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넬 (마이크로아키텍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넬(Bonnell)은 인텔 아톰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CPU 마이크로아키텍처로, 주기당 최대 2개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1][2] 다른 많은 x86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찬가지로 실행 전에 x86 명령어(CISC 명령어)를 더 간단한 내부 작업(때때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라고도 하며 사실상 RISC 스타일 명령어라고도 함)으로 변환한다. 대부분의 명령어는 변환 시 하나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생성하며, 여러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생성하는 일반적인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명령어의 약 4%가 있다. 둘 이상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생성하는 명령의 수는 P6넷버스트 마이크로아키텍처보다 훨씬 적다. 본넬 마이크로 아키텍처에서 내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ALU 연산과 관련하여 메모리 로드와 메모리 저장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므로 x86 수준과 더 유사하고 이전 설계에서 사용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보다 더 강력하다.[3] 이는 두 개의 정수 ALU만으로 명령어 재정렬, 추측 실행 또는 레지스터 이름 변경 없이 비교적 우수한 성능을 가능하게 한다. 투기적 실행(speculative execution)이 없는 경우의 부작용은 멜트다운스펙터에 대한 무취약성이다.

따라서 본넬 마이크로 아키텍처는 와트당 성능 비율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P5i486과 같은 이전 인텔 설계에 사용된 원리를 부분적으로 부활시켰다. 그러나 하이퍼스레딩은 일반적인 단일 스레드 종속성을 피함으로써 전체 파이프라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쉬운(즉, 저전력) 방식으로 구현된다.[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Moriarty, Jeff (2008년 4월 1일). 'Atom 101' - Deciphering the Intel codewords around MIDs”. 2010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4일에 확인함. 
  2. Lal Shimpi, Anand (2010년 1월 27일). “Why Pine Trail Isn't Much Faster Than the First Atom”. AnandTech. 2010년 8월 4일에 확인함. 
  3. Lal Shimpi, Anand (2008년 4월 2일). “Intel's Atom Architecture: The Journey Begins”. AnandTech. 2010년 4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