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미얀마계 파키스탄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얀마계 파키스탄인
မြန်မာနိုင်ငံတွင် ပါကစ္စတန်
پاکستانی برمی


총인구
200,000명[1][2]~400,000명[3]
언어
로힝야어, 버마어, 치타공어, 우르두어, 영어
종교
이슬람교
민족계통
근연민족 로힝야족

미얀마계 파키스탄인(버마어: မြန်မာနိုင်ငံတွင် ပါကစ္စတန်; 우르두어: پاکستانی برمی)은 파키스탄 신드주 카라치에 기반을 둔 공동체이다. 미얀마 라카인주가 원산지인 민족인 로힝야족 무슬림들이며, 미얀마 정부와 불교계 다수파의 무슬림 박해로 고국을 탈출했다.[4] 다양한 파키스탄 정부 소식통과 라카인주 역사 학회에 따르면 파키스탄에는 약 20만 명의 로힝야족 난민이 거주하고 있다.[1][2] 그들 모두는 방글라데시인도를 가로질러 위험한 여행을 했고 카라치에 정착했다.[5] 인신매매에 관한 한 보고서는 미얀마인들이 카라치의 불법 이민자들 중 14%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라치로 대규모 로힝야족이 이주하면서 카라치는 미얀마 다음으로 세계에서 로힝야족의 가장 큰 인구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6] 최근 몇 년 동안, 일자리를 찾는 수십 명의 미얀마 여성들이 그 나라에 들어왔다. 다른 자료들은 이 여성들의 수가 수천 명이라고 인용하고 있다.[7]

카라치의 로힝야족과 벵골인[편집]

지역 사회 지도자들과 사회 과학자들에 따르면, 카라치에는 160만 명 이상의 벵골인과 40만 명에 이르는 로힝야족이 살고 있다.[3] 카라치 전역에서 볼 수 있는 수많은 버마인 거주 식민지가 있다. 전통적으로 로힝야족과 벵골인의 문화적 유사성은 카라치에 있는 버마족과 벵골인 공동체의 더 쉬운 소통과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했다. 그들의 모국어인 로힝야어는 특히 치타공에서 온 방글라데시 원주민들과 사투리가 친숙하다. 파키스탄의 버마족들은 민족 간 교류의 결과로서 전통적으로 벵골인들도 포함된 지역에서만 발견된다는 특별한 평판을 가지고 있다. 더 엄격한 통제와 국경 통과의 어려움으로 버마족들은 이제 태국,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베트남, 말레이시아와 같은 미얀마와 가까운 나라들로 동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파키스탄의 로힝야족과 버마족의 수는 최근 몇 년간 감소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Mahmud, Arshad; Owais Tohid (1995년 11월 29일). “Homeless in Karachi”. 《Outlook India》. 2013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 Sajjad, Tazreena (2003년 7월 17일). “SRI On-Site Action Alert: Rohingya Refugees of Burma and UNHCR's repatriation program”. burmalibrary.org. 2016년 12월 26일에 확인함. 
  3. Rehman, Zia Ur (2015년 8월 9일). “Bengali and Rohingya leaders gearing up for LG polls”. 《thenews.com.pk》 (Karachi). 2015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Flood, Derek Henry (2008년 5월 12일). “From South to South: Refugees as Migrants: The Rohingya in Pakistan”. 《The Huffington Post》. 
  5. Hughes, Donna M.; Laura Joy Sporcic; Nadine Z. Mendelsohn; Vanessa Chirgwin (1999). “Factbook on Global Sexual Exploitation: Pakistan: Trafficking”. University of Rhode Island, Coalition Against Trafficking in Women. 23 May 2010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Rehman, Zia Ur (2015년 2월 23일). “Identity issue haunts Karachi's Rohingya population”. 《Dawn》. Their large-scale migration had made Karachi one of the largest Rohingya population centres outside Myanmar but afterwards the situation started turning against them. 
  7. Latif, Aamir (2007년 6월 24일). “Immigrant Dream Shattered in Karachi”. Islam Online. 2016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