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무중심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군론에서, 무중심군(無中心群, 영어: centerless/centreless group)은 그 중심자명군이다. 완비군(完備群, 영어: complete group)은 내부 자기 동형만을 갖는 무중심군이다.

정의[편집]

중심 자명군이라면, 무중심군이라고 한다. 가 무중심군이며, 모든 자기 동형내부 자기 동형이라면, 완비군이라고 한다.

성질[편집]

에 대하여, 그 자기 동형군으로의 자연스러운 군 준동형

을 생각하자. 이 군 준동형중심 이며, 내부 자기 동형군 이다. 따라서, 무중심군은 위 군 준동형이 단사 함수가 되어, 가 그 자기 동형군부분군과 자연스럽게 동형인 조건과 같다. 완비군은 위 군 준동형이 전단사 함수가 되어, 가 그 자기 동형군과 자연스럽게 동형인 조건과 같다. (내부 자기 동형에 의하지 않은 동형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전자는 자기 동형군부분군동형인 것보다 강한 조건이며, 후자는 자기 동형군동형인 조건보다 더 강하다.)

자기 동형탑[편집]

임의의 무중심군 자기 동형군 는 무중심군이다. 따라서, 자기 동형탑

은 일련의 (정규) 부분군들의 열이다. 임의의 무중심 유한군자기 동형탑은 어떤 유한한 시점부터 커지는 것을 멈춘다. 이는 헬무트 빌란트(독일어: Helmut Wielandt)가 1939년에 증명하였다.[1]:163 무한 기수 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크기 의 무중심군의 자기 동형탑 미만의 어떤 시점부터 커지는 것을 멈춘다.

위상수학적 성질[편집]

임의의 무중심군 자기 동형군 는 유일한 폴란드 군 구조를 갖는다.

[편집]

대칭군 이 완비군일 필요충분조건이다.

참고 문헌[편집]

  1. Rotman, Joseph J. (1995).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4판. New York: Springer. doi:10.1007/978-1-4612-8686-8. ISBN 978-1-4612-8686-8.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