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디곡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4-[(3S,5R,8R,9S,10S,12R,13S,14S)-3-[(2S,4S,5R,6R)-5-[(2S,4S,5R,6R)-5-[(2S,4S,5R,6R)-4,5-dihydroxy-6-methyl-oxan-2-yl]oxy-4-hydroxy-6-methyl-oxan-2-yl]oxy-4-hydroxy-6-methyl-oxan-2-yl]oxy-12,14-dihydroxy-10,13-dimethyl-1,2,3,4,5,6,7,8,9,11,12,15,16,17-tetradecahydrocyclopenta[a]phenanthren-17-yl]-5H-furan-2-o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20830-75-5
ATC 코드 C01AA05
PubChem 2724385
드러그뱅크 DB00390
ChemSpider 2006532
화학적 성질
화학식 C41H64O14 
분자량 ?
물리적 성질
녹는점 249.3 °C (481 °F)
물에 대한 용해도 0.0648 mg/mL (20 °C)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60 to 80% (by mouth)
단백질 결합 25%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16%)
생물학적 반감기 36 to 48 시 (단위)s
(normal 신장의 오줌 생성 및 조절)
3.5 to 5 날s
(impaired kidney function)
배출 콩팥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A(오스트레일리아)C(미국)
법적 상태
  • AU: S4 (처방전 필요)
  • UK: POM (Prescription only)
  • US: ℞-only
투여 방법 by mouth, intravenous

디곡신(digoxin, 브랜드명: Lanoxin 등)은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1] 대부분은 심방세동, 심방조동, 심부전을 대상으로 사용된다.[1] 디곡신은 구강이나 정맥 주사를 통해 투여한다.[1]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유방확대가 포함되며, 그 밖의 다른 부작용들은 대개 과도한 복용으로 인한 것이다.[1][2] 이 부작용들에는 부정맥, 오심(속쓰림), 구토, 두통, 시야혼탁(황색증) 및 졸음, 식욕 부진이 포함될 수 있다.[2] 노인과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2] 임신 중에 투여해도 안전한지의 여부에 관해 분명하지 않다.[3] 디곡신은 강심 배당체 계열의 약물에 속한다.[1]

디곡신은 1930년 디기탈리스 식물 디기탈리스 라타나로부터 최초로 분리되었다.[4][5] 의료제도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6] 개발도상국의 도매가는 한 달에 대략 US$0.21–6.60이다.[7] 미국에서는 2015년 기준으로 대체적으로 한 달에 $25 미만의 비용이 든다.[8] 2016년, 미국에서는 400만 건 이상의 처방과 더불어 145번째로 처방을 많이 받은 약물이었다.[9]

각주[편집]

  1. “Digoxin”.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1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2. 《WHO Model Formulary 2008》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270쪽. ISBN 9789241547659.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3. “Digoxin Use During Pregnancy | Drugs.com”. 《www.drugs.com》. 21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4 December 2016에 확인함. 
  4. Cartwright, Anthony C. (2016). 《The British Pharmacopoeia, 1864 to 2014: Medicines,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 State》 (영어). Routledge. 183쪽. ISBN 9781317039792. 2017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5. Hollman, A (1996년 4월 6일). “Drugs for atrial fibrillation. Digoxin comes from Digitalis lanata”. 《BMJ (Clinical research ed.)》 312 (7035): 912. doi:10.1136/bmj.312.7035.912. PMC 2350584. PMID 8611904. 
  6.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April 2015.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7. “Digoxin”. 《International Drug Price Indicator Guide》. 2018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8. Hamilton, Richart (2015).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5 Deluxe Lab-Coat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X쪽. ISBN 9781284057560. 
  9. “The Top 300 of 2019”. 《clincalc.com》. 2018년 12월 22일에 확인함. 

추가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