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산성지

문수산성지
(文殊山城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기념물
종목기념물 제34호
(2000년 11월 9일 지정)
수량1개소
위치
주소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천상리 산153번지 일원
좌표북위 35° 32′ 23″ 동경 129° 13′ 11″ / 북위 35.53972° 동경 129.21972°  / 35.53972; 129.21972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문수산성지(文殊山城址)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에 있는 8부 능선에서 정상을 따라 두르듯이 쌓은 테뫼식 산성이다. 2000년 11월 9일 울산광역시의 기념물 제34호로 지정되었다.

현지 안내문[편집]

문수산성은 문수산(해발 599m)의 8부 능선을 따라 테를 두르듯이 돌로 쌓은 테뫼식 산성이다. 성내에서 수습된 토기편과 기와편 등으로 볼 때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울산·언양 일대를 방비할 목적으로 축조된 산성으로 추정된다.[1]

성벽의 평면은 타원형으로 길이 850m정도이다. 남서쪽과 북쪽 일대는 성벽이 비교적 양호하게 남아 있지만 동쪽과 북서쪽 일부는 많이 훼손된 상태이다.[1]

성벽은 내벽과 외벽을 쌓는 협축(夾築)이며 단면은 사다리꼴을 이루는데 가공된 듯한 자연석과 막돌을 이용하여 성돌이 서로 물리도록 쌓았다. 지표상으로 확인된 성벽의 높이는 50~143cm 정도 잔존한다.[1]

문지는 성의 동남쪽에서 확인되며 문지의 내측에서 건물지의 흔적이 보인다. 출토유물로는 성의 동남쪽과 봉우리의 정상부에서 다량의 기와편과 토기편이 수습되었다. 토기편 중에는 사각형의 구멍이 상하로 엇갈리게 뚫린 굽다리접시 편이 있어 삼국시대에 신라가 이 성을 축조하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 성의 북동쪽 5.5km지점에는 고대 굴아화현이 위치하고 있어 ‘굴화산성(屈火山城)’이라고 전해오고 있으나, 문헌상으로는 확인되지 않는다.[1]

각주[편집]

  1. 현지 안내문 인용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