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승규 (소설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설가 樵霧 柳承畦 선생은 1921년 1월 4일 충북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柳興烈 선생과 成玉伊 여사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관향은 文化, 본명은 在萬.

1956년 <自由文學>지에 李無影 선생 추천으로 문단에 등장, 농촌 농민 제재소설 창작에 일관하여 중단편 「貧農」 「두더지」 「아주까리」 「느티나무」, 장편 「屈辱日誌」 「愛鄕曲」 「푸른 벌」 등 150여 편의 소설들을 발표하였다. 주로 가난한 농민의 한과 농촌사회의 구조적 모순, 일제 강점기 농민의 실상을 표출하여 전환기 농민문학을 활짝 꽃피우고 한국문학사를 빛내었다.

향리에서 필생의 장편소설 「떠꺼머리」를 탈고한 후 1993년 9월 16일 젖은 붓을 던지고 추소리 호반에 누웠다. 뒤따라온 미망인 金顯玉 여사와 함께. 슬하의 惠貞 麟植 남매는 성가하여 농업과 교직에 임하고 있다.

흙의 작가 류승규 선생은 <흙의 문학상> <흙의 문예상> 그리고 제1회 <한국농민문학상> <옥천문화대상>을 수상하였고 창작집 <農旗> <農地> 장편소설 <춤추는 山河> <흙은 살아있다> <익어가는 포도송이> 등의 저서를 남겼다.

―소설가 류승규 문학비 비문 중에서

□ 연보

1921. 1. 4 충북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207-4에서 유흥렬 선생과 성옥이 여사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남. 본명은 재만(在萬), 아호는 초무(樵霧). 영농생활 20년의 경험을 살려 농민 소설 창작에 전념.

1935.3.25 옥천공립보통학교(현 죽향초등학교) 24회 졸업(졸업증서 1128호), 6.25때 16회~24회 생활기록부 소실.

1940. 20세까지 향리에서 영농.

1945. 북한과 만주 등지를 방랑하며 독학으로 문학수업. 소설가 이무영 선생에게 사사

1956.‘자유문학’지에 단편 <예순이>

1957.‘자유문학’지에 단편 <빈농>을 이무영 선생에게 추천 받아 문단 데뷔

1958. 단편 <만세>(자유문학), <폭우>(단원), <눈보라>(자유문학)

1959. 단편 <농토>(신태양), <웅덩이>(수협지), <암벽>(신문예), <경칩>(자유문학)

1960. 단편 <독수리>(신문예), <창조>(자유문학)

1961. 단편 <심판>(자유문학), <세농들>(자유문학)

1962. 중편 <기연>(교육자료)

1963. 장편 <흙은 살아 있다>(새농민), 향리에 가서 1968년까지 농업에 종사 1969년 다시 서울로 가서 집필 생활.

1969. 단편 <지주>(자유문학), <판쇠>(농업연구), <농기>(현대문학), <뱀>(월간문학)

1970 단편 <풋머슴애>(현대문학), <미친 녀석>(월간문학), <천형>(세대), <현옥이>(여학생), 중편 <아주까리>(자유공론>

1971 단편 <치욕>(현대문학), <두더지>(신동아), <돌개바람>(월간문학), <바보>(현대문학), <종가래>(신문학), 장편 <푸른 벌>(우리들)

1972. 단편 <망념첨지>(다리), <종점>(신동아), <산막골 이변>(여성동아), <열연은 계속되고>(한양), <열아흐렛달>(세대), <천수골 뙤약볕>(창조), <곡예>(현대문학), 장편 <흙은 대가를 준다>(새농민), 중편 <농지>(상황)

1973. 단편 <기도>(현대문학), <패연>(자유공론), <봉쇠>(세대), <개구쟁이들>(독서신문), <복사골 내력>(농촌근대화)

1974. 장편 <애향곡>(충청일보), 중편 <중원에 떨치다>(민족문학대계), 단편 <배말양반>(농촌근대화), <착오>(신동아), <지나간 얘기>(현대문학), <순례>(여성동아), <모우비정>(한국문학), <집요>(전국소설가협회 신작 33인집), <자승자박>(미상), <자작지얼>(미상), <멍에>(월간문학), <원두막 인연>(여원), <모녀>(주부생활), <우직의 결실>(북한), <감나무골 리장>(새마을), <초라한 종말>(시문학)

