12월 26일). “강타, 중국 연예시상 연이어 싹쓸이”. 마이데일리.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33. 미디어부 (2005년 12월 26일). “가수 강타 中광고계 최고연예인상”. 경향신문.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34. 전형화 (2006년 9월 12일). “강타, 한국가수 최초로 中음악프로 엔딩무대 장식”. 머니투데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35. 김상태 (2009년 7월 9일). “싸이·성시경·강타 … 군복 입은 스타들 호반에 떴다”. 강원일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36. 박영웅 (2010년 2월 19일). “강타, “신고합니다”…한중일 300팬 환영 속 군제대”. 서울신문 나우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37. 김수영 (2022년 7월 20일). “SM 이수만 "웹3.0은 콘텐츠·IP시대, 아시아 문화 콘텐츠가 세계 리드할 것". 한국경제. 2023년 5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