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고민수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6년 전 (Dus2000님) - 주제: 저작권 침해 행위 경고

고민수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위키백과에 기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편집]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만들어주신 동화(assimilation)문서는 음운 동화 문서와 내용이 중복되는 것으로 보여 일단 삭제신청을 해두었습니다. 음운 동화 문서를 보시면 자음 동화, 모음 동화 부분이 아직 문서가 없는데 이 문서들을 생성해주시는것은 어떨런지요? --아들해 (토론) 2008년 5월 18일 (일) 13:36 (KST)답변


그 동화와 내용이 다릅니다. 기존의 음운동화로 생성되어 있던 문서는 자음과 모음 자체의 학교문법만 반영된 반면 제가 생성한 동화는 서울대 김방한 선생님의 책에서 발췌한 정확한 동화의 종류와 그 예를 설명한 것입니다. 함부로 삭제신청 하시지 말고 알아보고 신청해주세요. 음운 과정(phonological process)의 가장 보편적인 유형들입니다. 모음조화 자음동화 이런식으로 분류해놓는 것과 다른 문제입니다. 자음 동화 모음 동화 이런것은 매우 미시적인 동화의 구체적 부분이고 제가 작성한 것은 동화를 음운 과정의 보편적 유형들로 일단 나눈 것입니다. 그 이후에 세부적 항목에서 음성학적인 조화, 동화, 이화, 구개음화 등이 들어가는 것입니다. 자기가 아는 거나 신경써주세요. 동화에 대해 '정의' '동화의 방향' '동화의 과정' 이 셋 을 모두 기술해야 합니다. 님이 말씀하신건 오직 세번째 중에서도 미시적인 부분입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고민수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네, 잘 모르는데 함부로 삭제신청해서 죄송합니다. --아들해 (토론) 2008년 5월 19일 (월) 00:23 (KST)답변

표제어 선정과 관련하여[편집]

반갑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표제어 선정 시 성긴 데이터 (Sparse data)와 같이 한국어와 외국어(원어)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위의 예와 같은 문서를 만들어 주신다면 성긴 데이터라는 표제어로 생성해 주셔야 합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한국어 표제어를 원칙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특별한 전문용어가 아닌 경우 외국어(원어)의 해당 문서로의 불필요한 넘겨주기 또한 만들고 있지 않습니다.

한가지 더 덧붙여 말씀드리면 문서를 생성하실 때에 문서 머릿말은 표제어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성긴 데이터 문서를 생성하셨다면 해당 문서는 성긴 데이터는...으로 시작하여 먼저 정의를 내려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작성하여 주시는 것이 백과사전에 더욱 어울리는 서술이 될 것이라 사료됩니다. 정의가 없을 경우 삭제대상 문서가 될 수 있습니다. :) -- 산들바람 (토론) 2008년 5월 23일 (금) 13:27 (KST)답변

성긴 데이터의 원문에 저작권이 있으므로, 번역한 글은 GFDL의 적용을 받을 수 없습니다. -- ChongDae (토론) 2008년 5월 24일 (토) 00:34 (KST)답변


아, 형식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sparse data 에 대한 한국어 번역어가 확정되지 않았고, 이 분야 전공자들이 전부 스파스 데이타, 스팔스 데이터, 등으로 대강 부르는 형국이서, 제가 성긴 자료, 성긴 데이터 등으로만 등록을 한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지 않을까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고민수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그럴때는 고민수님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이름으로 올려 주시고, 그외의 명칭은백:넘겨주기문서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또한 표제어는 이동기능을 통해 얼마든지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누군가에 의해 해당 표제어보다 더 올바르다고 생각되는 이름이 있다는 합리적인 근거가 제시된다면 그때 다시 이동을 하면 그만입니다. 따라서 표제어 정하는데 그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촌철살견 (토론) 2008년 5월 24일 (토) 22:38 (KST)답변

환영합니다 ^^[편집]

반갑습니다 ^^. 다름이 아니라 사용자 토론이나 사랑방, 삭제 토론 등에 글을 올리실때 님이 쓰신 내용 맨뒤에 ~ 4개를 붙혀주세요. 서명을 하면 다른 사람들이 쉽게 누군지 알아볼수 있답니다. 장현창 (토론) 2008년 5월 24일 (토) 21:34 (KST)답변

그림:Withorwithoutsparsedata.jpg 그림관련[편집]

해당 그림은 저작권 침해가 의심되어 삭제 신청하였습니다. 이런 류의 그림은 귀찮더라도 원본을 참조하여 직접 그려서 이용해 주세요.--촌철살견 (토론) 2008년 5월 24일 (토) 22:34 (KST)답변

서강대학교의 각종 UI와 로고[편집]

반갑습니다. 업로드 해 주신 그림들은 해당 학교에 그 저작권이 귀속되어 있어 자유로운 사용이 제한 된 비자유 자료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이러한 비자유 자료의 사용을 허락하고 있지 않습니다. 고로 저작권 침해에 해당 부득이 삭제될 것입니다. -- 산들바람 (토론) 2008년 5월 26일 (월) 12:20 (KST)답변

토론 페이지를 무단으로 지우지 마세요. -- 산들바람 (토론) 2008년 5월 26일 (월) 12:56 (KST)답변

서강대 측에서 공식 배포용으로 제작한 UI 입니다. 알지도 못하면서 함부로 삭제 신청 하지 마십시오. --IHSV (토론) 2008년 5월 26일 (월) 12:59 (KST)답변

서강대 심볼을 볼펜에 찍어서 전국에 팔아도 되나요? 위키백과의 규칙을 문턱으로 느끼시고 있군요. 일단 백:저작권부터 읽어주시고, 그 뒤에는 이 수필을 참고해주십시오. --Dus|Adrenalin (토론) 2008년 5월 26일 (월) 13:03 (KST) (아놔 이놈의 편집충돌)답변
서강대학교 홈페이지 하단의 (c) 2008 Copyright Sog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라는 표현이 보이시나요? 해당 홈페이지에 게시된 자료들이 모두 서강대학교에 저작권이 귀속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운로드 가능하다해서 일반에 자유로운 무단 사용을 허락한 것이 아닙니다. 저작권에 대하여 좀 더 알아보시면 이해가 가능하실 것입니다. 지속되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저작권 침해 행위가 지속될 경우 단기 차단을 신청하도록 하겠습니다. -- 산들바람 (토론) 2008년 5월 26일 (월) 13:01 (KST)답변

저작권 침해 행위 경고[편집]

안녕하세요, 고민수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그림:Albatrosui01.gif‎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다른 이의 배타적인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복사하셔서 저작권을 침해했기 때문에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산들바람 (토론) 2008년 5월 26일 (월) 13:03 (KST) 고민수님, 잠시 주목해 주세요. 고민수님이 위키백과에 해 주신 편집은 문서를 훼손했기 때문에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답변
이전의 편집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세요. 길라잡이질문방 등을 참고하시면 작성하신 내용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더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이 계속될 경우 관리자에 의하여 편집이 차단되거나 제한될 수 있습니다. 좋은 편집을 부탁드립니다. 새로 오신 분을 쫓아내고 싶지 않습니다. 제발 진정하시고 이 수필부터 읽어주세요. 고민수님께 드리고 싶은 말이 여기 다 있습니다. --Dus|Adrenalin (토론) 2008년 5월 26일 (월) 13:0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