1975. 단편 <질서>(월간문학), <마쇠>(현대문학), <개간작업>(새마을), <철딱서니 없는 녀석>(신동아), 장편 <충절일념>(전우신문)

1976 단편 <뿌리와 노농>(현대문학), <광풍>(단원), <주부>(교육세계), <농군입대생>(새마을), <인간수표>(동광), <새 출발>(선경홍보), <도마름과 견공>(한국문학), <까치집>(현대문학)

1977 장편 <굴욕일지>(월간문학), <춤추는 산하>(새마을), 단편 <사월>(현대문학), <향방>(한국문학), <탈출>(신동아), <망향>(미상)

1978 단편 <고독>(국제사보), <촌로 진노하다>(월간문학), <있을 수 있는 일>(현대문학), 장편 <외롭지 않은 고도>(새어민), <최치원>(소년동아)

1979. 중편 <한계>(신동아), <느티나무>(현대문학)

1980 장편 <당말 사람들>(월간 양계), <엉겅퀴 가시내>(서울 우유), 단편 <짚신은 제날이 좋아>(주간 한국)

1981 장편 <유형장군>(전우신문), <뚝발이>(새 농민), 단편 <귀 먹은 항아리>(월간문학)

1982 단편 <병충해 경보>(월간문학)

1983 단편 <추자골 열기>(광장), <고향에 온 처녀>(주간여성), 장편 <가래울 사람들>(축산진흥), <격랑의 호반>(충청일보), 중편 <관리자>(월간문학)

1984 장편 <금수의 맥박>(한국철도), <말개미뜸 사람들>(품질관리분임조)

1986 단편 <모자>(예술계), <새벽 얘기>(동서문학), 중편 <성전보>(현대문학), <덫>(월간문학)

1987 단편 <가풍>(농민신문)

1988 단편 <영광의 미소>(동서문학)

1989 단편 <신혼열차>(동서문학), <복지마을>(월간문학)

1993년 9월 16일(음력 7월 29일) 오전 8시 50분 지병으로 타계.

1993년 9월 18일(음력 7월 30일) 오전 10시 한국문협, 국제펜 한국본부, 한국소설가협회 공동 주관으로 文人葬 거행.

1999년 5월 15일 충북 옥천군 관성공원에 ‘소설가 류승규 선생 문학비’를 건립.

2003년 8월 26일 10주기를 맞아 제1회 류승규문학제 개최

2023년 제18회 류승규문학제 개최

◇ 상훈 및 공적

· 한국문협, 한국소설가협, 국제펜클럽 회원

· 1978년 한국문인협회 이사

· 1980년 한국소설가협회 편집위원

· 1989년 한국농민문학회 고문

· 1979년 제3회 흙의 문학상(수상작 : 외롭지 않은 고도)

· 1987년 제6회 일붕문학상(수상작 : 덫)

· 1987년 제5회 흙의 문예상

· 1990년 제1회 옥천문화대상

· 1993년 제1회 한국농민문학상

◇ 저서, 미발표 유작

· <농토> (고려서적, 1975)

· <춤추는 산하> (일신서적, 1976)

· <꿈이 있는 사랑> (청산문화사, 1976)

· <흙은 살아있다> (여원사, 1977)

· <사랑이 꽃피는 계절> (상문사, 1978)

· <익어가는 포도송이> (한진출판사, 1983)

· <류형장군일대기> (진주류씨대종회, 1984)

· <농지> (교문사, 1988)

· <농기> (진흥문화사, 1989)

· <농지>(일신서적, 2000)

· <빈농>(우리닷컴, 2003. 10주기 기념작품집)

· <아주까리>(풀길, 2013, 20주기 기념작품집)

· <두더지>(두더지북스, 2023, 30주기 기념작품집)

