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Adrenalin/보존문서3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1년 전 (Adrenalin님) - 주제: 안녕하세요.

복귀?[편집]

하신건가요? 어제서부터 버닝 모드로 전환하시네요;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5일 (화) 10:32 (KST)답변

"일"이 끝났습니다 ㅎㅎ 여유 되시면 IRC 오시겠어요?--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5일 (화) 10:35 (KST)답변
지금 들어갈랍니다. ㅎ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5일 (화) 10:43 (KST)답변

반갑습네다![편집]

정말 오랜만에 돌아오시다니! 반갑습네다! --H군 (토론) 2010년 1월 5일 (화) 10:35 (KST)답변

정말 오랜만이네요 ㅎㅎ 반갑습니다.--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5일 (화) 10:36 (KST)답변

아...[편집]

넥센 히어로즈의 트레이드 파동 문서에 의견 주신 분이시네요. 관리자이신 것은 방금 알았습니다. 오랜만에 돌아오신 것 같은데, 자주 만나뵙길 바랍니다^^--NuvieK (토론 · 기여) 2010년 1월 5일 (화) 10:45 (KST)답변

사용자:consept의 일주일 차단에 대해서...[편집]

이 계정은 사용자:concept의 사칭계정이자, 사용자:conceqt다중계정으로 보이기 때문에 일주일 차단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듯 하네요. 또 자기 스스로 사용자:conceqt라고 말한 만큼 다중계정 악용으로 차단 기한을 늘려야 합니다. 165.194.77.49 (토론) 2010년 1월 5일 (화) 16:28 (KST)답변

IRC[편집]

지금 쥐죽은듯 조용한데 시간되심 담소나 나누시죠. ^^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6일 (수) 09:34 (KST)답변

수고 많으십니다.[편집]

앞으로도 많이 부탁드려요.--駕洛國(가야) (토론) 2010년 1월 6일 (수) 16:03 (KST)답변

답변[편집]

그 내용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저는 해당 내용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메일을 받았기에 수정을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코리아넷입니다. 저희 코리아넷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심을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선생님께서 주신 문의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저희 코리아넷에서는 국무총리실(http://www.pmo.go.kr/)에서 전달된 국무총리님의 양력을 확인하여 사이트에 게재했습니다. 1946년 2월29일로 정확하게 약력으로 나와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해당기간에 재확인 후 수정사항이 있으면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향후 추가로 문의사항이 있으실 때는 언제라도 코리아넷(webmaster@korea.net)으로 연락주시면 최대한 성심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사용자:awesong의 이메일

--어쏭™ (토론) 2010년 1월 16일 (토) 01:17 (KST)답변

분명한 점은 1946년은 윤년이 아니기에 2월이 28일밖에 없기에.. 가능성은 둘중 하나일것 같은데 확인을 해볼 필요는 있을것 같네요. 하나는 음력 2월 29일인 경우고, 다른 하나는 1948년의 오기일 가능성이군요. 근데 아마 음력이 아닐까 생각하고는 있습니다만 [1]이런 것도 있어서 잘 모르겠네요. 여튼 답변 감사합니다.--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16일 (토) 01:22 (KST)답변

제가 생성할 문서...[편집]

제가 생성할 문서를 바로 만드셨군요. 만들 문서를 빼앗겼다는 서운함과, 약간 귀찮았는 데 누군가 만들어 주셨네하는 안도감이 교차하는군요. 아무튼, 감사합니다. --Gwpei (토론) 2010년 1월 17일 (일) 17:53 (KST)답변

영어판의 Mighty Mouse는 캐릭터에 대한 문서기에, 캐릭터에 대한 문서를 만들까 작품에 대한 문서를 만들까 하다가 그나마 기억에 남는건 캐릭터밖에 없어서 가장 간단한 내용만 적어서 만들었네요. 이 문서가 씨앗이 되어서 어서 자라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17일 (일) 18:13 (KST)답변

나들목 문서 삭제 토론[편집]

위키백과:삭제 토론/고속화도로 나들목에서 고속화도로 나들목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나들목 문서에 대해서도 삭제토론을 제기하였으니 보시고 참여해주세요. ∫∫∫ (토론) 2010년 1월 18일 (월) 02:05 (KST)답변

도움 요청[편집]

제가 지금까지 만든 문서 중에 '여인숙 마을'이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슈쿠바를 가르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슈쿠바의 역할을 생각해보았을 때 여인숙 마을보다는 '역참 마을'이 더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혹시 봇을 이용해 이것을 모두 바꾸어주실 수 있으신지요?--EurasianMaster™ (토론 · 기여) 2010년 1월 20일 (수) 13:07 (KST)답변

작업중입니다. :) --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0일 (수) 13:27 (KST)답변

알씨[편집]

혹, 안되시나요. 전 갑자기 안되네요.;;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20일 (수) 13:30 (KST)답변

튕기셨네요. 저는 아무 문제없이 잘 있습니다.--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0일 (수) 13:31 (KST)답변
이상하네요. -_-;;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월 20일 (수) 13:32 (KST)답변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편집]

나중에라도 문서 생성될시에 바로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었는데 그렇게 다른 시각으로도 생각할 수 있군요. 편집에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Park6354 (토론) 2010년 1월 22일 (금) 13:41 (KST)답변

님께서 제가 올린 위키백과:질문방에 답변하신 것을 보고 문의 드립니다[편집]

안녕하세요? Adrenalin님! 먼저 님께서 제가 올린 위키백과:질문방에 답변하여 주신 것에 대하여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다름 아니라 제가 승강기문서에 작성하였다가 독자연구로 분류되어 삭제된 이 지식에 대하여 님께서는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계신지 알고 싶습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일부 아파트 2층에 승강기운행을 안하여 발생하는 문제점

1990년대이전에 건축된 상당수의 아파트 2층에서는 승강기운행이 안되고 있어 2층입주민이나 방문객의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



첫째 승강기운행을 안하는 2층입주민이나 방문객이 다리를 다쳤을때 목발을 짚은 상태에서 높은 계단을 난간잡고 오르고 내려야 한다.

둘째 승강기운행을 안하는 2층입주민이나 방문객에게 무거운 짐이 있을때 승강기타고 3층에서 내려서 짐을 내려야 하는 데 짐이 너무 무거워 들수 없을때 계단에 던져서 내려야 하므로 짐파손등이 우려되는 것이다.

셋째 승강기운행을 안하는 2층입주민이나 방문객에게 유모차타는 아기가 있으면 아기가 다칠 것을 우려해 아기를 먼저 2층에 두고 1층에 세워준 유모차를 가지고 오는 번거로움이다.

넷째 승강기운행을 안하는 2층입주민의 집에 자전거를 타는 아이가 있을때 아이가 자전거를 들고 내릴 체격이 안되면 주로 그 집의 엄마가 자전거를 내려주고 올려주어야 하는 등 엄마는 귀찮고 아이는 주로 자전거를 올릴때 밖에 세워둔 자전거의 도난우려및 집에 엄마가 없으면 자전거를 올릴수가 없어 마음데로 집에 못들어가는 것이다.

