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자리 람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물병자리 람다
명칭
다른 이름 히도르, 엑키시스, 물병자리 73, BD–08 5968, FK5 864, HD 216386, HIP 112961, HR 8698, SAO 146362.[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물병자리
적경(α) 22h 52m 36.87441s[2]
적위(δ) −07° 34′ 46.5542″[2]
겉보기등급(m) 3.722[3]
절대등급(M) –1.5[4]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8.47 ± 0.66 밀리초각[2]
성질
분광형 M2.5 IIIa Fe–1[5]
추가 사항
질량 3.6 M[6]
표면온도 3,835 켈빈[6]
중원소 함량 (Fe/H) –2.25[4]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물병자리 람다(λ Aqr)는 천구 적도 근처 물병자리 방향에 보이는 항성이다. 람다의 고유명칭으로는 고대 그리스 ὕδωρ(‘물’), ἔκχυσις(‘쏟아져 나옴’)에서 나온 ‘히도르’, ‘엑키시스’가 있지만 잘 알려져 있지는 않다. 람다별의 겉보기 등급은 3.722로[3] 맨눈으로 잘 보인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390광년이다.[2]

동양 문화권에서 이 별은 실수의 ‘누벽진’(壘壁陣, Lěi Bì Zhèn)에 속해 있다. 실수를 구성하는 별들은 물병자리 람다, 염소자리 카파, 염소자리 엡실론, 염소자리 감마, 염소자리 델타, 물병자리 요타, 시그마, , 물고기자리 27, 물고기자리 29, 물고기자리 33, 물고기자리 30이 있다.[7] 람다별의 이름은 누벽진칠(壘壁陣七, Lěi Bì Zhèn qī)로 ‘누벽진의 일곱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8]

물병자리 람다는 분광형 M2.5 III의 적색 거성이다.[5] 람다는 반규칙 변광성으로 24.5일, 32일, 49.5일의 변광 주기를 보인다.[9] 람다는 점근거성가지 상태에 있으며 탄소, 산소 성분의 중심핵 주위를 두른 수소와 헬륨을 태워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10]

각주[편집]

  1. “lam Aqr -- Pulsating variable Star”, 《SIMBAD Astronomical Object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7월 1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년 11월),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Gutierrez-Moreno, Adelina; 외. (1966), 《A System of photometric standards》 1, Publicaciones Universidad de Chile, Department de Astronomy, 1–17쪽, Bibcode:1966PDAUC...1....1G. 
  4. Dupree, A. K.; Li, Timothy Q.; Smith, Graeme H. (2007년 10월), “Hubble Space Telescope Observations of Chromospheres in Metal-Deficient Field Giants”, 《The Astronomical Journal》 134 (4): 1348–1359, arXiv:0709.1709, Bibcode:2007AJ....134.1348D, doi:10.1086/520925. 
  5. Eggleton, P. P.; Tokovinin, A. A. (2008년 9월),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6. Tsuji, Takashi (2007년 5월), 〈Isotopic abundances of Carbon and Oxygen in Oxygen-rich giant stars〉, Kupka, F.; Roxburgh, I.; Chan, K., 《Convection in Astrophysics, Proceedings of IAU Symposium #239 held 21-25 August, 2006 in Prague, Czech Republic》, 307–310쪽, arXiv:astro-ph/0610180, Bibcode:2007IAUS..239..307T, doi:10.1017/S1743921307000622. 
  7. 中國星座神話, 陳久金 저.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출판. 2005, ISBN 978-986-7332-25-7.
  8.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7 日”. 2011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20일에 확인함. 
  9. Tabur, V.; 외. (2009년 12월), “Long-term photometry and periods for 261 nearby pulsating M 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0 (4): 1945–1961, arXiv:0908.3228, Bibcode:2009MNRAS.400.1945T, doi:10.1111/j.1365-2966.2009.15588.x. 
  10. Lebzelter, T.; Hron, J. (2008년 1월), “BRITE stars on the AGB”, 《Communications in Asteroseismology》 152: 178–181, Bibcode:2008CoAst.152..178L, doi:10.1553/cia152s178.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