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
지리적 분포할마헤라해말루쿠 제도, 츤드라와시만
계통적 분류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
하위 분류
글로톨로그sout2850  (확대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1]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 (붉은색). 왼쪽 영역은 할마헤라어군, 오른쪽은 츤드라와시어군. (검은 선은 월리스 선.)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영어: South Halmahera–West New Guinea languages, SHWNG)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어군이다.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할마헤라해 해안 지역과, 파푸아주서파푸아주츤드라와시만 지역에서 쓰이는 언어들이 속한다.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의 계통적 통일성은 어휘적·음운론적 증거에 의해 잘 뒷받침된다. 로버트 블러스트 (1978)는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이 오세아니아어군과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함께 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을 이룬다고 주장했지만, 모든 학자가 여기에 동의하지는 않는다.[2]

여기에 속하는 언어 대부분은 짧은 어휘목록 외에는 알려진 바가 없지만 할마헤라섬불리어와 츤드라와시만의 비악어와로펜어는 비교적 많이 연구되어 있다.

분류[편집]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은 전통적으로 두 개의 지리적 분류로 나뉜다.

그러나 음운변화로 볼 때 남할마헤라 언어들과 라자암팟 언어들은 하나의 분기군을 이룬다고 생각된다. Blust (1978) 및 라자암팟 제어의 주요 연구자인 베르트 레메이센(Bert Remijsen)이 이러한 견해를 지지한다. 이에 따르면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3]

David Kamholz (2014)는 몇몇 새로운 언어들 및 기존 언어들을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군의 독립된 분기군으로 분류한다.

각주[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Greater SHWNG〉.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Blust, R. (1978). "Eastern Malayo-Polynesian: A Subgrouping Argument". In Wurm, S.A. & Carrington, L. (eds.)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stronesian Linguistics: Proceedings, pp. 181-234.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acific Linguistics C-61).
  3.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Raja Ampat–South Halmahera〉.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