다섯째 승강기운행을 안하는 2층입주민과 윗층 입주민들 특히 초등학생과 가정주부들사이에 친구집갈때 승강기를 타고 1층이나 3층에서 내려서 2층으로 가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Excelruler (토론) 2010년 1월 22일 (금) 17:03 (KST)답변

백과사전의 문서라면 승강기의 역사, 구조 및 작동원리, 용도 등을 서술해야하지, 이런 내용은 백과사전적인 요소를 지니지 않은 불필요한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오히려 관공서에 민원을 제기하기 위해 근거로 쓸법한 글 같네요.--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2일 (금) 17:08 (KST)답변

원소 주기율표 개편 수고하셨습니다.[편집]

예전에 소듐, 포타슘 변경 관련하여 글을 몇 번 남겼었는데요.. 그 처리건 말고도 잠깐 언급만 드렸던 주기율표 개편까지도 언제 다 수정을 하셨네요.. 나중에 틀을 좀 배워서 해볼까 하다가 얘기하는 김에 잠깐 한 줄 썼던건데 그 많은 원소들을 다 수정하시다니.. 수고 많으셨습니다. 전 소듐부터 다시 올라가야 하는데 게을러서 아직 손 못대고 있다죠...--Highfive (토론) 2010년 1월 23일 (토) 03:04 (KST)답변

아직 루비듐까지밖에 못했답니다 ㅠㅠ 사용자:IRTC1015님께서 많이 도와주셔서 뒤쪽의 118번부터 112번정도까지도 원소 주기율표는 틀을 고쳤습니다. 기존의 틀은 값을 입력하기에는 다소 사용법이 복잡한지라..(소스를 보고 느끼셨을겁니다) 쉽게 데이터를 고치기가 힘들었다고 생각이 들어 코딩은 힘들더라도 사용자에게는 사용법이 편리하고 간단한 틀로 고치려고 한 것이었거든요. 에휴; 아직 갈 길이 머네요. 하나하나 작업이 워낙 시간이 걸리다보니 데이터들에 대한 검토는 상대적으로 제대로 못하고 있습니다. 만약 여력이 되신다면 틈틈히 원소 정보틀의 데이터 검토 작업을 부탁드리고 싶네요.--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3일 (토) 03:09 (KST)답변
헉... 혹시 외국에 계신가요? 새벽 3시에 자기 전에 잠깐 댓글 달았는데 거의 실시간 응답이 왔을 줄이야... 사용자:IRTC1015 님도 같이 하셨군요.. 어쩐지 그 분 ID도 보이더군요.. 여튼 시간 나는대로 차차 한번 쭉 올라갈 예정이니 일단 제가 가능한 부분은 검토하겠습니다. 저도 그리 아는게 많지는 않아서리..--Highfive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16:24 (KST)답변
토종 올빼미족이랍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18:48 (KST)답변

