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Ha98574/2012년 8월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1년 전 (Asadal님) - 주제: 보세요
Min's 토론 문서
Min's 토론 문서
 2012년 8월 
새로 고침

보세요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C%84%ED%82%A4%EB%B0%B1%EA%B3%BC:%EC%82%AC%EB%9E%91%EB%B0%A9/2012%EB%85%84_%EC%A0%9C31%EC%A3%BC&diff=9156128&oldid=9156125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C%84%ED%82%A4%EB%B0%B1%EA%B3%BC:%EC%82%AC%EB%9E%91%EB%B0%A9/2012%EB%85%84_%EC%A0%9C31%EC%A3%BC&diff=9156137&oldid=9156134

지금 방금도 사용자:Idh0854 이사람은 자기한테 불리한 여론이니까 관리자라는 지위를 이용해서 무조건 묵살하고 없애버리려고 합니다. 이런 사람이 관리자 자격이 있다고 보십니까? --211.53.128.16 (토론) 2012년 8월 1일 (수) 20:48‎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1일 (수) 22:29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사용자:가람(Idh0854) 님이 위키백과에서 벌이는 일은 '공'과 '과'가 함께 존재합니다. 가람 님이 자신에게 불리한 내용을 토론 페이지에서 '삭제'하는 행위는 옳지 않다고 봅니다. 가람 님도 잘 아시겠지만, 위키에서는 모든 기록이 남기 때문에 자신에 대한 비판 내용을 삭제하여 '감춘다'고 하여도, 절대 '감출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17:02 (KST)답변
일단 그냥 주시만 하고 있었는데, 어떤 이유에서 계속해서 특정 사용자의 모든 행동이나 기여 내역을 일일이 다 찾아 들춰내려고 하시는 것인지, 그리고 그것을 들춰내며 계속해서 특정 사용자에게 추궁하고 공격하시는 사실 잘 모르겠네요. 따로 어떤 생각이나 의도가 있으신지는 모르겠는데, 저로서는 이렇게까지 하시는 이유도 잘 이해가 되지 않고요. 어떤 의도이신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런 식의 방식과 행동은 저의 방식과 생각과는 거리가 멀어보입니다. 자신의 사용자토론에서 작성한 내용에 대해서 삭제하는 것은 금지하고 있지 않습니다.(위키백과:사용자 문서) 또한 고의적인 분란 행동이나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은 되돌리는 것은 여러 사용자들의 관행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 사용자토론의 내역을 추후 필요시 검색할 수 있도록 이 내용을 포함하여 고의적인 분란 행동이나 장난식의 내용까지 삭제하지 않고 보존하고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특정 사용자에 대해 안 좋게 보이게 하거나 부정적인 이미지로 보이게끔하기 위해 보존한 것이 아닌데, 마치 제가 그런 의도에서 다른 사용자가 삭제한 것을 굳이 되돌려서 삭제하지 않고 보존한 것처럼 말씀하시면 사실 제 입장이 좀 난처합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12일 (일) 20:32 (KST)답변
오래 전에 이런 답변을 다신 것을 최근에야 알게 되었습니다. 윗글을 읽어보니, Min's 님이 착각을 하신 듯합니다. 삭제된 글은 가람 님의 사용자토론 페이지에 올라온 글이 아니라, 사랑방에 다른 사람이 올렸던 글입니다. Min's 님이 "자신의 사용자토론에서 작성한 내용에 대해서 삭제하는 것은 금지하고 있지 않습니다."라고 답변을 다셨던데, 이 부분은 Min's 님이 혼동을 한 것 같습니다. 다른 사용자가 사랑방에 올린 내용(가람 님을 비판한 내용)을 가람 님이 일방적으로 삭제한 것입니다. 오해가 없기를 바랍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10월 28일 (일) 16:27 (KST)답변
그런데 자꾸 여러 분들이 잘 모르고 오해를 하시네요. 가람 님은 관리자가 아닙니다. 특수기능:관리자를 보세요.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8월 12일 (일) 19:51 (KST)답변

Username change

Hello. Could you please deal with this request?--M.Gedawy 2012년 8월 2일 (목) 08:25 (KST)답변

성내천 물놀이장 페이지를 왜??

