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레우코클로리디움 파라독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우코클로리디움 파라독섬
Succinea putris에 기생하는 Leucochloridium paradoxum
Succinea putris에 기생하는 Leucochloridium paradoxum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편형동물문
강: 흡충강
아강: 이생흡충아강
목: 중구흡충목
아목: 중구흡충아목
상과: 단박막흡충상과
과: 레우코클로리디움과
속: 레우코클로리디움속
종: 레우코클로리디움 파라독섬
학명
Leucochloridium paradoxum
(Carus, 1835)[1]

레우코클로리디움 파라독섬(영어: Green-banded broodsac)은 기생편형동물이다. 학명은 "Leucochloridium paradoxum"이다. 중간 숙주는 달팽이이며, 주로 Succinea속에 기생한다. 눈자루를 채운 뒤 초록색 줄무늬를 띄며 규칙적으로 진동해 최종 숙주인 새를 유혹한다. 이는 새의 먹이인 모충을 흉내낸 것이다.[2] 성충은 새의 배설강에서 생활하며 알과 대변을 통해 배출된다.

생활사[편집]

Leucochloridium에 속하는 종들은 비슷한 생활사를 공유하며,[3][4] 새와 달팽이에 기생하며 달팽이가 제1, 제2중간숙주에 모두 해당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흡충류와 비교하면 생략된 생활사를 가진다.[5]

달팽이에게 섭취된 충란은 중장에서 섬모유충(Miracidium)으로 부화하고 다음 단계인 낭상충으로 발달한다. 성숙한 낭상충은 혈강을 통해 뻗어나간 하나의 가지를 구성하고 달팽이를 5배 이상 무겁게 만들 수 있다.[6] 몇몇 가지는 긴 관 형태로 발달하지만 이들은 발달 상태에서 엇갈려 보통 2~3개만 동시에 성숙한다.[7] 달팽이의 촉수는 하나 또는 둘 모두 성숙한 L. paradoxum으로 가득 차 외형이 변한다. 촉수는 팽창되고 내부에선 규칙적으로 진동하며, 다채롭고, 줄무늬로 이뤄진 모충 같은 곤충 애벌레의 외형으로 의한 L. paradoxum을 관찰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 숙주인 식충성 조류로하여금 달팽이를 포식하도록 유도한다. 사육 상태에서의 관찰에 따르면 새들은 먹기 전에 달팽이의 L. paradoxum을 찢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과정에서 달팽이는 생존할 수도 있었다.[8] 또한 촉수에서 자발적으로 터져나온 L. paradoxum은 규칙적으로 진동하며 한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으며, 새는 이를 먹음으로서 감염될 수 있다.[7][9][10]

기저부에서 낭상충은 많은 무성의 꼬리 없는 유미유충(Cercaria)을 생산한다.[11] 유미유충은 낭상충 안에서 피낭유충(Metacercaria)로 직접적으로 발달해 주위에 두꺼운 점액질 털을 형성한다. 성숙한 피낭유충는 1.2 × 0.8㎜인 타원형이고, 일반적으로 100~250마리의 피낭유충이 L. paradoxum에 축적된다.[11] L. paradoxum이 새에게 먹혀 피낭유충이 위장관계을 따라 통과하면 피낭유충이 배설강에 자리잡는다. 피낭유충은 점액질 털을 잃으며 약 1.5 ㎜ 길이의 성충으로 발달한다. 이 형태는 배설강의 벽에 고정시키는 흡반을 두개 가지고, 배면은 매끄럽다. 성충은 자웅동체이고 새의 대변에 충란을 배출한다. 이를 달팽이가 섭취함으로서 생활사가 완료된다.[9][10]

러시아의 연구에 따르면 달팽이는 여름과 봄에 감염됐다. 결과적으로 낭상충은 봄 내내 감염성 피낭유충을 생성했지만, 그 후 늦여름에 죽었다.[7] 조류 숙주 내부에서, 성충 단계의 생애는 몇 주에서 몇 달로 추정된다.[12]

L. paradoxum과 감염된 달팽이의 행동[편집]

달팽이 안 Sporocyst기의 동속종 Leucochloridium variae. (영상, 1분 30초)