일거리 던지기[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ABKHAZIA}}" "[[압하스 공화국]]" "{{ABW}}" "[[아루바]]" "{{AFG}}" "[[아프가니스탄]]" "{{AGO}}" "[[앙골라]]" "{{AIA}}" "[[앵귈라]]" "{{ALA}}" "[[올란드 제도]]" "{{ALB}}" "[[알바니아]]" "{{AND}}" "[[안도라]]" "{{ANT}}"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ANZ}}" "[[오스트랄라시아]]" "{{ARE}}" "[[아랍에미리트]]" "{{ARG}}" "[[아르헨티나]]" "{{ARM}}" "[[아르메니아]]" "{{ASC}}" "[[어센션 섬]]" "{{ASEAN}}"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M}}" "[[아메리칸사모아]]" "{{ATA}}" "[[남극]]" "{{ATF}}" "[[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 "{{ATG}}" "[[앤티가 바부다]]" "{{AUS}}" "[[오스트레일리아]]" "{{AUT}}" "[[오스트리아]]" "{{AUTE}}" "[[오스트리아 제국]]" "{{AUTHGN}}"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AZE}}" "[[아제르바이잔]]" "{{BDI}}" "[[부룬디]]" "{{BEL}}" "[[벨기에]]" "{{BEN}}" "[[베냉]]" "{{BFA}}" "[[부르키나파소]]" "{{BGD}}" "[[방글라데시]]" "{{BGR}}" "[[불가리아]]" "{{BHR}}" "[[바레인]]" "{{BHS}}" "[[바하마]]" "{{BIH}}"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BLM}}" "[[생바르텔레미]]" "{{BLR}}" "[[벨라루스]]" "{{BLZ}}" "[[벨리즈]]" "{{BMU}}" "[[버뮤다]]" "{{BOL}}" "[[볼리비아]]" "{{BRA}}" "[[브라질]]" "{{BRB}}" "[[바베이도스]]" "{{BRN}}" "[[브루나이]]" "{{BTN}}" "[[부탄]]" "{{BVT}}" "[[보우벳 섬]]" "{{BWA}}" "[[보츠와나]]" "{{CAF}}"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CAM}}" "[[캄보디아]]" "{{CAN}}" "[[캐나다]]" "{{CCK}}" "[[코코스 제도]]" "{{CGR}}" "[[몬테네그로]]" "{{CHE}}" "[[스위스]]" "{{CHL}}" "[[칠레]]" "{{CHN}}" "[[중화인민공화국]]" "{{CIV}}" "[[코트디부아르]]" "{{CMR}}" "[[카메룬]]" "{{COD}}" "[[콩고 민주 공화국]]" "{{COG}}" "[[콩고 공화국]]" "{{COK}}" "[[쿡 제도]]" "{{COL}}" "[[콜롬비아]]" "{{COM}}" "[[코모로]]" "{{CPV}}" "[[카보베르데]]" "{{CRI}}" "[[코스타리카]]" "{{CUB}}" "[[쿠바]]" "{{CUR}}" "[[퀴라소 섬]]" "{{CXR}}" "[[크리스마스 섬]]" "{{CYM}}" "[[케이맨 제도]]" "{{CYP}}" "[[키프로스]]" "{{CZE}}" "[[체코]]" "{{CZS}}" "[[체코슬로바키아]]" "{{DDR}}" "[[동독]]" "{{DEU}}" "[[독일]]" "{{DJI}}" "[[지부티]]" "{{DMA}}" "[[도미니카]]" "{{DNK}}" "[[덴마크]]" "{{DOM}}" "[[도미니카 공화국|도미니카]]" "{{DPRK}}"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DRC}}" "[[콩고 민주 공화국]]" "{{DRK}}" "[[독일 제국]]" "{{DZA}}" "[[알제리]]" "{{ECU}}" "[[에콰도르]]" "{{EGY}}" "[[이집트]]" "{{ENG}}" "[[잉글랜드]]" "{{EQG}}" "[[적도 기니]]" "{{ERI}}" "[[에리트레아]]" "{{ESH}}" "[[서사하라]]" "{{ESP}}" "[[스페인]]" "{{EST}}" "[[에스토니아]]" "{{ETH}}" "[[에티오피아]]" "{{EU}}" "[[유럽 연합]]" "{{FIN}}" "[[핀란드]]" "{{FJI}}" "[[피지]]" "{{FLK}}" "[[포클랜드 제도]]" "{{FR-YUG}}"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FRA}}" "[[프랑스]]" "{{FRG}}" "[[서독]]" "{{FRO}}" "[[페로 제도]]" "{{FSM}}" "[[미크로네시아 연방]]" "{{GAB}}" "[[가봉]]" "{{GBR}}" "[[영국]]" "{{GDR}}" "[[독일민주공화국|동독]]" "{{GEO}}" "[[그루지야]]" "{{GGY}}" "[[건지 섬]]" "{{GHA}}" "[[가나]]" "{{GIB}}" "[[지브롤터]]" "{{GIN}}" "[[기니]]" "{{GLP}}" "[[과들루프]]" "{{GMB}}" "[[감비아]]" "{{GNB}}" "[[기니비사우]]" "{{GNQ}}" "[[적도 기니]]" "{{GRC}}" "[[그리스]]" "{{GRD}}" "[[그레나다]]" "{{GRL}}" "[[그린란드]]" "{{GTM}}" "[[과테말라]]" "{{GUF}}" "[[프랑스령 기아나]]" "{{GUM}}" "[[괌]]" "{{GUY}}" "[[가이아나]]" "{{HKG}}" "[[홍콩]]" "{{HMD}}" "[[허드 맥도널드 제도]]" "{{HND}}" "[[온두라스]]" "{{HRV}}" "[[크로아티아]]" "{{HTI}}" "[[아이티]]" "{{HUN}}" "[[헝가리]]" "{{ICE}}" "[[아이슬란드]]" "{{IDN}}" "[[인도네시아]]" "{{IMN}}" "[[맨 섬]]" "{{IND}}" "[[인도]]" "{{IOT}}" "[[영국령 인도양 지역]]" "{{IRL}}" "[[아일랜드]]" "{{IRN}}" "[[이란]]" "{{IRQ}}" "[[이라크]]" "{{ISL}}" "[[아이슬란드]]" "{{ISR}}" "[[이스라엘]]" "{{ITA}}" "[[이탈리아]]" "{{ITAK}}" "[[이탈리아 왕국]]" "{{JAM}}" "[[자메이카]]" "{{JEY}}" "[[저지 섬]]" "{{JOR}}" "[[요르단]]" "{{JPN}}" "[[일본]]" "{{KAZ}}" "[[카자흐스탄]]" "{{KEN}}" "[[케냐]]" "{{KGZ}}" "[[키르기스스탄]]" "{{KIR}}" "[[키리바시]]" "{{KNA}}" "[[세인트키츠 네비스]]" "{{KOR}}" "[[대한민국]]" "{{KOS}}" "[[코소보]]" "{{KWT}}" "[[쿠웨이트]]" "{{Ko}}" "[[한국]]" "{{LAO}}" "[[라오스]]" "{{LBN}}" "[[레바논]]" "{{LBR}}" "[[라이베리아]]" "{{LBY}}" "[[리비아]]" "{{LCA}}" "[[세인트루시아]]" "{{LIE}}" "[[리히텐슈타인]]" "{{LKA}}" "[[스리랑카]]" "{{LSO}}" "[[레소토]]" "{{LTU}}" "[[리투아니아]]" "{{LUX}}" "[[룩셈부르크]]" "{{LVA}}" "[[라트비아]]" "{{MAC}}" "[[마카오]]" "{{MAF}}" "[[생마르탱]]" "{{MAR}}" "[[모로코]]" "{{MCO}}" "[[모나코]]" "{{MDA}}" "[[몰도바]]" "{{MDG}}" "[[마다가스카르]]" "{{MDL}}" "[[몰도바]]" "{{MDV}}" "[[몰디브]]" "{{MEX}}" "[[멕시코]]" "{{MHL}}" "[[마셜 