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 장폐색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짓 장폐색증
진료과위장병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거짓 장폐색증(-腸閉塞症,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또는 가성 장폐색증(假性腸閉塞症)은 음식을 통과시키는 창자의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됨에 따라 발병하는 임상적 증상이다. 장내 공간에 병변이 없는 장폐색 증상이라는 특징이 있다.[1]

만성일 수도 있고[2] 급성에 해당할 수도 있다.[3]

병인[편집]

원발성 만성 거짓 장폐색증(만성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위장관의 부드러운 근육(근질환)이나 신경계(신경질환)의 상해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4]

일부 병인의 경우 유전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된다.[5] 특정한 형태의 경우 DXYS154와 관련되어 있다.[6]

이차성 만성 거짓 장폐색증은 수많은 기타 질병들의 결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가와사키병[7], 파킨슨병, 샤가스병, 히르슈슈프룽 병, 장저신경절증, 콜라겐혈관병, 미토콘드리아병, 내분비질환 및 특정 약물의 이용을 포함한다.[4]

진단[편집]

치료가 가능한 이차적 병인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아야 한다.[4]

원발성 거짓 장폐색증은 운동성 검사, 엑스레이, 위내용 배출 연구에 기반하여 진단한다.

치료[편집]

이차적 만성 거짓 장폐색증은 기반이 되는 질병을 치료함으로써 관리된다.

만성 거짓 장폐색증의 경우 치유 방법은 없다. 영양분 제공과 수분 공급을 관리하고 통증 완화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Stanghellini V, Cogliandro RF, De Giorgio R, 외. (May 2005). “Natural history of chronic idiopathic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in adults: a single center study”.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3 (5): 449–58. doi:10.1016/S1542-3565(04)00675-5. PMID 15880314. 
  2. Sutton DH, Harrell SP, Wo JM (February 2006).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dult patients with chronic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21 (1): 16–22. doi:10.1177/011542650602100116. PMID 16439766.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Saunders MD (October 2004). “Acute colonic pseudoobstruction”. 《Current Gastroenterology Reports》 6 (5): 410–6. doi:10.1007/s11894-004-0059-5. PMID 15341719. 
  4. Gabbard SL, Lacy BE (June 2013). “Chronic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28 (3): 307–16. doi:10.1177/0884533613485904. PMID 23612903. 
  5. Guzé CD, Hyman PE, Payne VJ (January 1999). “Family studies of infantile visceral myopathy: a congenital myopathic pseudo-obstruction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82 (2): 114–22. doi:10.1002/(SICI)1096-8628(19990115)82:2<114::AID-AJMG3>3.0.CO;2-H. PMID 9934973. 
  6. Auricchio A, Brancolini V, Casari G, 외. (April 1996). “The locus for a novel syndromic form of neuronal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maps to Xq28”.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58 (4): 743–8. PMC 1914695. PMID 8644737. 
  7. Akikusa JD, Laxer RM, Friedman JN (May 2004).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in Kawasaki disease”. 《Pediatrics》 113 (5): e504–6. doi:10.1542/peds.113.5.e504. PMID 15121996.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