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료시카 브레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트료시카 브레인(matrioshka brain)은 막대한 연산 용량의 다이슨구 기반의 가설적 메가스트럭처로, 로버트 브래드버리가 제안하였다. 컴퓨터 시스템들을 구동하기 위해 별의 모든 에너지를 사용하는 클래스 B 스텔라 엔진의 한 예이다.[1] 이 개념은 러시아 마트료시카 인형에서 이름을 가져왔다.[2] 이 개념은 발명가 로버트 브래드버리가 《Year Million: Science at the Far Edge of Knowledge》 선집에서 사용하였으며 《로스 앤젤레스 타임스》[3], 《월 스트리트 저널》[4]의 평론가들로부터 관심을 받았다.

개념[편집]

"마트료시카 브레인"은 항성 주위의 다이슨구를 거대한 컴퓨터로 사용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마트료시카 인형은 큰 것 안에 작은 것이 들어가있는 러시아의 끼워넣는 인형이다. 이와 비슷하게 브레인은 항성으로부터의 힘 대부분 또는 전체를 끌어모아 껍질 사이로 전파시키는, 내재된 다이슨 구라고 할 수 있다. 안쪽 껍질은 항성 자체와 온도가 거의 동일하지만 바깥 껍질은 항성 간 우주의 온도와 거의 비슷하다. 이러한 것을 요구하는 공학적인 요구와 자원은 막대하다.

"마트료시카 브레인"이라는 용어는 로버트 브래더리가 마트료시카 브레인과 비슷한 개념인 "주피터 브레인"(크기가 더 작은 행성 규모와 최소한의 신호 전달 지연에 최적화됨)의 대안으로 발명하였다. 마트료시카 브레인의 디자인은 순전히 용량과 원천이 되는 항성에서 추출된 최대 양의 에너지에 집중하는 반면 주피터 브레인은 연산 속도에 더 최적화되어 있다.[5]

잠재적 이용[편집]

이렇게 막대한 연산 자원을 잠재적으로 이용하는 안이 일부 제안되고 있다. 찰스 스트로스는 그의 소설 《아첼레란도》(Accelerando)에서 이 개념을 제안했으며, 이를 이용하여 완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거나 사람의 마음을 마트료시카 브레인이 지원하는 가상 현실 공간으로 업로드하는 것이다. 스트로스는 더 나아가 심지어는 순수 처리 능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강력한 종들이 우주 그 자체의 구조에 공격을 가하고 조작할 수 있다고 넌지시 이야기했다.[6]갓플레이어스》(Godplayers, 2005년)에서 데미언 브로데릭은 마트료시카 브레인이 완전한 교체 우주를 시뮬레이트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 추측한다.[7] 미래학자이자 트랜스휴머니스트 저자 앤더스 샌드버그는 마트료시카 브레인과 같은 대규모 머신에서의 컴퓨팅에 대해 암시하는 글을 썼고, Institute for Ethics and Emerging Technologies가 출판하였다.[8]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Bradbury, Robert J. “Matrioshka Brain Home Page”. 2009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28일에 확인함. 
  2. “Matrioshka Brains – Some Intermediate Stages in the Evolution of Life” (PDF). Department of Astronomy, University of Virginia. 2009년 8월 28일에 확인함. 
  3. Levy, Brett (2008년 8월 26일). “Book Review: 'Year Million: Science at the Far Edge of Knowledge,' edited by Damien Broderick”. 《Los Angeles Times》. 2009년 8월 28일에 확인함. 
  4. Horgan, John (2008년 6월 13일). “The Shape of Things to Come (review of Year Million)”. The Wall Street Journal. 2009년 8월 28일에 확인함. 
  5. “Jupiter & Matrioshka Brains: History & References”. Robert Bradbury. 2010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28일에 확인함. 
  6. Stross, Charles (2006). 《Accelerando》. Ace Books. ISBN 0-441-01415-1. 
  7. Broderick, Damien (2005). 《Godplayers》. Thunder's Mouth. ISBN 1-56025-670-2. 
  8. Sandberg, Anders (1999년 12월 22일). “The physics of information processing superobjects: Daily life among the Jupiter brain” (PDF). 《Journal of Evolution & Technology》 (Institute for Ethics and Emerging Technologies) 5 (1). 2009년 8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