제도]]" "{{MKD}}" "[[마케도니아 공화국|마케도니아]]" "{{MLI}}" "[[말리]]" "{{MLT}}" "[[몰타]]" "{{MMR}}" "[[미얀마]]" "{{MNE}}" "[[몬테네그로]]" "{{MNG}}" "[[몽골]]" "{{MNP}}" "[[북마리아나 제도]]" "{{MON}}" "[[모나코]]" "{{MONTENEGRO}}" "[[몬테네그로]]" "{{MOZ}}" "[[모잠비크]]" "{{MRT}}" "[[모리타니]]" "{{MSR}}" "[[몬트세랫]]" "{{MTQ}}" "[[마르티니크]]" "{{MUS}}" "[[모리셔스]]" "{{MWI}}" "[[말라위]]" "{{MYS}}" "[[말레이시아]]" "{{MYT}}" "[[마요트]]" "{{N CYPRUS}}"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N-KARABAKH}}" "[[나고르노카라바흐]]" "{{NAM}}" "[[나미비아]]" "{{NCL}}" "[[누벨칼레도니]]" "{{NER}}" "[[니제르]]" "{{NFK}}" "[[노퍽 섬]]" "{{NGA}}" "[[나이지리아]]" "{{NIC}}" "[[니카라과]]" "{{NIR}}" "[[북아일랜드]]" "{{NIU}}" "[[니우에]]" "{{NLD}}" "[[네덜란드]]" "{{NMI}}" "[[북마리아나 제도]]" "{{NOR}}" "[[노르웨이]]" "{{NPL}}" "[[네팔]]" "{{NRU}}" "[[나우루]]" "{{NZL}}" "[[뉴질랜드]]" "{{Nazi}}" "[[나치 독일]]" "{{OMN}}" "[[오만]]" "{{OSME}}" "[[오스만 제국]]" "{{PAK}}" "[[파키스탄]]" "{{PAN}}" "[[파나마]]" "{{PCN}}" "[[핏케언 제도]]" "{{PER}}" "[[페루]]" "{{PHL}}" "[[필리핀]]" "{{PLW}}" "[[팔라우]]" "{{PNG}}" "[[파푸아 뉴기니]]" "{{POL}}" "[[폴란드]]" "{{PRC-mainland}}" "[[중화인민공화국]]" "{{PRI}}" "[[푸에르토리코]]" "{{PRK}}"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PRT}}" "[[포르투갈]]" "{{PRY}}" "[[파라과이]]" "{{PSE}}"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팔레스타인]]" "{{PYF}}"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QAT}}" "[[카타르]]" "{{REU}}" "[[레위니옹]]" "{{ROC-TW}}" "[[중화민국]]" "{{ROU}}" "[[루마니아]]" "{{ROUK}}" "[[루마니아 왕국]]" "{{RSI}}" "[[이탈리아 사회주의 공화국]]" "{{RUS}}" "[[러시아]]" "{{RUSE}}" "[[러시아 제국]]" "{{RWA}}" "[[르완다]]" "{{S OSSETIA}}" "[[남오세티아]]" "{{SAU}}" "[[사우디아라비아]]" "{{SCG}}"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SCO}}" "[[스코틀랜드]]" "{{SDN}}" "[[수단]]" "{{SEN}}" "[[세네갈]]" "{{SERBIA}}" "[[세르비아]]" "{{SGP}}" "[[싱가포르]]" "{{SGS}}"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SHN}}" "[[세인트헬레나]]" "{{SJM}}" "[[스발바르 얀마옌]]" "{{SLB}}" "[[솔로몬 제도]]" "{{SLE}}" "[[시에라리온]]" "{{SLK}}" "[[슬로바키아]]" "{{SLV}}" "[[엘살바도르]]" "{{SMR}}" "[[산마리노]]" "{{SOM}}" "[[소말리아]]" "{{SOMALILAND}}" "[[소말릴란드]]" "{{SPM}}" "[[생피에르 미클롱]]" "{{STP}}" "[[상투메 프린시페]]" "{{SUR}}" "[[수리남]]" "{{SVK}}" "[[슬로바키아]]" "{{SVN}}" "[[슬로베니아]]" "{{SWE}}" "[[스웨덴]]" "{{SWZ}}" "[[스와질란드]]" "{{SYC}}" "[[세이셸]]" "{{SYR}}" "[[시리아]]" "{{TCA}}"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TCD}}" "[[차드]]" "{{TCH}}" "[[체코슬로바키아]]" "{{TGO}}" "[[토고]]" "{{THA}}" "[[타이]]" "{{TJK}}" "[[타지키스탄]]" "{{TKL}}" "[[토켈라우]]" "{{TKM}}" "[[투르크메니스탄]]" "{{TLS}}" "[[동티모르]]" "{{TON}}" "[[통가]]" "{{TPE}}" "[[차이니스 타이베이]]" "{{TRANSNISTRIA}}" "[[트란스니스트리아]]" "{{TRNC}}"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TTO}}" "[[트리니다드 토바고]]" "{{TUN}}" "[[튀니지]]" "{{TUR}}" "[[터키]]" "{{TUV}}" "[[투발루]]" "{{TWN}}" "[[중화민국]]" "{{TZA}}" "[[탄자니아]]" "{{TOG}}" "[[토고]]" "{{UGA}}" "[[우간다]]" "{{UKR}}" "[[우크라이나]]" "{{UMI}}" "[[미국령 군소 제도]]" "{{UN}}" "[[국제 연합]]" "{{URS}}" "[[소비에트 연방]]" "{{URY}}" "[[우루과이]]" "{{USA}}" "[[미국]]" "{{USSR}}" "[[소비에트 연방]]" "{{UZB}}" "[[우즈베키스탄]]" "{{VAT}}" "[[바티칸 시국]]" "{{VCT}}"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VEN}}" "[[베네수엘라]]" "{{VGB}}"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VIR}}"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VNCH}}" "[[남베트남]]" "{{VNM}}" "[[베트남]]" "{{VUT}}" "[[바누아투]]" "{{WAL}}" "[[웨일스]]" "{{WLF}}" "[[왈리스 퓌튀나]]" "{{WSA}}" "[[서사하라]]" "{{WSM}}" "[[사모아]]" "{{YAR}}" "[[북예멘]]" "{{YEM}}" "[[예멘]]" "{{YMD}}" "[[남예멘]]" "{{YUG}}"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YUGK}}" "[[유고슬라비아 왕국]]" "{{ZAF}}" "[[남아프리카 공화국]]" "{{ZMB}}" "[[잠비아]]" "{{ZRZ}}" "[[자이르]]" "{{ZWE}}" "[[짐바브웨]]"

