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엔비레즈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8년 전 (Synparaorthodox님) - 주제: 퀀텀닷

엔비레즈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환영합니다 (토론) 2016년 4월 25일 (월) 17:01 (KST)답변

저작권 침해에 대한 경고[편집]

귀하께서 작성하신 문서들은 백: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는 문서들이오니 타 웹사이트에 있던 내용들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는 편집을 하지마십시오. 저작권 침해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 자신에게 있음을 알립니다.--58.123.52.22 (토론) 2016년 4월 25일 (월) 20:55 (KST)답변

위키백과에 올리는 내용은 CC-BY-SA 라이선스에 따라 누구나 이용, 수정,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저작물이어야 합니다.[편집]

위키백과는 다른 곳에 있는 글을 복사해서 생성하는게 아닌 본인이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175.197.33.7 (토론) 2016년 4월 26일 (화) 18:48 (KST)답변

계정 차단 경고[편집]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는 문서 생성 또는 편집을 하지 말아달라는 지적에도 같은 행동을 반복하고 계시는데 향후 이같은 행동이 지속될 시에는 백:사용자 관리 요청에 따른 계정 차단이 이뤄질 수도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저작권 침해에 대한 책임은 기여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58.123.52.22 (토론) 2016년 4월 26일 (화) 21:20 (KST)답변

퀀텀닷[편집]

생성하신 퀀텀닷의 설명은 삭제 토론에서도 나오다시피 한경 경제사전의 내용을 그대로 베꼈기 때문에 저작권을 침해합니다. 그 웹 페이지의 내용을 출처로 쓰면서도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 설명이 필요합니다. 이런 식으로요 -

퀀텀닷은 나노미터(nm, 1nm는 10억분의 1m) 단위 크기의 반도체 결정 물질로, 양자 역학적 효과를 통해 특이한 전기적·광학적 성질을 보인다. 크기에 따라 흡수하는 빛의 파장이 달라져 태양전지가 흡수하는 빛의 영역을 늘릴 수 있다. 발광하는 빛의 파장도 크기에 따라 달라져 디스플레이 소재로서 기존에 볼 수 없던 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 사용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 픽셀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크기가 생체 분자와 비슷해 생체 내에서의 활용도 가능성이 있다.

--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4월 27일 (수) 10:1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