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서부민발톱도마뱀붙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서부민발톱도마뱀붙이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
강: 파충류
목: 뱀목
하목: 도마뱀붙이하목
과: 돌도마뱀붙이과
속: 민발톱도마뱀붙이속
종: 남서부민발톱도마뱀붙이
학명
Crenadactylus ocellatus
그레이, 1845[1]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남서부민발톱도마뱀붙이(Crenadactylus ocellatus), 일명 사우스웨스턴 클로리스 게코(southwestern clawless gecko), 웨스턴 클로리스 게코(western clawless gecko)는 호주에 서식하는 도마뱀붙이과 중에서 제일 작은 야행성 도마뱀붙이류이다.

호주에 고유하며, 남서부에 분포하고, 나도스피니펙스류(en:Triodia (plant))가 무성한 사막이나 바위가 널린 지면에서 발견된다.[3][4][5] 지면성 도마뱀붙이류이며, 서식처는 잎더미, 폐허 더미, 바위 밑이다. 때로는 허먹(en:hummock)의 밑부분에서 발견된다.

웨스턴 클로리스 게코(western clawless gecko)라고도 불리지만, 이 이름은 서부민발톱도마뱀붙이를 가리키기도 한다.

분류[편집]

이 종은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1845년에 대영박물관의 표본을 그가 만든 돌도마뱀붙이속으로 재분류하면서 최초로 기술하였다. 표본은 알코올로 보존되었으며, 웨스트오스트레일리아주의 부차난(Buchanan)에서 수집되었다고 적혀있다.[1] 존 길버트(:en:John Gilbert (naturalist))가 수집한 다른 두 표본은 "호트만 앨브로스(Houtman's Abrollos)"에서 수집되었다고 적혀있으며, Diplodactylus bilineatus라는 다른 종에 배치되었지만 후에 같은 분류군으로 인정받았다.[6][1]

민발톱도마뱀붙이속의 2016년에 개별 종으로 승격된 몇몇 종은 이전에는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아종으로 여겨졌다.[6]

그레이가 두 종에 임의적으로 붙인 이름 'the two-lined diplodactyle'는 bilineatus, 'the eyed diplodactyle'는 ocellatus라는 종명이 되었다.[1]

각주[편집]

  1. Gray, J.E. (1845). 《Catalogue of the Specimens of lizard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Printed by order of the Trustees,. 149쪽. 
  2. Doughty, P., Oliver, P. & Cowan, M. 2017. Crenadactylus ocellat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7: e.T102665067A102665071. https://doi.org/10.2305/IUCN.UK.2017-3.RLTS.T102665067A102665071.en. Downloaded on 07 April 2019.
  3. Cogger, Harold G. (1992).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4. “Genus: Crenadactylus Dixon & Kluge, 1964”. 《Australian Faunal Directory》. Australian Government. 2008년 10월 9일. 2009년 1월 27일에 확인함. 
  5. Crenadactylus - Reptarium.cz Reptile Database. Accessed 16 November 2017.
  6. “Species Crenadactylus ocellatus (Gray, 1845)”. 《Australian Faunal Directory》 (영어). Australian Government. October 2018. 

외부 링크[편집]

위키생물종에 남서부민발톱도마뱀붙이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