뢰머+뢰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Nina와 Torsten Römer (2010, 셀프 타이머로 제작)

토스텐과 니나 뢰머, 뢰머 + 뢰머 (Torsten und Nina Römer)는 독일에 거주하며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독일-러시아 예술가 커플이다.[1]

생애[편집]

토스텐 뢰머 (Torsten Römer)는 1968년 아헨에서 출생하였다. 뮌스터 국립 쿤스트 아카데미에서 우도 셸(Udo Scheel) 교수 그리고 뒤셀도르프  쿤스트아카데미에서 리사(Rissa), 지그프리드 안징거(Siegfried Anzinger,) 헬무트 페덜레(Helmut Federle)그리고 A.R. 펭크(A. R. Penck)교수의 지도하에 회화를 전공하였다. 1996년에 토스텐 뢰머는 뒤셀도르프 쿤스트페어라인에서 수여하는 여행 장학금을 수상하였다.

니나 뢰머는 1978년 모스크바에서 출생하였다. 그녀는 구소련 작가 유리 발렌티노비치 트리포노프(Juri Walentinowitsch Trifonow)와 우크라이나-러시아-소련의 화가 암쉬이 누르엔버그(Amshey Nurenberg)의 손녀이다. 뒤셀도르프 쿤스트 아카데미에서 헬무트 페덜레와 A.R. 펭크 지도하에 회화를 전공하였다.

니나와 토스텐은 뒤셀도르크 쿤스트 아카데미 시절에 서로 알게 되었으며 함께 펭크의 지도하에 마이스터슐러 과정을 마치게 되었다. 1998년 이후로 베를린에 함께 거주하며 예술가 커플, 뢰머+뢰머로서 예술 프로젝트들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2011년에는 뢰머+뢰머는 크라나흐에서 특별상을 (Lucas-Cranach-Preis) 수상하였다.[2]

작업[편집]

Römer + Römer "당 죄수", 2014
Römer + Römer "General Strike", 2015 (발췌)

Römer + Römer 의 작업에는 회화, 사진, 디지털 아트, 판화공연이 포함된다. 또, 그들은 전시회를 큐레이팅하는데, 사진과 인터넷에서 디지털 이미지의 본질에 대한 그녀의 성찰은 그녀의 모든 작품의 성격을 정의하는 회화적 기법으로 이어진다. 자체 제작한 사진을 대형 패널로 전송하는 작업은 여러 추상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집니며, 부부는 캔버스의 모티프를 색상 영역과 수천 개의 페인트 포인트로 분할하여 특정 거리에서 결합하여 보는 사람의 눈에 선명한 이미지를 형성하게 한다. 작업에 가까워 질수록 추상적인 색에서 더 많은 사람과 사물이 길을 잃게 되는데, 이는 사실적으로 보이는 이미지는 그 자체가 환상임을 드러낸다. 인상 주의적 점묘주의 와는 달리 , 컬러 픽셀은 셀카 시즘 시대에 디지털 이미지의 홍수에 대한 참조로 해석 될 수 있다.

1998년 Römer + Römer는 2006년까지 실행되었으며 주로 벙커에서 실행된 장기 프로젝트 M ° A ° I ° S를 시작했다. 역사적, 정치적 언급은 종종 그들의 주제와 프로젝트의 이유인데, 예를 들어, 베를린 전시회 The Free Will (2005)이 20 일 Mikhail GorbachevHA KYROPT 의 개회사와 함께 Glasnost의 기념일! (스파로! )-오늘 러시아 미술 2004년 Kunsthalle Baden-Baden에서 짜르 시대의 러시아 스파 손님과 관계를 맺기도 했다.[3] Römer + Römer는 역사를 분석하지 않고 미학적 수단으로 재구성한다. 베를린의 낙관주의와 변화의 정신과 함께 예술가 부부는 특히 그림 사이클 카페 비스트로 캐피탈, 맨발로 들어올 수없는 맨발[4]센스에서 도시 생활과 젊은 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심이 있다. 2001년 9월 Römer + Römer는 NATO 로고, Koran의 아랍어 문자, Bundeswehr 엠블럼 및 자화상을 사용한 프로젝트 Infinite Justice에서 페인팅, 컴퓨터 그래픽, 스크린 인쇄 및 에칭을 실험했다. 그들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판타지 부르카에서는 테마별로 상응하는 공연이 베를린, 뒤셀도르프, 토리노, 마이애미,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렸고 그후에, Römer + Römer 는 2003/2004년에 독일-러시아 키스 퍼포먼스 로 더 많은 청중을 확보하게 된다. 또, 그들은 Blind Date Adam & Eve Lottery라는 상호 작용 큐브와 같은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랑의 주제를 추구한다.

