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군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창군의 행정 구역은 군청 소재지인 거창읍과 11개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창군의 면적은 804.07 km2로 경상남도의 7.65%를 차지하며, 인구는 2012년 8월 1일을 기준으로 27,111 세대, 63,122명이다.[1]

행정 구역[편집]

읍·면 한자 세대 인구 면적
거창읍 居昌邑 15,280 39,414 56.00
가북면 加北面 787 1,463 96.25
가조면 加祚面 2,030 4,291 66.15
고제면 高梯面 1,458 1,490 58.47
남상면 南上面 1,317 2,782 68.51
남하면 南下面 874 1,788 49.83
마리면 馬利面 1,150 2,262 46.62
북상면 北上面 819 1,607 125.30
신원면 神院面 923 1,824 73.71
웅양면 熊陽面 2,126 2,141 58.47
위천면 渭川面 1,112 2,394 54.75
주상면 主尙面 842 1,771 50.01
거창군 居昌郡 27,111 63,122 804.07

법정리[편집]

행정리 법정리
거창읍 중앙리, 대평리, 동변리, 가지리, 서변리, 양평리, 송정리
학리, 정장리, 장팔리, 상림리, 김천리, 대동리
가북면 몽석리, 박암리, 용산리, 용암리, 중촌리, 해평리, 우혜리
가조면 기리, 장기리, 일부리, 석강리, 사병리, 수월리, 마상리, 도리
대초리, 동례리
고제면 봉산리, 궁항리, 개명리, 봉계리, 농산리
남상면 오계리, 둔동리, 무촌리, 춘전리, 임불리, 송변리, 대산리
월평리, 전척리, 진목리
남하면 지산리, 대야리, 둔마리, 양항리, 무릉리
마리면 하고리, 월계리, 말흘리, 영승리, 고학리, 대동리, 율리
북상면 창선리, 소정리, 월성리, 농산리, 갈계리, 병곡리, 산수리
신원면 청수리, 양지리, 덕산리, 수원리, 과정리, 구사리, 대현리
와룡리, 중유리
웅양면 한기리, 군암리, 산포리, 노현리, 동호리, 신촌리, 죽림리
위천면 강천리, 상천리, 모동리, 당산리, 남산리, 장기리, 황산리
주상면 거기리, 남산리, 내오리, 도평리, 성


연혁[편집]

