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송호영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6년 전 (Filmluv님) - 주제: 양도성예금증서편집관련

김양은[편집]

반갑습니다. 해당 문서는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측면에서의 저명성이 부족한 인물로 백과사전에 등재되기에는 아직까지 조금은 부족한 측면이 있어 부득이 삭제를 신청하였습니다. 저명성을 나누는 기준에 있어 주관적인 측면이 다수 포함될 수 있으나 각종 포털사이트를 비롯하여 검색엔진에서의 검색 결과등을 고려하여 최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니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 산들바람 (토론) 2008년 5월 14일 (수) 20:23 (KST)답변

백과사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서부터 생각해보시면 삭제 이유를 납득하실 것입니다. adidas (토론) 2008년 5월 15일 (목) 15:18 (KST)답변

당부[편집]

사용자토론:Ugi08 페이지에 있는 {{환영}} 틀을 제거하셨던데 해당 틀은 해당 사용자를 위한 도움말입니다. 고로 다른 사용자가 임의로 지워서는 안됩니다. 해당 사용자 페이지는 되돌렸으나 이와 유사한 편집을 하신 전례가 있으시다면 되돌려 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 -- 산들바람 (토론) 2008년 5월 15일 (목) 15:31 (KST)답변

양도성예금증서편집관련[편집]

편집하신 양도성예금증서와 관련하여 여러 문제점이 있어서 알려 드립니다.

우선 주석과 관련된 것인데 위키백과에서의 주석의 용도는 일반적인 서적등에서 사용하는 것과는 용도가 다릅니다. 주석은 해당내용에 대한 출처등을 밝히기 위해 사용하는것이며, 편집하신것과 같이 부가적인 설명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해당 문서 주석10번의 경우, 무기명CD의 폐해를 막기위해 실물교부를 금지하고 등록발행을 실시한다 라는 내용에 필요한 주석은 그것과 관련된 부가적인 내용이 아니라 해당 내용을 읽은 독자가 그내용이 사실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출처를 제시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송호영님이 쓴 것 같이 '개인 및 일반법인의 경우에는 발행(은행) 및 예탁기관(증권예탁결제원)간 전산시스템이 준비되는 대로 실시할 예정이다.'라는 내용을 주석에 써버리면 그 주석내용에 대한 출처확인을 위한 주석이 또 필요하게 됩니다. 주석의 올바른 용도는 편집하신 주석24번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부가적인 설명을 위한 주석이라면 <ref></ref>를 사용하는게 아니라 문서에 직접 서주는 방식으로 편집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위키백과는 어디까지나 백과사전이므로 해당 표제어에 맞는 내용을 설명하셔야 합니다. 양도성 예금증서라는 문서는 양도성 예금증서에 관한 내용만 설명하면 되는 것이며, 해당내용과 연관있는것을 모두 서술할 필요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음악이라는 문서에서는 음악과 관련된 일반적인 내용만 설명하면 충분하고, 음악산업과 관련된 내용은 음악산업이라는 문서에 자세하게 설명하면 됩니다. 편집하신 내용이 CD와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인 문서내용을 보면 CD에 대한 설명이라기 보다는 대한민국의 CD거래현황에 대한 설명에 가까워 보입니다. 아마도 언급하신 참조문서가 한국은행의 책자이니 그런것 같습니다만, 그 중에서 CD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만 추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문서를 편집하실때 CD를 모르는 사람에게 CD를 어떤식으로 설명해야 좋을까 생각해 본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문서토론에 남기신것과 관련해 인터위키에 대해 오해가 있으신 것 같은데, 인터위키는 동일한 항목에 대해 다른 언어로 된 설명을 연결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문서에 연결된 en:apple을 통해 영어로는 어떻게 사과에 대한 설명이 적혀있는지를 확인할수 있게 합니다. 즉 CD라는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인 이상 해당 인터위키를 다른 나라의 CD제도등으로 연결해서는 안됩니다. 송호영님이 의도하신 바대로 인터위키를 연결하려면 대한민국의 CD제도라는 문서를 만들었다면 인터위키로 연결된 문서는 다른나라언어로 설명된 대한민국의 CD제도 이어야 합니다. 대한민국의CD제도 와 미국의CD제도를 연결하면 안되는 거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언급하신 한국은행의 발행책자에 관한건데, 책자의 내용을 그대로 쓰면 저작권침해에 해당됩니다. 참조서적은 해당 내용을 읽고 필요한 내용을 직접 정리하여 서술하셔야하며, 참조한 서적을 문서의 참조문단등을 통해 밝히면 더욱 좋습니다.

다른 문제는 송호영님께서 직접 또는 저같은 다른 사용자가 수정을 통해 보완해 나가면 충분하나, 저작권침해와 관련되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편집하신 내용을 삭제신청을 할 예정입니다. 기여하신 부분이 사라지게 되어 안타깝지만 너무 실망하지마시고 앞으로도 많은 기여 부탁드립니다.(저작권만 주의하신다면 문서내용이 삭제되지는 않으니 앞으로 편집하실때 특히 저작권침해에 해당되지 않는지를 확인하세요. 또한 앞으로 위키백과 활동시에 의문이나 문제가 있으시면 언제든지 토론란에 글을 남겨주세요.)--촌철살견 (토론) 2008년 5월 31일 (토) 03:12 (KST)답변

송호영님이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 아니라, 아직 초보사용자라 위키백과의 저작권 정책에 대해 잘 모르시기 때문일 뿐입니다. 이미 말씀드렸다시피 출처에 관한 부분이나, 편집과 관련된 부분은 송호영님이나 저 또는 다른 사용자가 같이 수정을 하면 그만이지만 저작권관련사항은 수정으로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닙니다. 이메일로 게제 가능함을 문의하셨다고 하셨는데 해당문서의 저작권을 포기하거나 또는 GFDL로 전환할 생각이 있는지를 물으셨다면 대답은 아니요였을겁니다. (대한민국의 정부와 정부기관들은 자신들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보호에 엄격하거든요.) 아마 이메일 답변을 한 담당자 또한 웹상에서의 불펌은 공공연한 일이기때문에 혹은 위키백과란 곳에 대해 모르기 때문에 건성으로 대답하였을 확률이 높습니다. 송호영님의 편집이 삭제되는 이유는 단지 저작권문제 때문이며 편집의 질이 떨어진다던가 내용이 엉터리라던가 하는 이유가 아니므로 너무 상심하지 마시고 앞으로도 많은 기여 부탁드립니다.--촌철살견 (토론) 2008년 6월 1일 (일) 04:1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