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保寧 聖住寺址 中央 三層石塔)
(Central Three-story Stone Pagoda at Seongjusa Temple Site, Boryeo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20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수량1기
시대통일신라
소유국유
위치
보령 성주사지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보령 성주사지
보령 성주사지
보령 성주사지(대한민국)
주소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번지
좌표북위 36° 20′ 39″ 동경 126° 39′ 20″ / 북위 36.34417° 동경 126.65556°  / 36.34417; 126.65556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保寧 聖住寺址 中央 三層石塔)은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석탑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보물 제20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성주사지 금당지 뒤의 3기의 석탑 중 가운데에 있는 석탑이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고 강력한 국가를 상징하려고 초기에는 튼튼하고 높은 2중 기단을 가진 거대한 3층 석탑을 만들었는데, 통일신라 말기에 이르러서는 3층 석탑의 규모가 작아진다. 이 석탑은 규모만 축소되었을 뿐 형식은 2중 기단 위에 3층 석탑을 세우는 통일신라 말기의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재료는 반려암이며, 높이가 410cm이고, 상륜부가 없어졌다.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있으며, 날카로운 윤곽의 지붕돌이 특징이다. 이 탑은 승탑으로 추정되었으나 성주사 사적기에 적힌 바에 따르면 정광·가섭·약사 여래 사리탑 중의 하나이며, 발굴 조사 결과 다른 곳에서 옮겨온 것으로 밝혀졌다.[1]

각주[편집]

  1. 현지 안내문에서 인용

같이 보기[편집]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