L. paradoxum의 진동은 온도에 따라 보통 분당 40~75회 정도이지만 어둠 속에서는 진동하지 않는다. Succinea putris가 숙주인 한 연구에 따르면 기생당한 달팽이는 밝은 곳일 수록 오래 머물렀고 더 높은 초목에 자리를 잡았으며, 더 많은 이동성을 띄었다. 관찰 기간 45분 동안 감염된 달팽이의 경우 완전히 노출된 상태로 53%가 남아있었지만, Leucochlolidium 기생충에 감염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오직 28%만이 남아있었다.[2] 감염된 달팽이의 경우 적어도 한 해는 생존할 수 있고, 촉수 끝의 눈은 계속 사용할 수 있다..[6] 다른 Leucochlolidium 종에 감염된 달팽이는 계속해서 생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지만,[3] L. paradoxum은 때때로 생식 기관의 축소를 보인다.[6]

낭상충의 외형과 행동은 공세적 모방의 한 경우로, 숙주가 먹이와 약간 비슷한 기생충을 포식함으로써 감염된다. 이것은 의태한 생물이 속은 동물을 잡아 먹는 다른 대부분의 공세적 모방과는 다르다.[13]

분류학[편집]

오래된 문학에서 L. paradoxumL. macrostomuum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루돌피가 1803년 묘사한 나중에 Distomum macrostomum으로 재명명되는 Fasciola distomum에서 유례된 것이다. 그후, L. paradoxum은 다른 종인 것으로 나타났고, 현재 루돌피의 종들은 Urogonimus 속이다.[14] Leucochloridium heckerti Kagan, 1951 is also considered a synonym of L. paradoxum.[9]

왼쪽 촉수 안에 레우코클로리디움 파라독섬이 있는 달팽이 Succinea putris

식별[편집]

Leucochloridium종들을 구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숙주 달팽이의 촉수 안 흡충의 외형을 보는 것이다. L. ppradoxum은 짙은 갈색과 검은 반점을 가지는 녹색 띠를 가지고 있으며, 끝은 암갈색 또는 적갈색이다.[9][6] 오늘날 이러한 식별 방법은 리보솜 DNA(llang|en|rebosomal DNA)를 시퀀싱 하는 것으로 뒷받침 될 수 있다.[12] 달팽이는 여러 종류의 Leucochloridium 종들에게 감염될 수 있다.[15]

새의 배설강에서 찾아지는 성충은 덜 알려졌기 때문에 구별하기 어렵다.[12]

서식지[편집]

L. paradoxum은 중간숙주로 자주 이용되는 Succinea 달팽이를 찾을 수 있는 습지 같은 습한 구역에서 발견된다.

분포[편집]

모식산지인 필니츠 엘베강에 있는 섬

L. paradoxum은 원래 필니츠의 엘베강에 있는 섬에서 채집된 낭상충 단계를 기반으로 서술되었다.[1] 알려진 다른 산지로는 폴란드, 벨라루스,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네덜란드, 영국, 일본이 있다.[12][15][9][16] 태평양 로빈슨 크루소 섬의 Leucochloridium 종에 감염된 토착 세미 슬러그(semi-slug) 종이 남반구에서의 유일한 발견 기록이다.[17]

숙주[편집]

중간숙주:

최종 숙주:

    • 얼룩말 핀치 (Taeniopygia guttata) - 실험적[17]

각주[편집]