IRC에서 보여드렸던 리스트의 수정판입니다. 그냥 자러 갔다간 까먹을 거 같아서요. 소스를 보시면 1:1 대응별로 줄바꿈이 되어 있으니 필요하시면 적당히 잘라 쓰시면 될 거에요. :) - I110 桂陽 / IRTC1015() 2010년 1월 24일 (일) 03:40 (KST)답변

프라이어 항목[편집]

Prior, Pryor, Frier, Fryar, Fryer는 한글로 표기하면 모두 프라이어지만 영어로는 명백히 구분되는 항목입니다. 각각의 영어 위키 표제어 항목이 있으므로, 각 항목을 번역하면서 표제어 구분을 위해 프라이어를 나눠놓은 것인데, 토론도 없이 관리자 권한으로 삭제하시면 어떡합니까? Prior, Pryor, Frier, Fryar, Fryer 이 영어항목 표제어 전부를 프라이어라는 표제어 하나로 전부 통합해서 적을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을 한글로 구분해 놓은 겁니다. --777sms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21:51 (KST)답변

동음이의어 문서의 표제어를 정할 때에는 한국어 표기를 우선으로 해서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말씀대로라면 도 Carl, Karl에 따라 문서를 나눠줘지 않나요? 마찬가지로 지안의 경우에도 중국의 Ji'an이냐 일본의 じあん이냐에 따라 문서를 나눠야하기 때문에 더 복잡해질듯 싶습니다. 접근성 면에서, 같은 표기로 표시하는 것이라며 하나의 문서에서 언급해주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21:59 (KST)답변
또한 백:제목 선택하기에서도 표제어에서의 병기를 권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22:04 (KST)답변
그래서 저도 지안과 같이 지안 항목에 각각을 구분해 놓고 세부 항목에 지안 시 (장시 성), 지안 시 (퉁화 시), 지안 (연호)를 설명해 놓은 것처럼 프라이어항목 각각을 구분해 놓고 세부 항목에 프라이어 (Prior), 프라이어 (Pryor), 프라이어 (Frier) 등으로 나눠 놓고 설명하려 한 것입니다.--777sms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22:10 (KST)답변
지안 문서는 보시면 아시겠지만, 각각의 개별문서로의 링크였습니다. 하지만 프라이어 (Pryor)문서를 보니 그 것도 동음이의어 문서였더군요. 동음이의어 문서들을 모아놓은 동음이의어 문서가 되는건가요. 아까 언급했던 접근성 면에서 그리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22:12 (KST)답변
접근성에서 오히려 더 구분되고 좋습니다. 무조건 나누자는 것이 아니라 프라이어 항목에 전체를 통합해서 전체를 표시해 놓음으로 오히려 접근성에서는 더 좋습니다. 마치 포털처럼 프라이어 항목을 보면 전체를 한번에 일람할수 있습니다. 영어 위키 표제어도 구분되어 있으므로 한글 위키도 프라이어 항목에 전체를 표시해서 통합해 놓고 세부사항을 설명해 주는 방식으로 표기했으면 좋겠습니다.--777sms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22:18 (KST)답변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모두 "프라이어"로 표기되는 문서들을 굳이 병기까지 해가면서 각각의 표기를 동음이의어 문서로 쪼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까 언급한 지안의 예도 있지만, 접근성에 대해 제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표기법에 따라 동음이의어 문서를 모두 쪼개버린다면 오히려 독자의 입장에선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번 문서를 클릭해야하니까요. 가 만약 "프라이어"라고 검색을 할 때, 777sms님께서 제안하신 방식대로라면 우선적으로 검색되는 "프라이어"문서에서 다시 각각의 표기법에 따라 다른 동음이의어 문서가 나뉘어있기에 해당인물의 표기법을 모른다면 우선 각 문서들을 클릭해가면서 찾는라 시간이 조금 더 걸릴 것입니다. 게다가 굳이 표기법에 따라 동음이의어 문서를 나눌 필요 없이 "프라이어"라는 문서 안에 원어 표기를 괄호속에 추가해주면 되니까요. (제가 프라이어문서에 "마크 프라이어" 항목에 달아놓은 것 처럼요.)
  2. 봇을 이용한 동음이의어 문서를 가리키는 링크를 고치는 데에는 제가 제안한 방식이 더 편리합니다. 동음이의어 링크를 봇을 이용해서 처리를 할 때에는 우선 해당 동음이의 문서를 가리키는 링크를 포함하는 모든 문서의 목록을 읽어들인 후. 동음이의어 문서 내의 링크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편집을 하게됩니다. 령 "마크 프라이어"라는 인물을 찾는다고 치면, Mark PryorMark prior가 있지요. 메이저리그 관련 문서에서 프라이어라는 링크를 사용했다고 가정합시다.(꽤 빈번히 일어나는 일입니다.) 이 때 777sms님께서 제안하신 방식대로라면 만약 링크가 프라이어를 가리키고 있을 때에는 이를 직접 손으로 고치거나 "프라이어 (Pryor)" "프라이어 (Prior)"등을 가리키는 링크로 고친 후 다시 고친 동음이의어 문서 안의 가리키는 링크중 하나로 수정을 하게 됩니다. 이는 어느쪽이나 제가 제안한 방식에 비해서 작업의 효율이 떨어집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22:31 (KST)답변
일단 저는 봇의 오류를 좀 많이 봐서 봇의 편리함도 있지만 봇의 오류도 많다는 점을 말하고 싶습니다. 저는 인터위키를 만들때도 직접 수정하여 만듭니다. 그리고 봇의 편리성을 위해 글을 작성한다는 생각도 좀 이상한 것 같습니다. 목적 전치도 아니고 봇의 편리성을 위해 글의 작성 기준을 가리는 것은 좀 아닌 것 같습니다. 글의 작성에서 항목의 세분화는 항목의 통합화 못지 않게 중요한 요소입니다. 각각의 항목이 세분되어 있는데도, 그것을 무조건 한 항목에 통합하여 작성하는 것은 오히려 문서의 효율성을 떨어 뜨릴수 있습니다. 영어 위키의 프라이어 항목은 위에 언급한 것 외에 몇개 더 있는데 위의 모든 항목을 프라이어 하나에 정리하면 오히려 비대해져서 비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큰 덩어리는 하나의 표제어를 통해 일람할 수 있게 만들고 나머지는 세부사항에서 설명하는게 글을 더 효율적이고 보기 좋게 만들 것 같습니다.--777sms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22:47 (KST)답변
서로 견해는 다 들어본거 같네요. 그럼 일단 토론:프라이어에 이 내용을 옮겨두겠습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4일 (일) 22:48 (KST)답변

스트리크닌 문서 이동 관련[편집]

관리자이신 아들해님께서 처음 생성된 스트르기닌 문서를 스트리기니네로 옮기면서 "스트르기닌 문서를 스트리키니네(으)로 옮김: 우선 영어사전의 표기로 옮김"이라고 밝혀놓으셨습니다.[2] 그런데 Strychnine의 IPA for English(영어를 위한 국제 음성 기호)는 /ˈstrɪknɪn/입니다. 따라서 영어를 위한 국제 음성 기호에 따르면 스트리크닌으로 표기해야 합니다. 설마 국제 음성 기호를 한글로 어떻게 표기하는지 모르시지는 않겠지요. 그런데 왜 스트리키니네로 옮겨놨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최소한 표제어를 이동하기 전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이나 두산대백과사전을 한번이라도 찾아보는 수고는 하지 않으셨는지요? 이도 저도 아니라면 최소한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이라도 한번 찾아보려 하지는 않으셨는지요? 일일이 사전을 찾기 싫으면 네이버, 다음, 네이트, 야후 등 국내 대표 포털사이트 중에 한곳이라도 찾아보셨으면 최소한 스트리크닌을 스트리키니네로 표제어 이동하지는 않았을 것 같습니다. 항목을 이동할 때 좀 더 신중하시고 좀 더 사전을 찾아보는 습관을 기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777sms (토론) 2010년 1월 25일 (월) 11:46 (KST)답변

저의 불찰이었네요. 앞으로 조심하겠습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5일 (월) 12:10 (KST)답변

하지만 아니오 가지고 페이지가 호출 (크누트 (북극곰)?

시들해봇[편집]

이런 식이런 식으로 네비게이션 틀에 있는 자기 문서 링크를 제거하게 되면 해당 네비게이션 틀에서 엉뚱하게 각각 양궁남자로 링크하게 되어버렸네요. -- Min's (토론 / 기여 / 메일) 2010년 1월 28일 (목) 17:45 (KST)답변

우선 시들해봇은 전부 수동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봇으로 제거한 것은 Selflink입니다. 일반적인 문서 안에서 selflink는 걸어보아야 bold 처리만 되기에(사용자토론:Adrenalin과 같이요)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봇을 이용하여 보통 이를 제거하거나 bold처리로 바꾸어줍니다. 그런데 링크해주신 작업은 {{네비게이션}}의 성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제 실수가 크네요. 일단 그 편집은 되돌렸습니다. 앞으로 주의하겠습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28일 (목) 21:31 (KST)답변
안내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네비게이션 틀 사용시 selflink 되는 것에 대해서는 사용자:IRTC1015 님께서 이런 방법을 제시해주셨습니다. 앞으로 네비게이션 틀 사용할 때에는 selflink 처리하지 않고 이런 방법을 이용해야겠네요. -- Min's (토론 / 기여 / 메일) 2010년 1월 29일 (금) 18:14 (KST)답변

[편집]

위키백과:봇 편집 요청/서식/틀에서, 관련 토론이 요청 사유에 어느정도 포함되지 않나 싶네요. 그냥 두어도 상관없지만,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싶어서 미리 여쭙습니다 :)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0년 1월 31일 (일) 20:06 (KST)답변

