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도 동계문집 목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권도 동계문집 목판
(權濤 東溪文集 木板)
대한민국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233호
(1983년 8월 12일 지정)
수량135매
시대조선시대
관리권진혁
주소경상남도 산청군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권도 동계문집 목판(權濤 東溪文集 木板)은 경상남도 산청군에 있는 , 조선 중기의 문신인 동계 권도(權濤,1575∼1644)의 시문을 모아 간행한 책판이다. 1983년 8월 12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33호 동계선생 문집책판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개요[편집]

이 책판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동계 권도(權濤,1575∼1644)의 시문을 모아 간행한 것이다.

권도는 39세 때 가을 증광시에 급제하여 벼슬에 나아가기 시작하였으며, 내외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이 책판은 순조 9년(1809)에 간행하였고, 전부 8권으로 되어 있으며 서문은 입재 정종노(1738~1816)가 썼고, 발문은 김굉이 썼다. 권1∼2에는 시, 권3에는 만(挽), 시보다 산문성이 강한 글인 부 그리고 권4에는 교서, 소, 답사, 계사, 권5에는 서, 권6에는 잡서, 침, 책문, 표전, 전문, 권7에는 축문, 제문, 묘비에 적는 글인 묘갈, 명지, 행장, 권8에는 부록, 년보가 들어가 있다.

이 책판에는 위와 같은 다양한 글들이 실려 있어서 당시 향촌사회의 모습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도난 및 회수[편집]

권도 동계문집 목판은 경남 산청군 안동권씨 종중 장판각에 보관돼 오다 2016년 6월 도난당했다.

문화재청은 2018년 11월 도난 목판과 관련된 첩보를 입수한 뒤 수사에 들어갔고 실제 목판을 훔치거나 유통을 주도한 2명을 파악해 경찰에 알렸다. 도난당한 목판은 이들의 자가 창고에 보관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2020년 2월 경찰은 이들 2명을 입건하고 관련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2]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