제가 작성을 해 놓은 성내천 물놀이장 정보를 성내천과 통합을 하셨는데, 성내천에 위치를 하기는 하였지만, 상세정보를 알리기 위해 페이지를 따로 만들었는데, 통합을 시키신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이 문서를 작성하려고 일부러 찾아가 몇몇 정보는 확인까지 했는데 말이죠. --kiyong2 (토론) 2012년 8월 2일 (목) 22:28 (KST)답변

수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해당 대상은, 백과사전에서 별도의 항목으로 생성하여 서술하기에 충분한지 가늠할 수 있는 2차 출처들이 있어야 하는데 해당 대상은 그렇지 않으며, 별도로 독립된 항목에서 서술해야할 정도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병합하였습니다.(위키백과:저명성) 또한 위키백과는 관광이나 여행 정보, 교통 등의 가이드북이 아니기 때문에, 운영 시간, 교통 정보, 안전시설, 편의정보 등은 백과사전에서 서술하기에 지엽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지엽적인 부분을 제외하고 백과사전에서 서술할 수 있는 내용을 추려내어 병합하였습니다. 또한 지엽적이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내용들이 사실임을 입증할 수 있는 확인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가 부족하기 때문에 위키백과에서 서술하기에는 힘든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기여 부탁드립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2일 (목) 23:10 (KST)답변

EK티쳐 삭제 문의요 ~

EK티쳐 두번 삭제 하셨더라구요. 저명성이 출처 밝히라는거 아닌가요 ? 출처도 다 밝혔는데 .. 다시 왜 삭제 됐는지 모르겠네요 ... 홍보성 문구 빼라그래서 뺐고, 연혁 길대서 줄였고, 출처 밝혔고, 분류도 했고 ... 도대체 뭐가 문제인가요 ~ 알려주시면 다시 작성해보게요 . ㅎ --Manajua (토론) 2012년 8월 3일 (금) 14:03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3일 (금) 14:09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마침 바로 위 #성내천 물놀이장 페이지를 왜??에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해당 대상은 백과사전에 단독항목으로서 실을 수 있을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2차 출처가 부족하고, 백과사전에 독립된 항목으로서 실을 정도인지를 입증하는 독립된 2차 출처, 확인 가능한 출처,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부족하기 때문에 백과사전에 단독 항목으로서 실을 수 없다고 판단하여 삭제하였습니다. 아울러 출처라고 말씀하셨는데,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위키백과에서는 1차 출처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범주로 보지 않습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3일 (금) 14:09 (KST)답변
음 .. 2차 출처라는 것은 직접적인 홈페이지가 아닌 다른 신뢰할만한 정보를 가진 곳을 말하는 건가요? 한국어교사원격평생교육원에서 브랜드 네임 EK티쳐를 만든것이라서, 2차 출처는 없는데 ... 그렇다면 올리는데로 다 삭제가 될 확률이 높은가요 ? --Manajua (토론) 2012년 8월 3일 (금) 14:20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3일 (금) 15:30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한국어 위키백과는 검증된 사람이나 전문가만이 편집 가능한 것이 아니라 누구나 편집 가능한 공간인만큼, 기여하는 내용에 대해 기여한 내용에 대해 입증할 수 있는 확인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로 뒷받침하는 것을 매우 중시합니다. 확인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가 부족하다면 백과사전으로서 위키백과의 단독 항목에 싣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3일 (금) 15:30 (KST)답변

로고삭제이유

로고 삭제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요? 여느 기업들이 하든 방식과 똑같이 동일하게 참고해서 올렸습니다. 만일 무엇인가 잘못되어 삭제를 하신 경우라면 삭제를 하고 재차 요구를 하되 명확히 잘못된 부분을 짚어주시기 바랍니다. --Kims (토론) 2012년 8월 3일 (금) 14:29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3일 (금) 15:32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몇 차례 안내해드렸듯이, 위키백과는 비영리적인 목적 뿐만 아니라 상업적/영리적인 목적을 포함하여 어떠한 목적으로의 이용과 자유로운 수정과 배포가 가능한 라이선스로 배포되는 파일만 올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로고는 저작권자 외 상업적 이용이 불가능하며, 올려주신 파일도 그러함에 대해 입증되지 않은 파일이므로 삭제하였습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3일 (금) 15:32 (KST)답변

Username change

Hello. Could you please deal with this request?--M.Gedawy 2012년 8월 3일 (금) 23:51 (KST)답변

