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시간들 새 로마식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5년 전 (시간 파리님) - 주제: 표기법 관련 위키백과 공간 문서 수정에 대해서

시간들 새 로마식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Rlagmlrn5u (토론) 2009년 4월 2일 (목) 12:53 (KST)답변

환영[편집]

저 아시죠? 베버리 힐스에 산다고 뭐라고 물어봤던... 그 사용자입니다. 여기서 꽤 중견이구요, 물어볼 거 있으심 언제든 물어보세요. ^^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3일 (금) 07:01 (KST)답변

외래어 표기[편집]

맞는 발음으로 고쳐주시고 있는 점 감사드립니다! 외래어 표기 1조 5항의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틀:통용 표기 사용)는 부분이 있다는 사실 잊지 말아주시길! (세븐, 리듬, 이즘 등) 또, 위키백과:편집 지침#저작물의 명칭과 표기와 같은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꼼꼼히 잘 살펴보시고 편집해주세요! :) 외래어 표기법의 용례 등에서 더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닭살튀김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13:23 (KST)답변

표기법 관련 위키백과 공간 문서 수정에 대해서[편집]

백:외국어의 한글 표기에 의해서 위키백과에서는 기본적으로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표기를 사용합니다. 또한 IPA 발음기호 중 아직 외국어 표기법에 적용되지 않은 기호가 많이 있습니다만, 그렇다고 그것을 시간들 새 로마식님이 생각하시는 방식대로 바꾸는 것은 백:독자연구 금지에 어긋나는 내용이라고 봅니다. 확인 가능한 출처가 없는 내용은 신뢰받을 수 없으니까요. 그래서 시간들 새 로마식님의 몇가지 편집을 되돌렸습니다.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더위먹은민츠(발자취) 2009년 4월 3일 (금) 15:01 (KST)답변