2008년부터 아시아, 남미, 북아프리카, 중동, 러시아, 그리고 여러 유럽 국가들을 여행하면서 섬세한 시각으로 포착해서 수집한 모티브들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맥락들을 그들만의 방식으로 해석하여 글로벌화된 세계의 모습을 회화로 표현하고 있다. 베이징의 코스플레이(2009), 카쓰시카 호쿠사이와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오마주로 표현한 기차에서 바라 본 일본의 후지산 50가지 모습(2009) 한국의 항구도시 부산(홍수, 2010), 파리의 방리외(2010), 이스라엘(2011)과 영국 브라이턴 게이 프라이드(2011)에서 영감을 받아 대형 회화 시리즈를 제작하였다.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의 자료 수집 여행에선 카니발 축제, 삼보드로모(2013)에서 공연하기 위해 콘센트라카오 경기장에서 공연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과 퍼포머들의 모습을 작업으로 제작하였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Römer + Römer는 Mecklenburg-Western Pomerania의 구 소련 군사 공항에서 매년 열리는 음악 축제 Fusion을 다룰 예정이다. 그들의 사진에서 그들은 주최자 Kulturkosmos e. V. 자신을 휴일 공산주의라고 부른다. 2017년에 아티스트 커플은 전설적인 버닝 맨 페스티벌에 대한 연구를 위해 미국 네바다의 사막을 여행할 예정이다. 불, 조명 및 LED 제작, 기묘한 설치물, 예술 자동차, 화상 및 파티는 일시적인 도시인 Black Rock City 한복판에서 그녀의 그림에 집중되어 있다.

주요전시[편집]

(GA = 단체전)