I checked the request. But other users are given some time to raise objections or to submit someting opinions. Please wait some days. Thanks. -- Min's (토론) 2012년 8월 4일 (토) 04:42 (KST)답변
Ok, but please don't forget approving it, I need it to be approved as soon as possible to continue my edits across wikis.--M.Gedawy 2012년 8월 6일 (월) 00:45 (KST)답변
Could you please solve this issue?--M.Gedawy 2012년 8월 7일 (화) 09:15 (KST)답변

싱크로나이즈

대한체육회의 공식 한국어 종목명이라는 근거가 어디 있나요? 싱크로나이즈(synchronize)의 사전적 의미는 전혀 다릅니다.--S0ch1 (토론) 2012년 8월 6일 (월) 02:35 (KST)답변

영어 낱말 'synchronize'와 'synchronized swimming'의 차이는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어에서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과 '싱크로나이즈' 모두 스포츠 종목인 synchronized swimming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과거 토론을 통해 대한체육회의 공식 한국어 명칭으로 통일하여 따르기로 했는데, 그 이유는 종목마다 한국어로 다양하게 표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복싱/권투의 경우 영어 낱말로는 같은 의미이지만 한국어로는 차이가 있는 부분이 있어 대한체육회의 표기를 기준으로 따르고 있습니다. 영어 낱말의 사전적 의미 차이를 말씀하셨는데, 사이클/사이클링, 크로스컨트리/크로스컨트리스킹, 프리스타일/프리스타일스킹, 스노보드/스노보딩, 알파인스키/알파인스킹, 쇼트트랙/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 카누/카약/카우잉, 댄스스포츠/댄스스포트, 트라이애슬론/철인3종경기, 육상/육상경기, 요트/세일링, 드래곤보트/용선, 근대5종/근대펜타슬론/모던펜타슬론/근대5종경기 역시 영어 어원을 살펴보면 그 뜻의 차이가 있지만, 외국어 어원과 별개로 한국어 종목명으로서 사용되는 명칭을 사용하기로 토론을 통해 합의가 된 적이 있습니다. 다른 종목의 경우 대한체육회의 선수단 공식 웹사이트와 전국체전 웹사이트에 공식 한국어 종목명이 표기되어 있어 확인이 가능한데, synchronized swimming은 전국체전 종목이 아니라서 전국체전 웹사이트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하고 과거 올림픽 선수단 공식 웹사이트에 당시에 표기되어 있었는데, 지금은 공식 웹사이트를 닫아서 현재는 확인이 되지 않는 상태이고 이번 올림픽 선수단 웹사이트에서는 글자수가 길어서 그런지 그냥 '싱크로'라고 표기하고 있네요. 외국어 어원의 낱말 뜻을 분석해서 그 뜻을 따라야 한다면 다른 종목들도 상당수 차이가 생깁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8일 (수) 13:19 (KST)답변

Username change

Could you please solve this issue?--M.Gedawy 2012년 8월 9일 (목) 11:00 (KST)답변

Napier

Hi, You can helpme for unification SUL? http://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3%84%EC%A0%95_%EC%9D%B4%EB%A6%84_%EB%B3%80%EA%B2%BD_%EC%9A%94%EC%B2%AD/2012%EB%85%84_8%EC%9B%94#Fazu88_.E2.86.92_Napier_2 . Thanks a lot. --Fazu88 (토론) 2012년 8월 9일 (목) 12:16 (KST)답변

No, I can ussurp the username? Fazu88 --190.152.234.0 (토론) 2012년 8월 10일 (금) 13:13 (KST)답변
Thanks a lot :D. --Napier (토론) 2012년 8월 19일 (일) 21:17 (KST)답변

한국사 반스타

한국사 반스타

'틀:한국사' 토론'두막루' 토론에 참여하여 좋은 의견을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앞으로도 좋은 의견을 부탁합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8월 11일 (토) 16:13 (KST)답변

해당 분야에 대해 잘 아는 부분이 없어 좋은 의견을 드리거나 어떤 큰 도움을 드렸던 기억은 없는데, 좋게 봐주시고 격려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해당 분야와 관련된 아사달 님의 기여에 대해서도 감사드립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11일 (토) 18:15 (KST)답변

왜 글 삭제하셨죠?

