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범어사 선종영가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범어사 선종영가집
(梵魚寺 禪宗永嘉集)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유형문화재
1999년 모습 (문화재청)
종목유형문화재 제35호
(1999년 11월 19일 지정)
수량1책
시대조선시대
관리범어사
주소부산광역시 금정구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범어사 선종영가집(梵魚寺 禪宗永嘉集)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에 있는, 중국 당나라 현각(玄覺)의 법문을 적고, 송나라 행정(行靖)이 주를 달아 해석한 것으로, 상하 2권 1책이다. 1999년 11월 19일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중국 당나라 현각(玄覺)의 법문을 적고, 송나라 행정(行靖)이 주를 달아 해석한 것으로, 상하 2권 1책이다. 영가라는 말은 영가현각대사를 가리키는 말로 그가 영가 사람이기 때문이다.

범어사에 소장하고 있는 것은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중종 37년(1542)에 간행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중종 20년(1525)에 만든 판본을 후대에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선종의 요긴한 뜻만을 모아놓은 것으로, 내용을 보면 「모도지의」, 「계교사의」, 「정수삼업」, 「사마타송」, 「비바사나」, 「우필차송」, 「삼승점차」, 「이사불이」, 「권우인서」, 「발원문」 등으로 구성되었다.

임진왜란 이전의 것으로 목판 간행물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