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파계사 신중도 및 복장유물 일괄

대구 파계사 신중도 및 복장유물 일괄
(大邱 把溪寺 神衆圖 및 腹藏遺物 一括)
대한민국 대구광역시문화재자료
종목문화재자료 제53호
(2015년 5월 11일 지정)
시대조선시대
소유파계사
위치
대구 파계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대구 파계사
대구 파계사
대구 파계사(대한민국)
주소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741(중대동)
좌표북위 36° 00′ 05″ 동경 128° 38′ 28″ / 북위 36.00139° 동경 128.64111°  / 36.00139; 128.64111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대구 파계사 신중도 및 복장유물 일괄(大邱 把溪寺 神衆圖 및 腹藏遺物 一括)은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파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신중도 및 복장유물 일괄이다.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53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파계사에 소장된 이 탱화는 파계사 아미타삼존도와 마찬가지로 화면 하단에 화기를 남기고 있어 1824년 관보(琯普), 체균(体均), 금겸(錦謙), 두천(斗天)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특히 관보와 체균은 19세기 전반 영남지방에서 활약했던 화승이다. 이 작품은 화면 전체에 오염이 심하며 언젠가 개채(改彩)의 흔적도 있어 원래의 모습에서 다소 변형되었지만, 화기뿐만 아니라 발원문을 비롯한 복장품이 잘 갖추어져 있고, 전체적으로 19세기 전반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