  • 2020 Radical Ritual, Lachenmann Art, 프랑크푸르트
  • 2019 Burning Man-Electric Sky, Haus am Lützowplatz, 베를린
  • 2018 Face to Face-Faces of the Hense 컬렉션, Kunsthalle Hense, Gescher (GA)[5]
  • 2018 Sturmhöhen, Schafhof -European Artists 'House Upper Bavaria, Freising (GA)
  • 2017 총파업, Kunstverein Münsterland, Coesfeld[6]
  • 2017 ¿ Qué 오지? 에스 프론 세다, 바르셀로나[7]
  • 2017 Kiss-From Rodin to Bob Dylan, Bröhan-Museum, Berlin (GA)
  • 2017 Wilhelm Morgner Prize Exhibition, Museum Wilhelm Morgner, Soest (GA)
  • 2017 Under Construction, Schau Fenster, Berlin (GA)[8]
  • 2017 회화는 죽었다. Long Live Painting, CCA Andratx, 마요르카, 스페인 (GA)
  • 2016 당 죄수, Kunstverein Kunstkreis Hameln
  • 2015 56. 베니스 비엔날레, 모리셔스 국립 관[9] (GA)
  • 2015 햄스터-힙 스터-핸드폰. 휴대 전화의 마법 아래, Museum Angewandte Kunst, Frankfurt am Main. (GA)
  • 2014 Party Löwe, Freight + Volume Gallery, 뉴욕[10]
  • 2014 Everything for Everyone, Richard Haizmann Museum, Niebüll[11]
  • 2013 Face to Face, Zhan Zhou International Center of Contemporary Art in Beijing, 중국
  • 2013 러시아 베를린, White Nights 페스티벌의 일환, 중앙 전시장, Perm, Russia (GA)[12]
  • 2013 Sambódromo, 마이클 슐츠 갤러리, 베를린[13]
  • 2012 Point Systems-Pointillism에서 Pixel로, Wilhelm-Hack-Museum, Ludwigshafen (GA)
  • 2012 Images of Man-국제 Lucas Cranach 상, Cranach 재단, Wittenberg (GA)[14]
  • 2012 Megacool 4.0-Youth and Art, Künstlerhaus Vienna (GA)
  • 2011 salondergegenwart, Hamburg (GA)[15]
  • 2011 현대 미술 비엔날레, DO ARK Underground (구 Tito 벙커), Konjic, Bosnia-Herzegovina (GA)[16]
  • 2011 Monte Verita, Art Association Montez, 프랑크푸르트 (GA)[17]
  • 2010 나에게 이러지 마 쿤스트 할레 로스 토크[18]
  • 2010 자유를위한 싸움, 광주 시립 미술관, 광주[19]
  • 2010 Inter-cool 3.0-Jugend Bild Medien, Hartware MedienKunstVerein, Dortmund (GA)
  • 2009 테러리스트 No 1, 하이델베르크 미술 협회[20]
  • 2009 실화를 바탕으로, 투데이 미술관, 베이징[21]
  • 2009 베이징의 두 번째 삶, 마티아스 캄플 갤러리, 뮌헨[22]
  • 2009 함께 움직이다-독일과 중국의 현대 미술, 우한 미술관, 우한, 중국 (GA)
  • 2007 Sense of Life, 현대 갤러리, 서울, 한국[23]
  • 2006 Café – Bistro – Capital, Michael Schultz Gallery, 베를린
  • 2005 체첸 야에서 열린 긴급 비엔날레-파리에서 그로즈니, 팔레 드 도쿄, 파리 (GA)까지의 여행 가방
  • 2005–2008 비상 비엔날레에서 또 다른 10 개의 정류장 :[24] Matrix Art Projects, 브뤼셀 / 벨기에; Eurac-European Academy of Bolzano / 이탈리아;[25] 솔라 아트 센터, 밀라노 / 이탈리아;[26] Neatliekama 비엔날레, 리가 / 라트비아; Tallinn Art Hall, 탈린 / 에스토니아; Vancouver International Center for Contemporary Asian Art, 밴쿠버 / 캐나다;[27] Plataforma, 산 페드로 박물관 드 미술, 푸에블라 / 멕시코; 이스탄불 비엔날레 / 터키; World Social Forum & CCA Playspace Gallery, 샌프란시스코 / 미국; 갤러리아 아스날, 비아리스 토크 / 폴란드 (GA)[28]
  • 2005 M ° A ° I ° S VI-자유 의지, 경기장 아래 벙커, 베를린 (GA)[29]
  • 2004 HA KYPOPT! 러시아 미술의 오늘, State Art Gallery Baden-Baden (GA)
  • 2004 Paradise-International Forum of Art Initiatives, New Manege, Moscow (GA)[30]
  • 2003 M ° A ° I ° S V. Paradies,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아래 벙커 (GA)[31]
  • 2003 국제 현대 미술 신기술 축제, 상트 페테르부르크 시각 예술 센터, 상트 페테르부르크, 러시아 (GA)
  • 2002 리버풀 비엔날레, 리버풀 (GA)[32]
  • 2002 빅토리 노, 토리노 비엔날레, 토리노 (GA)[33]
  • 2000 주 8 일 2000 : 유로 카드 : 리버풀, 그래픽 하우스, 리버풀의 Torsten과 Nina

서지[편집]