  • 부족국가시대 거창지방을 거열이라고 부른 듯하며 동부는 가소, 서북부는 염례 또는 남내라고 부름
  • 신라시대 초기 거열이라 칭함
  • 757년 경덕왕 16년 거창군으로 칭하고 가소를 함음현으로 남내를 여선현으로 개명하여 거창군에 편입
  • 940년 고려 태조 23년 여선현을 감음현으로 함음현을 가소현으로 개칭
  • 1018년 현종 9년 합천을 합주로 승격시키고 거창ㆍ가소ㆍ감음ㆍ이안ㆍ삼기를 모두 합주 (현 합천군)에 속현으로 삼음
  • 1414년 가소지방에 이주한 거제와 거창을 병합하여 제창현으로 칭함
  • 1495년 연산군비 신씨(폐비 신씨)의 관향으로 거창군으로 승격
  • 1506년 단경왕후 신씨의 폐위로 거창현으로 격하
  • 1739년 단경왕후 신씨의 복위로 거창부로 승격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진주부 거창군[2]
  • 1896년 경상남도 거창군[3]
  • 1914년 4월 1일 안의군 일부(북상면, 고현면, 북하면, 동리면, 남리면), 삼가군 일부(신지면, 율원면)를 거창군에 편입하였다.[4]
14면 - 읍내면, 읍외면, 주상면, 웅양면, 남상면, 남하면, 가서면, 가동면, 가북면, 고제면, 마리면, 위천면, 북상면, 신원면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통폐합 전 통폐합 후 (합천군)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거창군 동부면(東部面) 전리/후리/(가을지면)개봉리 일부, 죽전리/하리 일부 읍내면 동동, 하동
거창군 천내면(川內面) 장기동/(동부면)하리 일부/(천외면)김천동 일부, 임동/상리 일부, 덕곡동/송정리/운정리 일부 김천동, 상동, 송정동
거창군 천외면(川外面) 장팔리/웅곡동/김천동 일부/(천내면)운정리 일부, 정장리/(남흥면)국농동 일부, 중리/(남흥면)평성동 장팔리, 정장리, 중동
거창군 모곡면(毛谷面) 동변동/죽동/서변동 일부, 사동/서변동 일부/(가을지면)개봉리 일부/(음석면)양평동 일부 읍외면 동변리, 서변리
거창군 음석면(陰石面) 당동/양평동 일부/(동부면)금룡동/노혜동, 여은동/구례동/학동 양평리, 학리
거창군 갈을지면(加乙旨面) 개화동/지내동/교촌동/(천내면)상리 일부 가지리
거창군 웅양면(熊陽面) 용암동/동변동/산포동 일부, 화동/노현동/죽림동 일부/원촌동 일부/산포동 일부, 구지암동/운평동/죽림동 일부, 우랑동/강천동/금광동/어인동/산포동 일부/원촌동 일부 웅양면 동호리, 노현리, 죽림리, 산포리
거창군 적화면(赤火面) 용전동/군암동/송유동, 아주동/신촌동/왕암동/장지동, 한기동/오산동/하곡동 군암리, 신촌리, 한기리
거창군 주곡면(主谷面) 고대동/거기동, 남산동/광동, 도평동 일부, 성기동/신촌동/희동/도평동 일부 주상면 거기리, 남산리, 도평리, 성기리
거창군 지상곡면(只尙谷面) 오류동/내오산동 일부, 완서동/도동 일부/(주곡면)원계동/(안의군 북하면)무월동 일부 내오리, 완대리, 연교리
거창군 가북면(加北面) 몽석동/내촌동, 공수동/박암동, 율리/용유동 일부/우혜동 일부/(가서면)장기동, 송정동/용암동/개금동/홍감개동, 어인동/중감월동/우혜동 일부, 중촌동/신방소동/회남동 일부, 양암동/추동/회남동 일부 가북면 몽석리, 박암리, 용산리, 용암리, 우혜리, 중촌리, 해평리
거창군 가동면(加東面) 마상동 일부, 사병동/창촌동/당동/(가북면)용산동 일부, 용전동/월포동/(상가남면)수월동 가동면 마상리, 사병리, 수월리
거창군 상가남면(上加南面) 도동/지산동/대학동, 일부동/장항동 도리, 일부리
거창군 하가남면(下加南面) 기동/광성동/(가서면)봉현동, 대초리/방촌동/중촌동 일부/석강동 일부, 농촌동/석강동 일부 가서면 기리, 대초리, 석강리
거창군 가서면(加西面) 동례동/중촌동 일부/장기동 일부/(가동면)마상동 일부, 정천동/신천동/장기동 일부 동례리, 장기리
거창군 고제면(高梯面) 괘암동/개명동/수내동, 궁항동/산양동/임당동/매학동, 농산동/온곡동/교항동/손항동, 지경동/봉계동 일부, 둔기동/송정동/사초동/봉계동 일부 고제면 개명리, 궁항리, 농산리, 봉계리, 봉산리
거창군 고천면(古川面) 둔동/진목정동/신촌동 일부, 매동/(청림면)지화동, 오계동/신촌동 일부 남상면 둔동리, 무촌리, 오계리
거창군 남흥면(南興面) 임불동/북죽동, 전척동/괘이동 일부, 월평동/국농동 일부/(무등곡면)평촌동 일부 임불리, 전척리, 월평리
거창군 청림면(靑林面) 대산동/이인정동/(남흥면)괘이동 일부, 송변동 대산리, 송변리
거창군 무등곡면(無等谷面) 대야동/가천동/(합천군 봉산면)가천동 일부, 안흥동/둔마동, 월곡동/양곡동/상리 남하면 대야리, 둔마리, 무릉리
거창군 고모현면(古毛峴面) 양항동/아주동 양항리
거창군 지차리면(只次里面) 자하동/신기동/천동/대수동 지산리
안의군 북상면(北上面) 중산동/갈계동 일부, 농산동/갈계동 일부, 병곡동/산수동 일부, 산수동 일부, 소정동/개삼벌동, 양지동, 창선동 북상면 갈계리, 농산리, 병곡리, 산수리, 소정리, 월성리, 창선리
안의군 북하면(北下面) 당산동, 대정동/어천동, 모동동/모서동/무월동 일부 위천면 당산리, 대정리, 모동리
안의군 고현면(古縣面) 강천동/마항동, 남산동/금곡동, 상천동/강남벌동, 장기동/서말동 강천리, 남산리, 상천리, 장기리
안의군 동리면(東里面) 지동/창촌동/말흘동/기동 일부, 신대동/영승동 일부, 상율동/하율동, 월화동/영승동 일부/사동 일부 마리면 말흘리, 영승리, 율리, 월계리
안의군 남리면(南里面) 고대동/고신동 일부, 동변동/암대동/암신동/고신동 일부, 하고동 고학리, 대동리, 하고리
삼가군 신지면(神旨面) 과정동/내세동 일부, 내탄동 일부/대현동 일부, 내동/청연동/내세동 일부, 소야동 일부/내탄동 일부/대현동 일부, 중유동/역동, 수동/내세동 일부 신원면 과정리, 대현리, 덕산리, 와룡리, 중유리, 청수리
삼가군 율원면(栗院面) 구사동/신기동, 수다동/원동, 양지동/화옥동 구사리, 수원리, 양지리
  • 1928년 4월 1일 가동면과 가서면을 가조면으로 합면하였다.[5] (13면)
  • 1937년 1월 15일 읍내면을 거창면으로, 읍외면을 월천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7년 7월 1일 거창면을 거창읍으로 승격하였다.[6] (1읍 12면)
  • 1957년 10월 29일 월천면을 거창읍에 합면하였다.[7] (1읍 11면)
  • 1973년 7월 1일 함양군 안의면 진목리, 춘전리가 남상면으로 편입
  • 현재 : 거창읍, 주상, 웅양, 고제 , 북상, 위천, 마리, 남상, 남하, 신원, 가조, 가북면 등 1읍 11면의 행정구역으로 구성

각주[편집]

  1. 거창군 행정구역 - 면적, 인구 Archived 2014년 9월 24일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12일 확인
  2.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3.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4.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5. 도령 제1호 (1928년 1월 28일)
  6. 조선총독부령 제80호 (1937년 6월 28일)
  7. 법률 제451호 지방자치단체의폐치분합및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년 10월 29일)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