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완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완구
(大碗口)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857호
(1986년 3월 14일 지정)
수량1점
시대조선 헌종 11년(1845년)
소유국유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대완구(大碗口)는 둥근 돌인 단석이나 멀리 날아가서 폭발하는 둥근 쇠공인 비격진천뢰를 쏘는 조선 시대의 유통식 화기이다.

주로 공성용 병기로 사용되었으며, 때로는 해상전에서 선박을 침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여기서 완구라 함은 발사물인 단석과 진천뢰를 올려놓은 포구의 모양이 사발과 흡사한 데에 연유하였다. 그리고 완구의 종류에는 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가 있다.

보물 857호[편집]

이 대완구는 전체 길이 64.4센티미터, 포구 지름 26.3센티미터이며, 조선 헌종 11년(1845)에 유희준과 김형업이 청동으로 만들었다. 포의 끝 부분은 지름 28.8 cm의 원형으로 포에 대한 기록이 적혀 있다.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대완구이다.

참고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