저 독립기념관 본관 화재 이 문서 왜 불필요합니까?그냥 수정해주시지,제가 신고했으니까 차단 될 수도 있어요.이렇게 까지 해서 죄송합니다. --자업자득36699284 (토론) 2012년 8월 15일 (수) 15:23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16일 (목) 10:29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자업자득36699284 님의 삭제된 글 내역을 찾아봐도 삭제된 기여 내역이 없는 것으로 나오고, 말씀하신 내용만으로는 무엇을 말씀하시고자 하시는 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요. -- Min's (토론) 2012년 8월 15일 (수) 19:01 (KST)답변
독립기념관 본관 화재 이 문서인 듯 합니다. 병합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삭제됐네요. 작성한 사용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지만... --도약 (대화하기) '하늘 높이 도약하라' 2012년 8월 15일 (수) 19:58 (KST)답변
해당 문서는 삭제 당시 문서 상태와 삭제된 문서의 역사를 살펴봐도 삭제할 대상에 속한 문서였다고 판단하고 있는데, 일단 자업자득36699284 님이 무엇을 원하시는 것인지, 무엇을 말씀하시고자 하는 것인지를 알아야 답변을 해줄 수 있을 것 같네요. -- Min's (토론) 2012년 8월 15일 (수) 20:37 (KST)답변

할 말 더있어요

저는 원래 망고친구두리안으로 활동하는데 비번을 잊어서 지금 이걸로 활동중인데 그때 쓴 그 문서 그냥 병합해주지,왜 삭제 합니까?어이없네요.. --자업자득36699284 (토론) 2012년 8월 16일 (목) 09:45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16일 (목) 10:28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해당 문서는 백과사전적 정의와 서술이 없는 매우 짧은 문장인데다, 문장 문장마다 문법과 맞춤법이 전혀 맞지 않고 어떠한 출처도 없어서 병합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었습니다. 삭제된 문서 본문이 필요하시다면 임시적으로 복원해드릴 수는 있으나, 병합하는데 사용할 내용이 없어서, 출처를 확인한 후 새로 글을 작성해서 병합하시는 것이 나을 것 같네요. -- Min's (토론) 2012년 8월 16일 (목) 10:24 (KST)답변

삭제 토론 관련 질문

Min's 님, 위키백과:삭제 토론/수펄스에 남긴 글 중에서 의문 나는 것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Min's 님은 "삭제 토론은 삭제를 전제로 하기 위해 토론을 열고 그것을 논의하기 위한 공간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문서와 위키백과를 더 발전시키기 위해 논의하는 공간입니다."라고 위에 쓰셨더군요. 하지만 그 문장 바로 밑에 NuvieK 님이 "삭제 토론을 열 경우에는 그 문서가 삭제될 확률에 어느 정도 무게가 실렸을 때입니다. 삭제될 이유가 없는 문서를 개선이 필요하다고 삭제 토론에 회부하지는 않습니다."라고 쓰셨는데, 두 분의 주장이 서로 다른 것 같습니다. Min's 님께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만약 제가 수 양제 문서를 발전시키고 싶으면, '삭제 토론' 틀을 붙여도 되나요? 좀 심하게 말해서 현재 알찬 글로 선정된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등의 문서에 대해서 지금보다 더 문서를 발전시킬 목적으로 '삭제 토론'에 회부해도 될까요? 해당 문서의 토론란에 쓰면 '주목도'가 현저히 떨어지니까, 일단 '삭제 토론'에 올려놓고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어서 문서를 발전시키는 방법을 취해야 할까요? 그다지 좋은 방법이 아닌 것 같습니다만... 그렇다면, 삭제 토론에 대한 Min's 님의 의견보다는 오히려 NuvieK 님의 의견이 더 일리가 있지 않나 생각이 됩니다만, Min's 님 의견은 어떠신가요? 삭제 토론에 회부하는 이유는 '삭제'를 염두에 두고 토론하는 것 아닌가요? 전혀 삭제를 염두에 두지 않은 채, 문서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선의'에서 해당 문서를 삭제 토론에 회부한다는 것이 말이 되나요?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11:38 (KST)답변

