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라피네스크큰귀박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피네스크큰귀박쥐
라피네스크큰귀박쥐
라피네스크큰귀박쥐
노스캐롤라이나주 동굴 안에서 동면을 하는 라피네스크큰귀박쥐
노스캐롤라이나주 동굴 안에서 동면을 하는 라피네스크큰귀박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박쥐목
과: 애기박쥐과
아과: 애기박쥐아과
속: 혹코박쥐속
종: 라피네스크큰귀박쥐
(C. rafinesquii)
학명
Corynorhinus rafinesquii
Lesson, 1827

학명이명

Plecotus rafinesquii

라피네스크큰귀박쥐의 분포

라피네스크큰귀박쥐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라피네스크큰귀박쥐 또는 남동부큰귀박쥐(Corynorhinus rafinesquii)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미국 남동부 지역의 토착종이다.

특징[편집]

이름이 함축하는 것처럼, 2.5cm 이상의 큰귀를 갖고 있다. 속명 "코리노리누스"(Corynorhinus)는 "뭉뚝한 코"(club-nosed)라는 의미이다.[2] 타운센드큰귀박쥐와 유사하게, 코 양쪽에 2개의 혹을 갖고 있다. 라피네스크큰귀박쥐는 중형 크기의 박쥐로 몸길이는 약 7.5~10cm, 날개 폭은 25~30cm 정도이다. 몸무게는 6~13g이다.[3] 등쪽은 회색을 하체는 흰색을 띤다. 귀와 얼굴은 분홍빛 갈색인 반면에 앞팔과 날개 비막은 짙은 갈색이다.

일부 보고에 의하면 최대 수명은 10년이지만,[4] 확실한 정보는 아니다. 타운센드큰귀박쥐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수명은 야생에서 16년부터 최대 30년이다.[5] 분포 범위에 걸쳐 드문 반면에, 해안선 평원 지역과 강가 그리고 그레이트스모키 산맥 국립공원과 같은 산악 지역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모든 경우에, 라피네스크큰귀박쥐의 서식지는 비교적 풍성한 숲의 풀이 없는 넓은 장소와 관련이 있다.[1]

먹이[편집]

미국 남동부의 모든 다른 박쥐들처럼 라피네스크큰귀박쥐는 식충성 동물이자 야행성 동물이며, 먹이를 구하기 위한 장소로 반향 정위를 통해 이동한다. 모기와 딱정벌레, 파리 등 다양한 범위의 곤충을 먹지만, 먹이의 90%는 나방이다. 먹이는 떨어진 곤충(나뭇잎 또는 동굴 벽에서)을 줍거나 공중에서 사냥한다.[6]

보금자리[편집]

계절과 지리적 위치에 따라 박쥐가 머물러 앉는 장소를 자주 바꾸기 때문에 라피네스크큰귀박쥐는 다양한 장소에서 발견될 수 있다. 살아있거나 죽은 나무에 앉아서 머물지만 보통 상당히 큰 나무(평균 지름 79cm, 키 18.5m의 나무에서 지낸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에서 생활한다.[7] 그리고 버려진 건물이나 다리 아래, 우물 그리고 동굴 속에서도 발견된다.[8]

보존 상태[편집]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은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는 반면에(이전에는 멸종취약종으로 분류),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U.S. Fish and Wildlife Service)은 라피네스크큰귀박쥐를 후보종 2급(Candidate II)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분포 지역 대부분의 주 기구에서 멸종우려종으로 분류하고 있다.[9] 박쥐흰코증후군은 균류 병원체에 감염되어 일어나는 심각한 감염병으로 미국 동부 지역의 많은 박쥐들을 대량 폐사했지만, 같은 분포 지역의 다른 박쥐들과 달리 이 질병에 감염된 라피네스크큰귀박쥐는 보이지 않는다.

각주[편집]

  1. Arroyo-Cabrales, J. & Ticul Alvarez Castaneda, S (2008). Corynorhinus rafinesqu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9.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10년 2월 1일에 확인함. 
  2. Schwartz, Charles Walsh; Schwartz, Elizabeth Reeder (2001). 《The Wild Mammals of Missouri》 2판. 97쪽. 
  3. Animal Diversity Web, Reyes, E. (2002) Corynorhinus rafinesquii
  4. Mammalian Species Archived 2016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Jones, C. (1977). No. 69, pp. 1-4 Plecotus rafinesquii
  5. Channel Islands National Park - Townsend's Big-eared Bats, U.S. National Park Service.
  6. [1], Lacki, M.J. and K.M. Ladeur. (2001). Seasonal use of lepidopteran prey by Rafinesque's big-eared bats (Corynorhinus rafinesquii). The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45(1):213-217.
  7. [2], Trousdale, A.W. and D.C. Beckett. (2005). Characteristics of tree roosts of Rafinesque's big-eared bat (Corynorhinus rafinesquii) in southeastern Mississippi. The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54(2):442-449.
  8. [3][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Lance, R.F. et al. (2001). Day-roost selection by Rafinesque's big-eared bat (Corynorhinus rafinesquii) in Louisiana forests. Journal of Mammalogy 82(1):166-172.
  9. [4] Archived 2015년 9월 23일 - 웨이백 머신, Bat Conservation International and Southeastern Bat Diversity Network. (2013). A conservation strategy for Rafinesque's big-eared bat (Corynorhinus rafinesquii) and southeastern myotis (Myotis austroriparus). Bat Conservation International, Austin, TX. (specific citations from page 41-43 and page 9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