아 그리고, 해당 발음의 표기법이 국립국어원에서 아직 안 정해졌다면, 토론을 통해 위키백과에서 어떻게 표기할 것인지 먼저 정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일단 시간들 새 로마식님이 편집하신 공간은 위키백과:로 시작하는, 위키백과의 규칙을 담는 공간이니까 일방적인 편집은 조금 곤란한 것 같습니다. 계속 님의 편집을 되돌려서 죄송합니다만, 먼저 토론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 --더위먹은민츠(발자취) 2009년 4월 3일 (금) 15:07 (KST)답변
그렇게 따지면 위키백과:독일어의 한글 표기#위키백과상 표기 세칙이랑 위키백과:러시아어의 한글 표기#위키백과 추가 표기법도 버려야겠군요. 제 수정에 대한 '확인 가능한 출처'를 드리겠습니다.
영영 사전에서 [ʊ], [u]로 다르게 쓰여 있는 발음은 영한 사전에서 [u] 하나로 쓰여 있습니다.
영영 사전에서 [ɜ], [ə]로 다르게 쓰여 있는 발음은 영한 사전에서 [ə] 하나로 쓰여 있습니다.
영영 사전에서 [ɪ], [i]로 다르게 쓰여 있는 발음은 영한 사전에서 [i] 하나로 쓰여 있습니다.
영영 사전에서 [ɒ], [ɔ]로 다르게 쓰여 있는 발음은 영한 사전에서 [ɔ] 하나로 쓰여 있습니다.
이건 제가 맘대로 지어낸 게 아닙니다. 실제로 영영 사전과 영한 사전의 발음 기호는 다른데, 영한 사전은 아직로 개정 전의 표기를 쓰기 때문입니다. 외래어 표기법도 영한 사전 IPA를 기준으로 한 개정 전 표기에 맞춰 적혀 있다 보니 영영 사전이 도입한 새 기호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 영영 사전 IPA와 영한 사전 IPA를 대조해 본 뒤 추가 사항을 확인하고, 현재 정해져 있는 표기법과 달라지지 않게 영영 사전에서만 쓰이고 영한 사전에서는 쓰이지 않는 IPA에 대한 한글 표기를 추가한 것입니다. 제가 추가한 그 기호들을 반영한다 할지라도 표기가 바뀌는 단어는 없습니다.
제가 또한 성절 자음 관련해서 추가를 했는데, 그 조항이 없으면 rhythm, people 등은 '리덤', '피펄'로 적어야 합니다. 성절 자음을 발음할 때 등장하는 [ə]를 '으'로 적어야 한다는 규정이 현 외래어 표기법에는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하나같이 성절 자음에 등장하는 [ə]는 '으'로 적으므로, 현재 굳어진 표기에 맞도록 제가 그 조항을 추가한 것입니다. 또한 media도 외래어 표기법 제6장 (5)(가)에 따르면 '미디아'로 적어야 하지만, '미디어'로 적으므로 media는 제6장 (5)(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추가한 것입니다.
결론은 전 단지 당연히 있어야 하는 내용을 더해 놓은 것에 불과하며, 외래어 표기법(특히 굳어져 있는 외래어 표기)에 더 명확하게 설명했다면 설명했고 약점을 보완했다면 보완했지 사실상 아무 영향도 끼치지 않았습니다. --시간들 새 로마식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15:19 (KST)답변
우선 국립국어원 표기법 이외에 다른 표기법이 붙어있는 문서는 독일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일본어가 있습니다만, 일본어는 국어연구원의 답변을 토대로 보강한 것이므로 독자 연구라고 할 수 없으니까 제쳐놓겠습니다. 나머지 세 언어 문서 중 러시아어는 백:사랑방/2006년 1월에 토론이 있었구요, 독일어하고 스페인어는 없었군요. 그런데 네 개 문서 모두 (스페인어는 편집된지 얼마 안 돼서 좀 그렇기도 합니다만) 이미 상당한 시간 동안 이의 없이 계속되어 준수되어 온 것이므로, 삭제에는 무리가 있을 거라 봅니다. 하지만 시간들 새 로마식님이 편집하신 영어 표기법은 어떠한 출처에도 기대지 않았고, 토론을 통한 총의를 얻은 것도 아닙니다. 물론 영영사전의 발음표기와 영한사전의 발음표기가 시간차가 있어 많은 차이가 있는 건 맞습니다만, 현재 바뀐 발음에 대한 확인 가능한, 다시 말해서 인터넷이나 책으로 이러한 발음으로 표기한다!는 규칙이 없었기 때문에 바로 추가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해당 페이지의 토론 문서에서 토론을 거쳐서 확정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더위먹은민츠(발자취) 2009년 4월 3일 (금) 15:50 (KST)답변
영영 사전/영한 사전을 구체적인 사전명을 밝히지 않은 채 마치 고유 명사처럼 써서 지나치게 단정적으로 말씀하시는 것 같군요. 모든 영한 사전이 그렇게 표기하고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게 표기하고 있는 영한사전의 표기 원칙도 잘 모르시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ʊ], [u]를 모두 [u] 하나로 표기하는 게 아니라 [u], [uː]로 구별해서 표기를 한 거죠. 또한 [ɜ][ər] 혹은 [ɚ]로 표기를 했지 [ə] 하나로만 표기를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영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발음기호는 사전마다 학자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실제 발음 그대로 IPA로 전사하는 게 아니라 IPA를 기반으로 하되 어느정도 지역적, 문화적 발음의 편차를 고려해서 정규화되면서도 지나치게 복잡하지 않은 표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한국의 많은 영한 사전에서 사용하는 표기법은 과거 영어의 발음을 표준적으로 표기하는 데에 널리 사용하게 된 표기법인데 이 표기법은 영어를 배우는 외국인 입장에서 모음의 음질적 차이(qualitative)를 단순한 장단의 차이(quantitative)로만 인식되게 할 가능성이 있어서 이후 영국에서 발간되는 많은 영어 학습자용 사전에서는 A.C. Gimson의 표기법을 Clive Upton이 개량한 발음 표기법을 채택하고 있는 겁니다. 사실 이 표기법도 정확한 IPA의 전사 표기법이 아닙니다. 영어 무기파찰음의 기음 표기나 영어 r의 정확한 발음 기호 표기 등에서 보면 IPA의 정확한 표기가 아닙니다. 즉 IPA가 개정이 되었거나 영어에서 표준 발음 표기법이 새로 변경되었는데 한국의 사전들이 이를 업데이트 하지 못해서 잘못된 표기를 하고 있다는 주장은 잘못 된 겁니다. 추가로 위키백과:영어의 한글 표기 문서에 [ɒ]를 '오' 혹은 '아'로 표기할지에 대한 문제도 '아'로 표기한다고 적으셨던데 이게 언제 누구의 의해서 결정이 된 사항인가요? 아니면 시간들 새 로마식님의 독자연구 결과 나온 결론인가요? [ɒ]라는 발음 자체가 미국식 영어에는 없고 영국식 발음에 있는 건데 차라리 '오'라고 적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 않을까요? --시간 파리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16:16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