토론에서 주된 토론 주제에 대해 이야기가 진행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삭제 토론의 진행 여부에 대해 이야기가 반복적으로 오가니 본래의 토론 진행을 어렵게 만들어 말씀드린 부분입니다. 마치 삭제 토론을 여는 사용자가 악의적인 생각으로 토론을 연다고 생각하시지는 모르겠는데, 삭제 토론을 여는 행동에 대해서는 '근본적으로' 문서와 위키백과를 발전시키기 위해 토론을 여는 것(백:선의)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전혀 삭제를 염두해 두지 않는다'고 말씀드렸던가요? 얼마든지 삭제를 염두해두지 않고도 삭제 토론을 열 수 있고 관례적으로 그렇게 연 경우(자세한 내용은 설명드렸음)가 많았습니다. 문서를 삭제해야 할지 잘 판단되지 않아 논의하려고 한다면 삭제 토론을 열지만, 그렇지 않고 삭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면 {{삭제 신청}}을 했겠지요. 삭제 토론을 여는 것도 선의의 차원에서 생각해주셨으면 좋겠다는 의견입니다. 삭제 토론 역시 문서를 발전시키도록 생산적인 토론이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이지,(실제로 삭제 토론을 통해 삭제될 뻔한 문서가 오히려 발전된 사례가 많았지요.) 삭제 토론의 연 것이 옳다/그르다, 잘 한것이다/못한 것이다를 논하는 것은 비생산적이고 소모적인 논쟁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제가 문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삭제 토론을 열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받아들이신다면 제가 저의 생각을 잘 표현하지 못했나 보군요. -- Min's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15:26 (KST)답변
혹시라도 오해를 살까봐 말씀드리자면, 수펄스 문서의 삭제에 대한 토론 내용은 살펴보지 않았고 해당 문서를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어떠한 의견은 없습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15:49 (KST)답변
어떤 문서에 대해 '삭제'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삭제 토론'에 붙이는 행위는 정당한 행위라고 봅니다. 그걸 악의적으로 보고 있지는 않습니다. Sotiale 님은 수펄스 문서에 대해 삭제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기 때문에 삭제 토론에 붙였다고 합니다. 그런 행위 자체는 Sotiale 님의 주관적 판단을 근거로 한 것이었고 '선의'에 기반했을 수도 있겠습니다. 그 후 여러 명이 참여한 토론 결과 수펄스 문서를 '유지'하자는 의견이 대부분이었고, Sotiale 님 본인도 '조건부 유지'로 입장을 정했습니다. 지금까지 '삭제' 의견을 낸 사람은 1명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논의는 사실상 종결되었습니다. 다만 그 토론 와중에 Min's 님이 남기신 말이 저에게는 매우 충격적이었습니다. 문서를 삭제할 생각이 없더라도, 문서를 발전시키고자 '삭제 토론' 틀을 붙일 수 있다(?)는 그 말이 여전히 이해가 안 됩니다. 혹시 그런 정책이나 지침이 있나요, 아니면 Min's 님의 개인적 생각인가요? 만약 그런 정책이나 지침이 있다면 즉시 개정을 하는게 좋을 듯 하고, 그게 아니라 개인의 생각이라면 저와는 생각이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제가 볼 때, 단지 선의를 가지고 문서를 발전시킬 목적으로 '삭제 토론' 틀을 붙이는 것을 허용한다면, 그것은 남용, 오용될 소지가 매우 크다고 봅니다. 그런 관행을 계속 허용한다면, 지금처럼 '과도한 삭제 행위'가 지속될 우려가 있으며, 한국어 위키백과에 부정적 작용을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삭제 토론' 틀은 해당 문서가 실제로 삭제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경우에 한하여 붙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Min's 님은 어떤 의견이신가요?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16:37 (KST)답변
  1. 제가 표현을 잘못해서 그런가보네요. 문서를 발전시키고자 삭제 토론을 연다는 의미가 아니예요. 삭제 토론을 여는 것은 (어떤 악의적인 목적으로 여는 것이 아닌 한) 근본적으로 문서와 위키백과의 발전을 바라는 마음에서 여는 것이고, 아사달 님을 포함한 삭제 토론에 참여하는 여러 사용자들도 비슷한 마음으로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삭제 토론을 여는 행동 자체에 대해 옳다/그르다에 대한 소모적인 논쟁의 반복을 중단하고 선의로 바라봐주셨으면 좋겠다는 의미였습니다.
  2. 삭제 토론과 삭제 신청은 다르고 삭제 토론을 여는 것은 삭제와 전혀 상관이 없는데, 어떤 부분에서 혼동을 하신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삭제 토론을 여는 것에 대해 '과도한 삭제 행위'가 우려되신다는 것인지는 잘 이해가 되지 않네요. 제가 정확히 표현하지 않아서 혼동하시는 것 같아 확실하게 말씀드리자면, 문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혹은 그러고 싶다면 삭제 토론을 열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으며, 위키백과에서 활동하면서 한 번도 그렇게 생각한 적은 없습니다. 만약 삭제 토론이 그 역할을 한다면 굳이 토론 문서는 필요가 없지요.
  3. 아울러, 삭제 토론 틀은 실제로 삭제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경우에 한하여 붙여야 한다는 말은 삭제될 수 있는지 없는지 의심을 갖는 사용자나, 삭제되어야 하는지 유지되어야 하는지 여러 사용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하는 사용자는 삭제 토론을 열어서는 안된다는 의미이신가요? 그런 의미이시라면 그 동안의 삭제 토론 관례와는 거리가 먼 것 같네요.