  • Römer + Römer: Burning Man – Electric Sky, Verlag Kettler, Dortmund 2019, ISBN 978-3-86206-723-7.
  • Summer of love, mit Essays von Anthony-Haden Guest, Peter Frank, Samir Nedzemar und Nick Lawrence, hrsg. von Freight+Volume Gallery, New York 2018
  • bitchMATERial, Katalog zur Ausstellung im Studio 1, Kunstquartier Bethanien, hrsg. von Saralisa Volm, Britta Helbig, Berlin 2018
  • Kuss, Von Rodin bis Bob Dylan, Katalog zur Ausstellung im Bröhan-Museum Berlin, hrsg. von Anna Grosskopf, Tobias Hoffmann, Wienand Verlag, Berlin 2017, ISBN 978-3-86832-375-7.
  • Under Construction (Ausstellungskatalog), hrsg. von Torsten und Nina Römer, Katalog gefördert vom Hauptstadtkulturfonds, Berlin 2017
  • Wilhelm Morgner Preis Ausstellung, hrsg. vom Förderverein Wilhelm Morgner e.V., Soest 2017
  • 56. Venedig Biennale, National Pavilion of the Republic of Mauritius, hrsg. von Ministry of Arts and Culture of the Republic of Mauritius, Mauritius 2016
  • All the World's Futures: 56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La Biennale di Venezia, Okwui Enwezor, Venedig 2015, ISBN 978-88-317-2128-8.
  • Römer + Römer: Wo ist eigentlich gestern, hrsg. von Galerie Michael Schultz, Berlin 2015, ISBN 978-3-939983-64-4.
  • Black Bandits, hrsg. von Haus am Lützowplatz, Ernst Wasmuth Verlag, Tübingen/Berlin 2015, ISBN 978-3-8030-3372-7.
  • Römer + Römer: Sambódromo, hrsg. von Galerie Michael Schultz, Berlin 2013, ISBN 978-3-939983-84-2.
  • OFF SPACES & SITES. Außergewöhnliche Ausstellungsorte abseits des etablierten Kunstmarkts, hrsg. von Julia Brodauf, GKS – Gesellschaft für Kunstförderung und Sponsoring mbH, Bad Honnef 2013, ISBN 978-3-9808298-0-9.
  • Infinity: Neo-expressionism / Contemporary Art, hrsg. von Zhan Zhou Center of Contemporary Art, Beijing, China 2013
  • B Linien, Galerie NLB, Skopje, Mazedonien 2013
  • Wilhelm-Hack-Museum. Punkt.Systeme. Vom Pointillismus zum Pixel, hrsg. von Reinhard Spieler, Barbara J. Scheuermann, Kehrer Verlag, Berlin 2012, ISBN 978-3-86828-350-1.
  • Megacool 4.0 – Jugend und Kunst, hrsg. von Birgit Richard, Heinz-Hermann Krüger, Peter Bogner und das Künstlerhaus Wien, Kerber Verlag, Berlin 2012, ISBN 978-3-86678-744-5.
  • Römer + Römer: Pride in Brighton, hrsg. von Galerie Michael Schultz, Berlin 2011, ISBN 978-3-939983-51-4.
  • Römer + Römer: Reisende, hrsg. von Galerie von Braunbehrens, München 2011, ISBN 978-3-922268-67-3.
  • Salondergegenwart, hrsg. von Christian Holle, Kerber Verlag, Berlin 2011, ISBN 978-3-86678-637-0.
  • Transformationen, hrsg. von Galerie Kampl, München 2011
  • Römer + Römer: Meer der Freundschaft, hrsg. von Peter Funken, Prestel Verlag, München/London/New York 2011, ISBN 978-3-7913-4508-6.
  • Rekonstruktionen. Positionen zeitgenössischer Kunst, hrsg. von Gerhard Charles Rump, B&S Siebenhaar, Berlin, 2010, ISBN 978-3-936962-36-9.
  • Römer + Römer: Fighting for freedom, hrsg. von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 2010, OCLC 781461234.
  • Römer + Römer: Die Flut, hrsg. von Galerie Michael Schultz, Berlin 2010, ISBN 978-3-939983-37-8.
  • Römer + Römer: Second life in Peking, hrsg. von Galerie Kampl, München 2009
  • Römer + Römer: Based on a true story, hrsg. von Today Art Museum, Beijing 2009
  • Römer + Römer: Barfuss kommt Ihr hier nicht rein, hrsg. von Galerie Michael Schultz, Berlin 2008
  • Close-up, hrsg. von Por Amor A Arte Galeria, Porto 2008
  • Auf dem Weg ins Licht, hrsg. von Arie de Knecht, Galerie Michael Schultz, Berlin 2007, ISBN 978-3-939983-14-9.
  • Eroticism 21c, hrsg. von Artsonje Center, Seoul, 2007
  • Römer + Römer: Sense of life, hrsg. von Gallery Hyundai, Seoul 2007, ISBN 978-89-958998-7-8.
  • Römer + Römer: Café Bistro Hauptstadt, hrsg. von Galerie Michael Schultz, Berlin 2006
  • M°A°I°S 6 – Der freie Wille (Ausstellungskatalog), hrsg. von Torsten und Nina Römer und arena Berlin, Hans Schiler Verlag, Berlin 2005, ISBN 3-89930-069-6.
  • HA KYPOPT! Russische Kunst Heute, hrsg. von Mathias Winzen und Georgy Nikitsch, Wienand Verlag, Köln 2004, ISBN 3-87909-835-2.
  • Paradise, hrsg. von Moscow committee for Culture & International Forum of Art Initiatives, Moskau 2004
  • M°A°I°S 5 – Paradies (Ausstellungskatalog), hrsg. von Torsten und Nina Römer, Berlin 2004, ISBN 3-00-013874-9.
  • 1. Berliner Kunstsalon, hrsg. von Edmund Piper, 2004
  • Not in the sky & not on the earth, hrsg. von Museum of Contemporary Art, Skopje 2004
  • Reconnaissance Art, hrsg. von Moscow committee for Culture & International Forum of Art initiatives, Moskau 2003
  • Blumen aus Niemandsland, hrsg. von Präsident des Abgeordnetenhauses Berlin, Berlin 2003
  • International festival of new technologies in contemporary art, hrsg. von Saint-Petersburg´s Center of Visual Arts, St. Petersburg 2003
  • M°A°I°S 4 – The good and the bad (Ausstellungskatalog) Liverpool Biennale, hrsg. von Torsten und Nina Römer, Berlin 2003, ISBN 3-00-011075-5.
  • Motherland/Fatherland, hrsg. von Moscow committee for Culture & International Forum of Art initiatives, Moskau 2002
  • Global Fusion 2002, hrsg. von Claudia Maria Luenig und Maggie McCormick, Wien 2002
  • International Flag-Art-Festival, hrsg. von Department of Worldcup Cultural Affair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2002, OCLC-Nummer 690519642
  • M°A°I°S 2 – Der Tod (Ausstellungskatalog), hrsg. von Torsten und Nina Römer, Berlin 2001
  • 5. Internationaler Kongress für Performance- und Visuelle Kunst. hrsg. von Gallery SOTODO und Schloß Bröllin, Berlin 2000

