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객관적 검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객관적 검사(Objective test)는 응답 옵션에있어서 피검자[1]가 제한된 선택사항(예: 리커트 척도, 참 또는 거짓)만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객관성을 극대화하는 조치이다.[2] 이러한 방법으로 조치를 구조화하는 것은 결과를 관리하고 해석하는 것이 시험자의 판단에 의존하지 않도록 조치를 관리하는 맥락에서 개인의 주체성이나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신뢰도타당도에 있어서 중요하다.

심리학[편집]

한편 심리검사에서 사용되는 객관적 검사의 대표적인 예로는 WAIS, WISC, MMPI, MBTI, NEO PI-R(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TCI(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등이 잘 알려져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국립국어원-피검자-단어의 뜻풀이에 대해)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784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Meyer, G. J.; Kurtz, J. E. (2006). “Advancing personality assessment terminology: Time to retire "objective" and "projective" as personality test descriptor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7 (3): 223–5. doi:10.1207/s15327752jpa8703_01. PMID 17134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