· 미발표 유작 : 장편 <떠꺼머리>, 단편 <인동초>, <추자골>, <불구자>, <가랫골 신화>

◇ 문학전집 수록 내용

·한국중편소설문학전집권7(국제펜클럽한국본부편, 을유문화사, 1974), <농지> 수록

·신한국문학전집 권30 중단편선집(현대문학사 편, 어문각, 1975), <치욕>, <농기>, <두더지> 수록

·문제작가 33인신작 전집 권1(전국소설가협회 편, 1975), <집요>

·한국단편문학대계 권6(한국문인협회 편, 삼성출판사, 1975), <자승자박>, <지나간 얘기> 수록

·민족문학대계 권5(동화출판공사, 1975), <중원에 떨치다> 수록

·광복30년 문학전집 소설Ⅴ(한국문인협회 편, 정음사, 1975), <순례> 수록

·한국단편문학대전집 권13(동화출판공사, 1976), <곡예>, <착오> 수록

·한국문학전집 권28(삼성당, 1983), <푸른 벌>, <기연>, <아주까리>, <농지> 수록

·충북문학전집 권5(충북문인협회 편, 1983), <세농들>, <철딱서니 없는 녀석>, <자작지얼> 수록

·83우수단편모음(한국소설가협회 편, 행림출판, 1983), <병충해경보> 수록

·현대한국단편문학 권21(금성출판사, 1987), <있을 수 있는 일>, <질서>, <바보> 수록

·정통한국문학대계 권59(어문각, 1988), <한>, <덫>, <멍에> 수록

◇ 류승규 문학상 역대 수상자 및 수상작

2003, 제1회 : 구인환 - 일어서는 산

2004, 제2회 : 정동수 - 꽃비 내리다

2005, 제3회 : 김용만 - 아내가 칼을 들었다

2006, 제4회 : 황선락 - 풍화, 민영이-긴 밤의 여로

2007, 제5회 : 류보상 - 소문난 집

2008, 제6회 : 신동한 - 문단 천일야화, 이만재-호모사피엔스의 축제

2009, 신종플루 확산으로 행사 개최 안함.

2010, 제7회 : 김학진 - 우리들의 빈자

2011, 제8회 : 변이주 - 크고 따뜻한 등

2012, 제9회 : 이영실 - 우리가 사는 땅, 기쁨과 슬픔의 땅

2013, 제10회 : 정현웅 - 고행

2014, 제11회 : 권순악 - 꽃 바람 흙냄새

2015, 제12회 : 김두수 - 크리스마스이브의 사랑

2016, 제13회 : 이동희 - 농민21-벼꽃 질 무렵

2017, 제14회 : 박희팔 - 조홧속

2018, 제15회 : 안수길 - 광풍과 딸꾹질, 당신의 십자가

2019, 제16회 : 우향규 - 소년은 울고 있다

2020, 코로나19로 행사 개최 안함.

2021, 코로나19로 행사 개최 안함.

2022, 제17회 : 신현득 - 사람과 소 이야기

2023, 제18회 : 엄한정 - 엄한정 시전집

소설가 류승규 씨는 <빈농>〈농기〉<예순이〉〈눈보라〉〈판쇠> 등의 많은 작품을 통하여 한국 농민 생활의 가장 친근한 증언자 역할을 해 주고 있다. 류승규씨의 작품은 거의 예외 없이 농민 소설이며, 그것도 일제 때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농촌 상황을 아무런 가감이 없이 묘사하는 것에 역점을 두고 있다.

20여 년간이나 농촌에서 직접 농사를 생업으로 지낸 류승규 씨에게는 이 경험이 문학 이전에 민족적 수난의 연속이었으며, 가난과 억압의 실감이었다. 이래서 씨의 소설은 다른 농촌 소설 작가의 작품과는 달리 농민의 가난=민족의 비극=사회적 정치적 책임이라는 절실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류승규 씨는 농촌을 가장 비서정적인 경제 집단으로 파악하여 작품화하고 있으며 이 점은 앞으로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될 것이다.

