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Gjkl;afds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댓글: 환영합니다님 (9년 전)

Gjkl;afds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환영합니다 (토론) 2014년 6월 3일 (화) 11:58 (KST)답변


http://blog.ohmynews.com/cjc4u/342715 참고. 홍정욱 7막7장 참고. 답변: 한국과 미국은 제도가 완전히 다릅니다. 미국 로스쿨 http://www.law.harvard.edu/ 예를 들어 하버드에서는 교수들 전원이 JD를 소유하지 JSD나 LLM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MD를 의학박사라 한다면 JD도 법무박사라 해야합니다. JD는 PhD와는 다르고 MD와 같은 개념인 실무박사라고 생각하는게 옳습니다. JD가 석사면 그위에 어떤 학위가 있어야 하잖습니까? 그러나 미국 로스쿨에서 JD 위의 학위는 없습니다. LLM, JSD는 외국인 전용 학위입니다. 굳이 직역을 하면 LLM은 법학 석사, JSD는 법학 박사라 할수있지요. "Doctorate"을 "석사"라 번역하는건 잘못됐습니다. JD의 유래를 안다면 차라리 학사라 번역하는게 옳을수도 있겠죠. 특히나 지금 대부분의 publication들과 website들에 JD를 "법학박사"라고 번역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http://blog.ohmynews.com/cjc4u/342715 참고 바랍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Juris_Doctor#Modern_variants_and_curriculum 도 참고 바랍니다.

추가: 위에 연세대의 http://www2.yonsei.ac.kr/rule/new/rule_ucontent.asp?uid=2066 읽어보니까 한국에서는 JD를 따고 "법무박사" 학위라는게 따로 존재하네요. 따라서 한국에서는 JD를 따고 그 "법무박사" 학위를 따야 교수를 할수있겠네요. 그건 미국과는 완전히 다른 상황입니다. 미국 경영대학원에서는 MBA (경영학 석사)가 있고 또 PhD in management가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로스쿨에서는 몇년 전에 PhD in Law를 시작한 예일을 제외하고는 JD 보다 위에 있는 학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JSD가 JD를 취득한 후 얻는 JD 위의 학위라고요? 무슨 말도 안돼는 소리. JSD와 LLM은 외국인 전용 학위입니다. 미국 로스쿨 교수진 웹페이지를 한번이라도 봤는지요? 경제학 박사 학위만 소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법경제학 분야를 제외하고는 모든 교수들이 필수로 JD를 가지고 있으나 JSD는 외국인 교수들만 가지고 있습니다. 석지영 교수는 예일대 학부 졸업 후 옥스포드대에서 비교문학 박사를 취득했고 하버드 로스쿨에서 JD를 마치고 로스쿨 교수가 됐고 노아 펠드먼 교수는 하버드 학부 졸업 후 옥스포드대에서 이슬람학 박사 학위 취득 후 예일 로스쿨에서 JD를 마치고 로스쿨 교수가 됐습니다. 캐스 선스틴 교수는 하버드 학사, 하버드 JD 후 교수가 됐고 글렌 코헨 교수는 토론토 학사, 하버드 JD 후 교수가 됐습니다. 모든 다른 분야 교수들이 PhD가 있는 것처럼 모든 미국 로스쿨 미국인 교수들은 JD(혹은 LLB, LLB에서 JD로 명칭을 1960년대에 바꿨음)가 있습니다. JSD가 어디에 있습니까? JSD는 캐나다 사람이고 캐나다에서 법을 공부한 질리언 레스터 컬럼비아 로스쿨 학장(최근 임명) 같이 외국에서 먼저 법학위를 딴 외국 법률가들이 JSD를 가지고 있습니다.

추가: http://blog.naver.com/honaudo444?Redirect=Log&logNo=120066632345 서울대 로스쿨에서도 교수가 되려면 서울대 로스쿨 정규과정을 마친 후에 따로 "법학전문박사" 학위를 취득해야만 로스쿨 교수가 될수있다고 하네요. 이건 미국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미국에서는 JD만 가지고 교수가 됩니다. 미국에서는 JD가 최종학위입니다. 따라서 전문박사 학위라고 보는게 정확합니다. 고승덕과 홍정욱씨는 미국 로스쿨을 나왔으니 미국 현실에 적합한 번역을 하는 것이 옳습니다. 서울대 연세대 로스쿨 교수들 중 미국 로스쿨을 다녀본 분들은 SJD나 LLM을 딴 사람들입니다. 외국 법률가로써 미국 로스쿨에서 공부한 다면 보통 정규 3년 JD가 아니라 SJD나 LLM을 합니다. 그분들이 자신들을 "법학석사"다 "법학박사"다 자칭하려고 아무리 JD를 "석사" 학위라고 해도 미국에서 JD의 의미는 변하지 않습니다. 미국 로스쿨에서 정규 학위는 3년 JD고 미국 법대생들은 LLM, SJD는 보통 생각해보지도 않습니다. NYU LLM in Taxation을 제외하면 미국 법대생들에게는 오직 JD만 있습니다. 교수 임용 확률을 높이려면 JD 졸업후 경제학이나 정치학 박사를 따지 LLM JSD 따는 미국 법대생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