  1. Carus, C.G. (1835). “Beobachtung über einen merkwürdigen schöngefärbten Eingeweidewurm, Leucochloridium paradoxum mihi, und dessen parasitische Erzeugung in einer Landschnecke, Succinea amphibia Drap. Helix putris Linn.”. 《Nova Acta Physico-Medica. Academiae Caesareae Leopoldino Carolinae Naturae Curiosorum》 17 (2. s., v. 7, pt. 1): 85–100 + Pl. VII. 
  2. Wesołowska, W.; Wesołowski, T. (March 2014). “Do Leucochloridium sporocysts manipulate the behaviour of their snail hosts?”. 《Journal of Zoology》 292 (3): 151–155. doi:10.1111/jzo.12094. 
  3. Kagan, I.G. (1951). “Aspects in the life history of Neoleucochloridium problematicum (Magath, 1920) New Comb. and Leucochloridium cyanocittae McIntosh, 1932 (Trematoda:Brachylaemidae)”.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icroscopical Society》 70: 281–3184. doi:10.2307/3223567. 
  4. Lewis, P.D. (1974). “Helminths of terrestrial molluscs in Nebraska. II. Life cycle of Leucochloridium variae McIntosh, 1932 (Digenea: Leucochloridiidae)”. 《Journal of Parasitology》 60 (2): 251. doi:10.2307/3278459. 
  5. Poulin, R.; Cribb, T. H. (2002). “Trematode life cycles: short is sweet?”. 《Trends in Parasitology》 18 (4): 176–183. doi:10.1016/S1471-4922(02)02262-6. 
  6. Wesenberg-Lund, C. (1931).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he Trematoda Digenea. I. The biology of Leucochloridium paradoxum.”. 《Det Kongelike Danske Videnskakbernes Selskab, Naturvidenskabelig-mathematisk Afdeling》 4: 90–142. 
  7. Tokmakova, A.S.; Ataev, G.L. (2015). “Сезонные изменения в биологии Leucochloridium paradoxum (Trematoda, Leucochlomorphidae)” [Seasonal changes in the biology of Leucochloridium paradoxum (Trematoda, Leucochlomorphidae)] (PDF). 《Parazitologiya》 (러시아어) 49 (3): 200–207. 
  8. Zeller, E. (1874). “Über Leucochloridium paradoxum Carus und die weitere Entwickung seiner Distomenbrut.”. 《Zeitschrift für wissenschaftliche Zoologie》 24: 564–578 + Pl. XLVIII. 
  9. Bakke, T. A. (April 1980). “A revision of the family Leucochloridiidae Poche (Digenea) and studies on the morphology of Leucochloridium paradoxum Carus, 1835”. 《Systematic Parasitology》 1 (3-4): 189–202. doi:10.1007/BF00009845. 
  10. Heckert, G.A. (1889). Leucochloridium paradoxam. Monographische darstellung der entwicklungs- und Lebensgeschichte des Distomum macmstomum. 《Bibliotheca Zoologica》 4: 1–66 + Pls I–IV. 
  11. Ataev, G.L.; Dobrovolskij, A.A.; Tokmakova, A.S. (2014). “Размножение партенит трематод Leucochloridium paradoxum (Trematoda: Leucochloridiidae)” [Reproduction of trematode Leucochloridium paradoxum sporocysts (Trematoda: Leucochloridiidae)] (PDF). 《Parazitologiya》 (러시아어) 47 (2): 178–182. 
  12. Casey, S.P.; Bakke, T.A.; Harris, P.D.; Cable, J. (2003). “Use of ITS rDNA for discrimination of European green- and brown-banded sporocysts within the genus Leucochloridium Carus, 1835 (Digenea: Leucochloriidae)”. 《Systematic Parasitology》 56: 163–168. doi:10.1023/B:SYPA.0000003809.15982.ca. 
  13. Jackson, R. R.; Cross, F. R. (2013). “A cognitive perspective on aggressive mimicry”. 《Journal of Zoology》 290 (3): 161–171. doi:10.1111/jzo.12036. 
  14. Kagan, I.G. (1952). “Revision of the subfamily Leucochloridiinae Poche, 1907 (Trematoda: Brachylaemidae)”. 《American Midland Naturalist》 48 (2): 257. doi:10.2307/2422256. 
  15. Ataev, G. L.; Zhukova, A. A.; Tokmakova, А. S.; Prokhorova, Е. E. (August 2016). “Multiple infection of amber Succinea putris snails with sporocysts of Leucochloridium spp. (Trematoda)”. 《Parasitology Research》 115 (8): 3203–3208. doi:10.1007/s00436-016-5082-6. 
  16. Nakao, Minoru; Sasaki, Mizuki; Waki, Tsukasa; Iwaki, Takashi; Morii, Yuta; Yanagida, Kazumi; Watanabe, Megumi; Tsuchitani, Yoshikazu; Saito, Takumi; Asakawa, Mitsuhiko (October 2019). “Distribution records of three species of Leucochloridium (Trematoda: Leucochloridiidae) in Japan, with comments on their microtaxonomy and ecology”. 《Parasitology International》 72: 101936. doi:10.1016/j.parint.2019.101936. 
  17. Castillo, V.M.; González, H. (2021). “Evidence of parasitism in the semi-slug Omalonyx gayana d’Orbigny, 1835 with Leucochloridium paradoxum (Carus, 1835) sporocysts on Robinson Crusoe Island” (PDF). 《Tentacle》 29: 34–35. 

외부 링크[편집]

Distome (Leucochloridium paradoxum), The Living World of Mollus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