―임헌영(문학평론가)

농촌 사람들이 너무 못 살고 굶주리는 게 안타까워 문학을 해야겠다고 작정했었다. 이무영 선생에게 농민문학을 배웠지만 그런 면에서 정신적인 태도가 달랐던 것이다. 스승과 제자이면서도 문학은 판이하였다. 류승규 선생의 소설은 체험을 바탕으로 농촌의 실상을 파헤치고 고발하고 비판하는 것이었다. 체험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 최서해(崔曙海)의 「그믐밤」「탈출」류의 경향에 가까웠다. 또한 그의 소설 전반에는 농민과 농촌에 대한 애정이 일관되게 흐르고 있다.

그러기에 지주와 일제의 수탈에 대해 극심한 적대감을 보이고 있고 근대화에 의해 농촌이 피폐해져 가는 것에도 비판을 하고 있다. 역사의식도 어느 농촌 소설가보다 다른 데가 있었다. 일제뿐만 아니라 6·25를 일으킨 소련과 이 땅에 군대를 보낸 중국과 미국에 대해서도 모두 조선 땅에서 나가라고 외치는 등 세계사적 안목에서 이 땅의 농민들의 수난과 비극을 파악하고 있었던 것이다. 중편집 「농지」가 이러한 비판성 때문에 1987년 출판 과정에서 곤란을 겪기도 했고 「덫」에 나오는 반미 의식이(이미 <월간 문학>에 발표된 것이긴 하지만) 단행본으로 엮어 내는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켰다.

류선생의 중편 「농지」는 그의 이러한 문학적 특성이 잘 나타난다. 농토에 대한 봉수 영감의 끈질긴 애착, 근대화로 인해 피폐한 농촌, 젊은이들의 이농, 6.25로 인한 돌쇠 형제의 죽음, 일제의 억압과 수탈 등 근대사의 얼룩을 여실히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작품 경향은 류선생의 농촌 실정의 사실적인 표출에 의해 실감을 더한다. 농촌의 농사짓는 방법이나 농기구, 산과 들의 풀과 나무, 충청도 내륙지방의 토속적인 방언, 농부들의 내면 심리 등이 잘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 이동희(소설가, 단국대 명예교수)

도시에서 살아 온 작가와 농촌에서 낳기만 하고 커서는 도시 생활만 했던 작가는 이러한 표현 묘사가 불가능한 것이다. 소설 작품이 허구에의 진실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작가, 그 자신의 진실한 체험에 따라서 독자의 감동 차원이 달라진다.

소설을 흔히 말하기를 「어떤 사건의 줄거리를 이야기로 풀어놓은 것」이라고 하지만 무조건 사건 구상에 의하여 그 줄거리만 풀어놓는다면, 이 소설이 일시적으로 흥미는 있을지 몰라도 예술 작품으로서 문학작품으로서의 영원성은 없다는 것이다. 어떤 사건 속에 직접 뛰어든 작가와 간접(사건 구상으로써)적으로 뛰어든 작가와는 그 기본적인 사상, 정신부터 다르다.

류승규는 어떤 작품에서도 간접이 아닌 직접 체험으로 작품 구성을 하기 때문에 독자들은 깊은 곳에서 실감과 감동을 받게 된다.

― 김해성(문학평론가)

작가는 시종일관 농민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갖고 자신의 체험을 중심으로 농촌의 문제와 성실한 농민의 상을 소설에 사실적으로 형상화하였다.

그는 끊임없이 농민을 긍정하고 변호하고 구원하려 했으며 농촌을 살려야 한다고 사실적으로 고발했다. 25년 농사의 일로 농촌에 대한 투철한 문제 의식을 갖고 농촌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허구적 조작 없이 솔직하고 진실되게 형상화한 류승규 특유의 농민소설은 한국문학의 공간을 보다 넓혔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일생을 농민을 위한 소설로 독자들이 외면해도 꿋꿋하게 외길을 걸으며, 성직자가 교리에 몰두하듯 작가는 전답에서 무럭무럭 자라는 농작물, 토실토실 여무는 낟알을 떠나 보람을 느낄 수 없는 구도자의 자세로 농민으로 살며 창작 활동을 하는 태도는 한국소설에서 또 다른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田本秀(전 근명고 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