  4. 바쁜 와중에 글을 작성하다보니 글이 길어져 이렇게 쓴 저의 의견을 줄여서 수정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17:43 (KST)답변
Min's 님의 성의 있는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긴 글도 보았고 짧게 줄인 글도 보았습니다. Min's 님의 의견을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몇 가지 토론거리가 남아 있습니다.
  1. 문서를 삭제할 생각이 없더라도, 문서를 발전시키고자 '삭제 토론' 틀을 붙일 수 있다(?)는 말은 Min's 님이 표현을 잘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 정책과 지침이 있을리 만무하며, 위키백과에서 오랜 기간 관리자로 활동해 오신 Min's 님이 그런 이해할 수 없는 제안을 하리라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이 말은 취소한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2. 저는 '삭제 신청'과 '삭제 토론'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 점은 별로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3. NuvieK 님과 제가 '삭제 토론' 틀은 해당 문서가 실제로 삭제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경우에 한하여 붙이는 것이 좋겠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이 말이 맞는 말입니다. Min's 님의 의견도 비록 표현은 다르지만, 그 취지를 보면 이 말과 같다고 봅니다.
  4. "삭제될 수 있는지 없는지 의심을 갖는 사용자"나 "삭제되어야 하는지 유지되어야 하는지 여러 사용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하는 사용자"는 삭제 토론을 열어서는 안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 이런 상황이라면 삭제 토론을 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게 바로 "삭제될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바로 위 문장과 표현은 달라도 취지가 동일합니다.
  5. Sotiale 님이 수펄스 문서에 대해 삭제 토론을 연 것에 대해 '선의'로 했다고 보고 있으며, 무슨 '악의'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Sotiale 님은 실제로 이 문서가 삭제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여 삭제 토론에 회부했다고 합니다. 따라서 삭제 토론을 제기한 것 자체에 대해서는 별로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6. 다만 Sotiale 님이 수펄스 문서에 대해서 삭제의 근거로 제시한 것 중 하나가 '저명성 부족'인데요. 이것은 현재의 저명성 지침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나온 행동으로서, '저명성' 지침에 부합되지 않습니다. 제가 Sotiale 님에 대해서 "지침 위반"이라고 쓴 적이 있는데, 그것은 '삭제 토론'을 시작한 것이 잘못이라는 말이 아니라, '삭제'의 근거로 든 이유(즉, 저명성 부족이라는 이유)가 현재의 저명성 지침 내용과 어긋난다는 말입니다. 오해가 없으시기 바랍니다.
이상 제 의견이었습니다. 저는 잘못된 생각, 잘못된 행위 등에 대해서는 미워하지만, 그 사람 자체는 미워하지 않습니다. 저는 위키백과를 함께 만들고 있는 관리자, 사무관, 사용자, 중재위원 등 모두 소중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진심으로 감사를 드리고 있습니다. 다만, 이 사람들이 좀 더 올바른 생각과 올바른 행동으로 위키백과의 발전을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해 주시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8월 21일 (화) 00:07 (KST)답변
말씀하신 '몇 가지 토론 거리가 있다'는 것이 수펄스 문서와 관련된 토론 거리가 남아있다는 의견인 것 같네요. 해당 분야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관련 위키프로젝트에서는 어떤 방식의 편집 관례가 있어왔는지도 잘 모르고, 해당 분야에 대해 큰 관심이 없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별다른 생각을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해당 문서에 대한 저의 생각이 있다면 관련 토론에 의견을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21일 (화) 14:37 (KST)답변
아울러 저는 아사달 님께서 다른 사용자(사람)을 미워한다고 말씀드린 적이 없고 오히려 행동에 대해 미워하는 것에 대해 말씀드리는 것인데, 마지막 부분에 그렇게 말씀하시면(반대로 말씀하시면) 마치 제가 아사달 님이 특정 사용자를 미워하시는 분인 것처럼 묘사한 것처럼 보일 것 같네요. 자신의 기준으로 생각하기에 특정 사용자의 행동이 잘못되었다고 하더라도, (악의적인 사용자를 제외하고) 그 사용자 입장에서는 문서나 위키백과의 발전을 위해 한 행동일 것이기 때문에, (물론 그 의도가 악의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그러한 행동들은 미워하지 말고 선의로 바라봐주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인데, 이에 동의하지 않고 그러한 행동들은 모두 미워해야 한다는 뜻인가요? 행동 하나하나에 트집잡거나 행동 하나하나에 지나치게 몰아부치지 말고 선의의 시선으로 바라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21일 (화) 22:36 (KST)답변