사실 관련 토론이라는 메뉴를 따로 만들려고 했던건, 봇 주인들이 위키백과의 모든 토론 상황을 확인할 수 없는데 종종 토론이 진행중인데도 요청부터 들어오는 경우도 있었거든요. 여튼 듣고보니 그 말씀도 일리가 있네요. 그 메뉴를 "요청 사유 및 관련 토론"정도로 해보면 어떨까요?--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31일 (일) 20:24 (KST)답변
그렇게 하는것도 좋은 방법이겠군요 ^^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0년 2월 1일 (월) 15:08 (KST)답변

도로 시설물 건의[편집]

[분류:XX시의 도로 시설물]을 [분류:YY도의 도로 시설물]로 이동하고 계시군요. 나들목의 경우, [분류:YY도의 도로 시설물]와 아울러 [분류:XX시의 교통]을 같이 포함하면 좋겠습니다. Jonsoh (토론) 2010년 2월 3일 (수) 14:33 (KST)답변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이후에 봇으로 작업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2월 3일 (수) 14:41 (KST)답변
특별시나 광역시의 경우는 그러지 않아도 될 것 같네요. --iTurtle (토론) 2010년 2월 4일 (목) 08:59 (KST)답변

참 잘했어요[편집]

기초자치단체별 도로 시설물 분류를 삭제해주신 Adrenalin님께 이 도장을 찍어 드립니다. 쾅! --iTurtle (토론) 2010년 2월 4일 (목) 08:57 (KST)답변
헐. 감사합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2월 4일 (목) 12:28 (KST)답변

만약 지금 계시다면[편집]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0년 2월#사용자:Bireniuv에 현재 훼손을 일삼는 사용자의 차단 신청을 해 놓은 상태입니다. 이미 차단된 계정이 다중계정이니 빠른 조치 부탁드립니다. --람다람쥐 (토론) 2010년 2월 4일 (목) 15:42 (KST)답변

1박 2일[편집]

문서 관리좀 해주세요/--Digital man (토론) 2010년 2월 19일 (금) 12:06 (KST)답변

처리했습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2월 19일 (금) 12:09 (KST)답변

안녕하세요. 문의좀 드리려고 합니다.[편집]

여러가지로 수고하십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사랑방에 이야기 꺼낸 외부 링크 vs 바깥 링크 관련 말인데요. 이 부분을 표결처리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좋을지 아들해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그냥 이대로 '사용자 의견 요청' 틀만 사용해서 표결해야 하는지, 아니면 따로 문서를 생성 또는 백:외부 링크 관련 문서로해서 대문에 올려야 하는지 절차적 문제를 잘 모르겠습니다. 이번에 확실한 합의를 위해서 아들해님께서는 어떻게 해야 좋다고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여쭙습니다. 감사합니다. --1 (토론) 2010년 2월 24일 (수) 23:21 (KST)답변

명칭 문제는 과거 여러 토론들을 살펴보아도 명칭 문제의 경우엔 토론이 돌고돌고돌고 하는경우가 제법 있거든요.(들머리/포털처럼) 그래서 총의를 모아 표결절차를 결정한 후 일정기간 투표를 하여 결정하기도 했습니다. 포털/들머리의 경우엔 꽤 오랜기간 토론이 이어져왔었고, 백:사랑방/2008년 제38주#"포털" 혹은 "들머리" 결론을 내봅시다!에서 표결이 필요하다는 점을 합의한 후, 절차를 논의하여 위키백과토론:들머리#들머리/포털 선정 투표를 개시했었습니다. 해당 문제를 이 방식으로 해결하고 싶으시다면 우선 투표가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 총의가 모인 것을 확인하는 것이 순서일것 같네요.--아들해 (토론) 2010년 2월 25일 (목) 00:04 (KST)답변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1 (토론) 2010년 2월 25일 (목) 00:13 (KST)답변

문의 하기전에[편집]

전에도 말씀 드렸지만, 다른 사람과 토론 전에 좀 찾아보는 수고를 하실 생각은 없으신지요? 자신이 조금만 찾아보면 쉽게 알 수 있는데, 자신은 아무런 수고도 안하고 토론을 하려 하시는지요? 밑에 있는 내용은 자신이 조금만 수고하면 알 수 있는 내용입니다.

튜턴인 - 튜턴족, 앵글로색슨인 - 앵글로색슨족, 게르만인 - 게르만족, 스코트인 - 스코트족, 이베리아인 - 이베리아족, 데인인 - 데인족 처럼 helvetian은 헬베티아인[3]으로 나와 있습니다. 다른 사전들에도 helvetian은 헬베티아인[4], 헬베티아사람[5], [6]으로 나와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는 올라와 있는게 없더군요. 파스칼백과 사전에도 헬베티아인으로 올라와 있습니다.[7] 두산백과사전에도 헬베티아인으로 올라와 있습니다.[8] 헬베티아인으로 수정하려다, 위키백과의 위 표기들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헬베티아인 - 헬베티아족으로 바꿨습니다.--777sms 2010년 3월 3일 (수) 22:13 (KST)

그리고 문의시[편집]

문서에 대한 의문이 있다면 해당 문서에 토론란이 있음에도 왜 해당 문서 토론란을 이용하지 않는지요? 설마 관리자가 해당 문서에 토론해야 한다는 내용을 모르고 하는건 아니겠지요?--777sms 2010년 3월 3일 (수) 22:15 (KST)

아뇨. 직접적으로 문의드린것 뿐입니다. 사용자 토론은 그런 용도로 쓰는 것이지요.--아들해 (토론) 2010년 3월 3일 (수) 22:19 (KST)답변

아이피 210.205.247.11 사용자 차단 문의[편집]

안녕하세요. 오늘 우연히 아이피사용자 210.205.247.11이 차단된 것을 발견했습니다. 사용자 관리 요청이나 다른 곳에는 흔적이 없던데 왜 차단된 것인지 알 수 있을까요? 이 아이피가 저에게 협박을 한 전력이 있어서 가끔 확인하던 차인데 차단되어 있어서 좀 의아스럽습니다.--Xakyntos (토론) 2010년 3월 9일 (화) 19:05 (KST)답변

공개 프록시 IP였습니다. ([9]) 재단의 정책인 백:공개 프록시는 사용하지 마세요와 이를 바탕으로 한 백:차단 정책에 의거하여 차단한 것입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3월 9일 (화) 20:04 (KST)답변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역시 협박을 하는 폼새가 공개프록시라 걸리지 않는다는 확신이 있어서였군요. 잘 알았습니다.--Xakyntos (토론) 2010년 3월 9일 (화) 20:44 (KST)답변

안녕하세요.[편집]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어제 '다우기술'이라는 IT기업에 대한 사전을 등록하였는데 삭제 되어 문의드립니다. 삭제 기록에 적혀 있는 이유를 보면 저명성 부족과 , 광고/PR의 이유로 삭제가 되었네요.

