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트웨이 프로그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게이트웨이 프로그램
Gateway Program
웨스트사이드 야드에서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의 터널 부분을 공사하고 있는 모습
기본 정보
운행 국가미국
상태공사 중
기점뉴어크 펜역 (뉴저지주 뉴어크)
종점뉴욕 펜역 (뉴욕주 뉴욕)
개통일미정
소유자암트랙
운영자암트랙
노선 제원
궤간1,435mm(표준궤)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영어: Gateway Program)은 뉴저지주 뉴어크뉴욕주 뉴욕을 잇는 노스이스트 코리더를 연장하고 개선하는 프로그램이다. 전체 노선은 뉴어크 펜역뉴욕 펜역을 이을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뉴저지 미도우랜즈를 통과하는 교량들, 더 팰리세이즈허드슨강을 잇는 터널이 지어질 예정이고, 1910년의 터널을 복구하며, 새로운 터미널 부속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암트랙뉴저지 트랜싯 관리국이 운영하는 복선철도 노선은 시간당 24대의 열차를 운행할 수 있었다.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을 통해 허드슨강을 가로지르는 열차의 수송력은 시간당 48대로 두 배로 증가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고속철도 노선의 도입도 가능하게 만들 것이다.[1] 뉴저지 주지사 크리스 크리스티가 다소 유사한 지역핵심접근 프로젝트를 취소한 지 1년 후인 2011년에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이 공개되었다. 이미 진행 중인 이전에 계획된 개선 사항의 일부가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에 통합되었다. 2012년 허리케인 샌디의 복구 및 복원 자금으로 1억 8,500만 달러를 사용하여 2013년 9월에 맨해튼 웨스트사이드의 통행권을 보존할 "터널 박스"의 새로운 건설이 시작되었다.

허리케인 샌디가 기존 노스리버 터널을 손상시킨 후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증가했다.[2] 2017년 7월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에 대한 환경 영향 보고서 초안이 발표되었다.[3]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지원은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자금 지원 약속 부족으로 인해 몇 년 동안 불분명했다.[4] 이 프로젝트는 2021년 5월 연방 정부에 의해 공식 승인되었으며 최종 규제 승인은 12월에 주어졌으며 2023년에 영업을 개시할 예정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NJ Transit's Response to Shifting Travel Demand in the Aftermath of September 11, 2001” (PDF). 《Travel Trends》 (New Brunswick: The Alan M. Voorhees Transportation Center) 3. Fall 2006. 2011년 7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8일에 확인함. 
  2. “Amtrak Tunnels Flooded During Sandy To Reopen Friday”. 《CBS New York》. 2012년 11월 7일. 2018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7일에 확인함. 
  3. Bazeley, Alex (2017년 7월 6일). “The Hudson Tunnel Project is expected to cost $12.9 billion”. 《am New York》. 2018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7일에 확인함. 
  4. Gurley, Gabrielle (2018년 1월 22일). “Gateway To Nowhere on the Hudson”. 《The American Prospect》. 2022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