개별 증거[편집]

  1. Im Ranking von artfacts.net liegen Römer+Römer im obersten Prozent aller lebenden Künstler.
  2. Vera Block: Schnappschüsse fürs Gemälde, Nina und Torsten Römer im Porträt. In: Deutschlandradio Kultur. 15. September 2011; Peter Funken: Römer + Römer. Meer der Freundschaft. Prestel, München u. a. 2011, ISBN 978-3-7913-4509-3, S. 142.
  3. Mathias Winzen, Georgy Nikitsch (Hrsg.): HA KYPOPT! Russische Kunst Heute. Köln 2004.
  4. Peter Funken: Römer + Römer "Barfuß kommt ihr hier nicht rein", Galerie Michael Schultz, 14.6.–26.7.2008 Archived 2018년 9월 17일 - 웨이백 머신, in: Kunstforum International, Band 192, 2008, Ausstellungen: Berlin, S. 261.
  5. “Römer + Römer in der Sammlung Hense, Privatsammlung zeitgenössischer Kunst”. 2018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5일에 확인함. 
  6. Kunstverein Münsterland
  7. Espronceda Center for ART & Culture
  8. Schau Fenster, Raum für Kunst Berlin
  9. National Pavilion of Mauritius 56. Venice Biennale 2015
  10. Freight+Volume Gallery, New York
  11. Richard-Haizmann-Museum, Niebüll
  12. Central Exhibition Hall of Perm, Russ. Museum
  13. Ingeborg Ruthe, Tanze Samba mit mir. Archived 2015년 9월 24일 - 웨이백 머신 In: Berliner Zeitung. 9. September 2013.
  14. Cranach-Stiftung, Wittenberg
  15. salondergegenwart, Hamburg
  16. Biennale of Contemporary Art, D-O ARK Underground
  17. Kunstverein Montez, Frankfurt
  18. Römer und Römer „O tu mir das nicht an!“, Aufstellungseröffnung in der Kunsthalle Rostock. In: Rostock-Heute. 12. Dezember 2010.
  19. Gwangju Art Museum, Korea
  20. Eugenia Hu, Künstlerduo Römer+Römer in Peking und Heidelberg. In: Die Welt online, 23. Mai 2009.
  21. Today Art Museum, Beijing
  22. “Galerie Mathias Kampl, München”. 2021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5일에 확인함. 
  23. Gallery Hyundai, Seoul
  24. Emergency Biennale
  25. Eurac-European Academy of Bolzano
  26. sola Art center, Mailand
  27. Vancouver International Centre for Contemporary Asian Art
  28. Galeria Arsenal, Polen
  29. Arena Berlin
  30. Neue Manege, Moskau
  31. Bunker Alexanderplatz Berlin
  32. Liverpool Biennale
  33. Torino Biennale, Tur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