일단 저명성 부족에 대해선 다우기술은 사전의 내용과 같이 1997년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최초로 증권 거래소에 상장된 IT서비스 전문기업입니다. 위키백과에서 다른 기업들을 검색해 보면 다우기술보다 규모가 더 작은 회사들도 많이 등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다우기술이 저명성 측면에서 사전 등록이 안된다는 것에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광고/홍보성에 대해서 다우기술이 상장사로써 회사 주소, 대표자, 기타 연혁에 대한 소개 등이 왜 공공성에 위배되는것 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일부로 광고성 문구들을 배제하고 사전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IT기업을 알고 싶어하는 일반 대중에게 기업의 정보를 제공하는것이 어느 측면에서 부적절한 것인지 의문점이 생기네요..

혹시 제가 삭제 이유에 대해서 잘못 판단한 것이라면 어떤 부분에서 삭제가 된 것인지 이유를 말해주셨으면 합니다.

추후, 다우기술 등록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다시한번 검토하여 주셨으면 합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다우기술은 1986년에 설립된 IT서비스 전문기업이다. 주요 사업은 기업용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SI)통합 및 컨설팅, IT 아웃소싱, 인터넷 서비스이다.

· 업종 : IT 서비스

· 취급품목 : 기업용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통합(SI) 및 컨설팅, IT아웃소싱, 인터넷 서비스

· 대표이사 : 김영훈

· 설립일 : 1986년 1월 9일

· 기업형태 : 유가증권상장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산 25-20 디지털스퀘어 6층

· 홈페이지 : http://www.daou.ac.kr

· 매출액 : 1,201 억원


다우기술은 국내 IT벤처기업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다우데이타'와 '키움증권' 등을 비롯해 IT·금융·서비스·건설 분야의 13개 계열사를 보유한 종합 디지털서비스그룹이다. 창업 초기 외산 솔루션의 한글화 사업을 추진하며 당시 인포믹스 RDBMS의 한글화 사업과 한글 VGA보드 개발 등을 수행하였고 1995년에는 넷스케이프의 웹브라우져를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 수익성 개선을 위한 사업구조 개편으로 하드웨어 사업 비중을 축소하여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중심의 사업구조를 이루고 IBM, VMware, Citrix, RedHat 등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과 사업제휴를 하고 있다. 또한 Salseforce.com과의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사업 제휴뿐만 아니라 팀 단위 업무관리 SaaS 서비스인 TeamOffice를 자체개발하였다. 2008년에 자회사였던 유니텔네트웍스와 국산 메시징솔루션 기업인 테라스테크놀로지를 합병하였다.


바깥 고리[편집]

http://www.daou.co.kr 다우기술 홈페이지

http://www.daou.co.kr/eng 다우기술 영어 홈페이지

현재의 판은 괜찮은 것 같네요. --아들해 (토론) 2010년 3월 25일 (목) 11:05 (KST)답변

시들해봇 오류[편집]

IP 사용자 121.167.99.98의 장난 행위를 삭제하다가 시들해봇이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가톨릭교 - 2008년 문서로 링크 걸음"[10]이라고 잘못 작동하는 것 같아서 알려드립니다. 좀 시간이 지난 것이긴 한데, 고쳐졌으면 다행이고 아니면 올바르게 수정 바랍니다. 해당 문서는 제가 수정하였습니다. --777sms (토론) 2010년 3월 19일 (금) 10:21 (KST)답변

지적 감사합니다. 수동으로 돌리면서 제가 실수를 했네요. --아들해 (토론) 2010년 3월 25일 (목) 11:03 (KST)답변

coord & vector 문제 수정[편집]

벡터 스킨의 문제 맞습니다. 수정했습니다[11]. coord 틀의 문제인줄 알고 coord 틀만 열심히 정비했네요. :) 고치는 김에 인터랙티브 지도도 가져왔습니다. [12] -- ChongDae (토론) 2010년 3월 28일 (일) 02:10 (KST)답변

아 그렇군요. 제 기억에선 분명 모노북에서는 오른쪽 상단에 표시되었던 것 같았는데, 밤에 확인했을 때는 모노북에서도 제목 아래쪽에 표시되어있길래 제가 잘못알고 있나 싶었습니다. --아들해 (토론) 2010년 3월 28일 (일) 09:47 (KST)답변
모노북 쪽도 coord 틀 고치는 부작용(?)으로 위치가 바뀌었습니다. 마저 수정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3월 28일 (일) 22:26 (KST)답변

사용자관리 신청에 대한 조속한 심사 부탁드립니다[편집]

이미 2 월달에 신청했고 2 월달에 아무 심사가 없어서 3 월달에 신청했지만 3 월이 거의 지나가는데도 모다사용자에 대한 사관신청 [13] 이 안되고 있습니다. 조속하고 공정한 심사 부탁 드리겠습니다 . Compumundo (토론) 2010년 3월 29일 (월) 22:19 (KST)답변

시들해봇 관련 요청[편집]

시들해봇이 동음이의 처리할 때 다는 편집요약을 '링크 걺'으로 고쳐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아에이오우〕 (토론) 2010년 3월 31일 (수) 20:40 (KST)답변

시들해봇만의 문제라기보다는 python 언어 소스로 짜인 wikipedia봇 자체의 메세지를 고쳐야하는 문제입니다. Bug report를 하는 곳은 알고 있는데, 이런 류의 메세지를 바꿔달라는 요청은 어디에 해야할지 모르겠네요.--아들해 (토론) 2010년 4월 1일 (목) 00:03 (KST)답변

축구 대회 및 리그 연도별 표제어[편집]

안녕하세요? 축구 프로젝트 참가자인 Min's입니다:) 연도별 축구 대회 및 리그 문서의 표제어에 대해 그 동안의 토론을 마무리하고 최종 결정을 내리려고 합니다. 최종 결정을 내리는 데에 있어 많은 사용자 분들의 의견, 특히 축구 프로젝트 참가자 분들의 의견이 절실하게 필요하기에 이렇게 축구 프로젝트 참가자 분들께 이렇게 최종 결정 참여를 알리고자 합니다:) 백토:위키프로젝트 축구#표제어 최종 결정에 오셔서 짧막하게나마 의견을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위키백과 내 모든 연도별 축구 대회와 모든 축구 리그에 대한 문서, 그리고 앞으로 생성될 모든 문서의 표제어에 대한 중대한 토론임에 비해 사용자들의 의견이 없어 불가피하게 이렇게 축구 프로젝트 참가자에게 일일이 참가 부탁 메시지를 남기고 있습니다.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Min's (민들라미) (토론 / 기여 / 메일) 2010년 4월 8일 (목) 12:43 (KST)답변

제2회 위키백과 컨퍼런스[편집]

