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레빈탈의 역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빈탈의 역설단백질 접힘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난해함을 역설로 표현한 것이다. 아미노산이 일렬로 연결된 펩타이드 사슬은 물리화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의 구조를 찾아가는데, 대부분의 경우 이 단백질 3차 구조단백질 종류별로 고유한 형태를 가지며, 이로써 단백질은 특정 생화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펩타이드 사슬은 매우 큰 수의 물리화학적 자유도를 갖는다. 따라서 가능한 단백질의 3차 구조의 개수는 이론적으로 천문학적인 수에 달하게 된다. 사이러스 레빈탈1969년 처음으로 이 문제를 제기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약 3300개 또는 10143개의 단백질 구조가 예상된다고 하였다.[1] 단백질 접힘 문제는 생명체에서 항상 일어나고 있는 단백질 접힘을 설명하고, 더 나아가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이 어떻게 특정한 단백질 구조를 만들어내는지 예측하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한다. 이는 단백질체학(proteomics)의 중심문제 중 하나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Levinthal, Cyrus (1969). “How to Fold Graciously”. 《Mossbauer Spectroscopy in Biological Systems: Proceedings of a meeting held at Allerton House, Monticello, Illinois》: 22–24. 2010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3일에 확인함.  |journal=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58)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