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간이방 권6 (보물 제1236-2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급간이방 권6
(救急簡易方 卷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236-2호
(2006년 1월 17일 지정)
수량1권 1책
시대조선시대
관리허준박물관
주소서울특별시 강서구 허준로 87, 허준박물관 (가양동)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구급간이방 권6(救急簡易方 卷六)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허준박물관에 있는 조선 성종20년(1489)에 편찬 간행한 의서이다. 2006년 1월 1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236-2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은 조선 성종20년(1489)에 편찬 간행한 의서로서 8권8책이다. 우리나라의 구급방서(救急方書)로서는 가장 완비된 책으로 질병을 중풍·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고 그 치료방문을 모아 엮은 것이다.

이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은 을해자본(乙亥字本) 번각본(翻刻本)으로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 1531~1598)의 소장인이 찍힌 점 등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 간본임을 알 수 있다. 전하는 것이 매우 희귀한 언해본(諺解本) 의약서(醫藥書)로서 한의학(漢醫學)은 물론 우리 국어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