Adrenalin님!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2010년 7월 경에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인근에서 열릴 제2회 위키백과 컨퍼런스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컨퍼런스의 장소, 시기와 성격 같은 컨퍼런스와 관련된 다양한 토론이 진행되고 있으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리며, 발표자참가자로서 서명해 주신다면 컨퍼런스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0년 6월 7일 (월) 19:31 (KST)답변

헉! 도와주세요![편집]

백만년만에 왔더니 예전에 작업했던 틀:런던 교통공사의 노선들 문서가 아주 박살이 나있네요 (...) 실제로 적용된 문서들도 마찬가지구요; 이거 어떡해야 하는거죠?! --연어구이 (토론) 2010년 7월 21일 (수) 16:30 (KST)답변

ChongDae 라는 관리자의 월권 문제[편집]

ChongDae 라는 관리자가 월권을 행사해서 저의 편집만 스토킹하고 일괄 삭제하고 있습니다. 이 관리자의 월권을 강력히 규탄하며 저의 편집만 아무 이유 없이 일괄적으로 삭제하고 보호를 걸어 놓고 있습니다. 관리자의 월권이 너무 심하며 여기에 개입해서 정당한 근거를 가지고 편집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와주십시오.[14] 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4:18 (KST)답변

About HOTCAT[편집]

Hello Adrenalin, would you please to help me that how I can use HOTCAT(http://en.wikipedia.org/wiki/User:TheDJ/HotCat) in Korean Wikipedia? Thanks! Keasung (토론) 2010년 9월 29일 (수) 15:17 (KST)답변

시온 수도회 문서를 다시 만들어도 될까요?[편집]

시온 수도회 문서를 만드려고 했더니 삭제된 이력이 있어 관리자와 상의한 후 작성하라고 되있더군요. 다빈치 코드 문서에 빨간 색으로 표시되는 것도 그렇고 오푸스 데이 문서는 있는데 시온 수도회 문서는 없는 건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생각되는데 Adrenalin님 생각은 어떤지...?Jsung123 (토론) 2010년 9월 30일 (목) 23:01 (KST)답변

사무관 추천[편집]

안녕하세요.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는 사무관이 더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저는 그러한 측면에서 볼 때 아들해님을 사무관으로 추천하고 싶습니다. 님의 생각은 어떠하신지 궁금합니다. --어쏭(소통의 공간) "11 P.M Sleep, 6 A.M Wake up" 2010년 10월 22일 (금) 12:51 (KST)답변

말씀은 감사합니다만, 아시다시피 현재 관리자직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한 형편입니다. 추천은 거두어주세요.--아들해 (토론) 2010년 10월 22일 (금) 19:16 (KST)답변

알렉스 퍼거슨 문서[편집]

독자연구라는 사유로 삭제하셨다면 어떠한 점에서 독자연구인지 그 사유를 밝혀야 합니다. 틀:독자연구에 그렇게 명시되어 있습니다. 시스플라티나 (토론) 2010년 11월 10일 (수) 17:20 (KST)답변

kys951을 추방합시다[편집]

요즘 사용자:kys951이 위키백과에서의 불법행위로 형사책임을 지게 되었는 데도 반성하기는 커녕 오히려 더 기고만장해져서 과거보다 더한 권한망용을 하고 있는 데 그동안 사용자:kys951가 숱하게 권한남용을 하여 위키백과의 물을 흐려온 적이 엄청 많아서 많은 사용자들이 위키백과를 떠나고 있는 데 그렇게 물의를 일으키고도 모자라 위키백과에서 불법행위를 하여 권한남용으로 위키백과사용자들에게 정신적상처를 준것 이상으로 피해자에게 큰 정신저피해를 주었는 데도 반성하기는 커녕 예전보다 더 설치고 있으니 그렇게 뻔뻔한 철면피가 더 있겠습니까? 혹시 님께서도 사용자:kys951의 권한남용을 아시면서도 같은 관리자라 묵인하신 것 아니에요?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1년 2월#사용자:kys​951에 대한 관리자 회수 및 차단요청에 저의 주장을 납득할만한 내용이 있으니 읽어보시기 바라며 사용자:kys951에 대한 관리자회수는 물론 무기한차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위키백과에서 국법위반하고도 죄없다고 우기는 정말 뻔뻔한 인간인 사용자:kys951에게 더 이상 위키백과의 미래를 맡기면 안됩니다. 님의 현명한 조치를 기다리겠습니다.--Kazago (토론) 2011년 2월 7일 (월) 12:37 (KST)답변

안녕하셨어요[편집]

제대 전에도 줄곧 봤는데 그때부터도 정말 뵙기가 어려워서 한 번 찾아와야지 했다 많이 늦었네요 스페인 문서에 많은 도움을 받아서 아들해 님이 얼른 돌아오시길 바라는 1인입니다. 저를 잊으셨다면 별 수 없지만 :) 건강 잘 챙기시고 돌아오시면 뵈요!! :) --Voz De Paz 소통·나눔 ¡Jugamos! 2011년 9월 8일 (목) 00:03 (KST)답변

Removal of global bot status[편집]

Hello Adrenalin. Your global bot (Nallimbot) is now inactive for a while. Do you need the global bot status anymore, or could it be removed ? Thanks. -- Quentinv57 (토론) 2011년 10월 15일 (토) 23:06 (KST)답변

사우스 파크[편집]

해당 문서에 대한 알찬 글 해제 토론이 진행중입니다. 주 기여자로서 위키백과:알찬 글 후보/해제 토론/사우스 파크에 꼭 참여해주세요.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1년 11월 14일 (월) 22:33 (KST)답변

inactive bot in ru.wiki[편집]

Your bot Nallimbot had no edits in ruwiki for a last year and now we are discussing removing bot flags from such inactive bots (discussion). If you have any objections or comments, please, answer in that discussion or on my userpage (ru:User talk:Rubin16 - I am the bureaucrat in ru.wiki). Thanks Rubin16 (토론) 2012년 1월 22일 (일) 16:48 (KST)답변

Bot status @ it.wiki[편집]

Dear Adrenalin, your Nallimbot had no edits on it.wiki for last 12 months. If you have objections, please answer on my talk, otherwise your bot will be deflagged in 7 days. Best regards, --Gnumarcoo (토론) 2012년 5월 16일 (수) 02:01 (KST)답변

Bot @ simple.wiki[편집]

Due to you bot being inactive for over a year your bot flag has been removed. If your bot does become active again please re-request the flag. -Djsasso (토론) 2012년 8월 15일 (수) 04:32 (KST)답변

안녕하세요.[편집]

상당히 오랜만에 뵙는군요. 간간이 들어오시면 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 --Bart0278 (talk+ · cont.) 2013년 2월 23일 (토) 01:58 (KST)답변

반갑습니다^^!!--Hun99 (토론) 2013년 2월 23일 (토) 02:21 (KST)답변

두 분 다 오랜만이고 반갑습니다. --아들해 (토론) 2013년 2월 23일 (토) 10:5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