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경주 천군동 동·서 삼층석탑

경주 천군동 동ㆍ서 삼층석탑
(慶州 千軍洞 東ㆍ西 三層石塔)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in Cheongun-dong, Gyeongju)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2012년 5월
종목보물 제168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수량2기
시대남북국 시대
소유국유
위치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천군동 550-2번지 ,550-3
좌표북위 35° 49′ 55″ 동경 129° 16′ 54″ / 북위 35.83194° 동경 129.28167°  / 35.83194; 129.28167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경주 천군동 동·서 삼층석탑(慶州 千軍洞 東·西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천군동 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68호로 지정되었다.

특징[편집]

넓은 평지에 동·서로 서 있는 쌍탑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1939년에 복원한 것이다. 두 탑 모두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양식이며 규모와 수법이 같다. 

기단은 각 층마다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는데, 가운데에는 2개씩의 조각을 두었다. 탑신의 각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층마다 5단이며, 처마선은 반듯하게 깎았는데 네 귀퉁이에서 약간씩 들려 있다. 3층 몸돌에서는 1939년 발굴조사를 할 때 한 면이 24cm, 깊이가 15cm인 사리를 두는 공간이 발견되었다. 탑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서쪽 탑에만 일부만 남아 있을 뿐 동쪽 탑은 모두 없어 졌다.

아직 통일신라 석탑의 건실함을 잃지 않은 8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각 부의 비례가 알맞고 전체의 형태가 장중한 석탑이다.

현지 안내문[편집]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3층 석탑으로 동서로 마주 보고 서 있다. 절 이름은 알 수 없고, 이중 기단 위에 세워진 두 탑은 일반형에 속하며 양식이나 규모가 같다. 서탑은 탑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일부 남아 있고, 동탑은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없어졌다.[1]

기단에는 면마다 네 개의 기둥새김이 있고,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 지붕돌 밑면의 층급 받침은 5단이며, 처마선은 반듯하게 깎았는데 네 귀퉁이는 약간씩 들려 있다. 아직 통일신라 석탑의 건실함을 잃지 않은 장중한 느낌을 주며 8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1]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현지 안내문 인용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