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장목뿔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복장목뿔근
방패연골 바로 오른쪽의, 중간에 표시된 복장목뿔근.
목의 근육을 가쪽에서 본 그림. 복장목뿔근이 표시됨.
정보
이는곳복장뼈자루
닿는곳목뿔뼈
동맥위갑상동맥
신경목신경고리 가지를 통한 C1-C3 성분
작용목뿔뼈를 내림
식별자
라틴어musculus sternohyoideus
영어sternohyoid muscle
TA98A04.2.04.002
TA22168
FMA13341

복장목뿔근(sternohyoid muscle), 또는 흉골설골근(胸骨舌骨筋)은 목뿔뼈복장뼈와 연결하는 얇고 좁은 근육이다. 목뿔아래근육 중 하나이다.[1] 목신경고리에 의해 지배되며, 목뿔뼈를 누른다.

구조[편집]

복장목뿔근은 목뿔아래근육 중 하나이다. 빗장뼈 안쪽 끝의 뒤쪽 경계, 뒤복장빗장인대, 복장뼈자루의 위쪽과 뒤쪽 부분에서 일어난다.[2][3] 이후 위안쪽으로 주행하여 짧은 힘줄로 이루어진 섬유에 의해 목뿔뼈 몸통의 아래쪽 경계에 닿는다.[2][3] 기관의 가쪽으로 주행한다.[2]

신경 분포[편집]

복장목뿔근에는 목신경고리의 가지가 분포한다.[3][4]

변이[편집]

복장목뿔근은 두 개 존재하거나, 복장목뿔근 가쪽에서 나란히 주행하는 'cleidohyoideus'라 불리는 부가적인 근육이 있거나,[5] 일부 사람들에서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기능[편집]

복장목뿔근은 여러 기능을 한다.

추가 이미지[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복장목뿔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참고 문헌[편집]

Public domain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393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Chokroverty, Sudhansu (2009년 1월 1일). Chokroverty, Sudhansu, 편집. 《Chapter 7 - Physiologic Changes in Sleep》 (영어). Philadelphia: W.B. Saunders. 80–104쪽. ISBN 978-0-7506-7584-0. 
  2. Kim, Jong Seung; Hong, Ki Hwan; Hong, Yong Tae; Han, Baek Hwa (2015년 3월 1일). “Sternohyoid muscle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Otolaryngology》 (영어) 36 (2): 190–194. doi:10.1016/j.amjoto.2014.10.028. ISSN 0196-0709. PMID 25484367. 
  3. Fessler, Richard G.; Kim, Daniel H. (2012년 1월 1일). Quiñones-Hinojosa, Alfredo, 편집. 《Chapter 191 - Surgical Approaches to the Cervicothoracic Junction》 (영어). Philadelphia: W.B. Saunders. 2177–2191쪽. ISBN 978-1-4160-6839-6. 
  4. McHanwell, Steve; Watson, Charles (2009년 1월 1일). Watson, Charles; Paxinos, George; Kayalioglu, Gulgun, 편집. 《Chapter 7 - Localization of Motoneurons in the Spinal Cord》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94–114쪽. ISBN 978-0-12-374247-6. 
  5. Wisco, Jonathan J. (2009년 10월 10일). “Bilateral accessory cleidohyoid in a human cadaver”. 《International Journal of Anatomical Variations》 (영어) 2 (1). ISSN 1308-4038. 
  6. Hirano, M.; Koike, Y.; Leden, H. von (1967년 1월 1일). “The Sternohyoid Muscle During Phonation: Electromyographic Studies”. 《Acta Oto-Laryngologica》 64 (1-6): 500–507. doi:10.3109/00016486709139135. ISSN 0001-6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