슌대에 대한것이 저명성 부족?

슌대에 대한것은 도서관에서 직접 확인한것이고, 사실에 근거하여 쓴글인데,어떤점에서 저명성이 부족하다는것인지요? 순대의 역사나 근거에 대해 제대로 알고 글을 삭제하신건가요? --이진형(엥겔100)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17:26‎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21일 (화) 14:38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슌대'가 '순대'의 옛말이는 점을 비롯하여 기여하신 내용에 대해 사실임을 입증할 수 있는 어떠한 확인 가능하며 신뢰할 수 있는 2차 출처를 찾을 수가 없어 삭제하였습니다. 사실인지 여부도 불분명한 상태인데, 기여해주신 내용에 대해 사실임을 입증하는 정보에 대해 도서관에서 확인하셨다면 구체적으로 확인하신 그 정보에 대해 말씀해주신다면 해당 문서에 대해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Min's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17:29 (KST)답변

예 알겠습니다. 슌대에 대한 시의전서 원문 복사한것에 대해 사진을 올려드리겠습니다. 또한 주영하 교수님(중앙민족대학교대학원 박사)이 11년 8월에 경향신문에 기고한 글도 올리겠습니다. 혹시 여기에 사진은 어떻게 올리나요? --이진형(엥겔100)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17:44‎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21일 (화) 14:38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방금 이곳에 작성해주신 내용은 한국어 위키백과의 라이선스 정책과 호환되지 않는 라이선스로 배포되는 자료를 그대로 복사해오신 것이므로 삭제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복사로 가져오시지 마시고 URL 링크 등을 통해 인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도 여러 출처들을 검색해보면서 해당 기사를 찾아보기는 했지만, 슌대가 순대의 옛말이라는 직접적인 명시가 되어있지 않고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출처이고, 그마저도 슌대와 관련된 출처가 그 기사 1건 밖에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순대 문서로의 넘겨주기 문서로 만들 수도 없을 것 같아 삭제한 상태입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17:52 (KST)답변

시의전서 원문을 스캔한것이 있습니다. 사진을 올리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이진형(엥겔100)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21:04‎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20일 (월) 21:10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사진이나 파일을 올리는 방법은 좌측 메뉴의 도구 모음에서 파일 올리기 기능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시의전서'가 무엇을 말씀하시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서적은 상업적/영리적인 이용과 수정/배포가 금지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한 파일들은 위키백과의 라이선스 정책과 호환되지 않으므로 올릴 수 없습니다. 어떤 문서나 서적을 그대로 인용해서 보여주실 필요는 없습니다. 인터넷 자료라면 URL을 링크해주시고, 서적 내용이라면 어떤 서적에서 어떻게 언급되었는지만 간략하게 설명해주시면 됩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21:10 (KST)답변

예 알겠습니다. 라이센스 정책으로 인해 불가능하다면, 스캔하지는 않겠습니다. 시의전서는 조선시대의 조리책입니다. 1800년대말에 지어진것으로 작가는 미상인 한글로 기록된 요리책입니다. 이효지외 엮음이라고 되어있는것은 인터넷을 치면 나오니 보셔도 될것 같습니다.

순대를 연구하다보니 원류를 찾아 인터넷, 도서관을 뒤지다가 현재 순대와 같은 돼지창자를 이용한 순대를 찾게된것이 바로 시의전서이며,가장 먼저 돼지순대를 언급한책 입니다.(그 이전에는 개창자, 소창자로 만든것만 소개된 책이 있습니다.)

그 책의 원문을 보면, "도야지 슌대"라는 제목이 있고, 만드는 법이 나옵니다. 내용은 돼지의 창자를 뒤집어 빤다, 숙주, 미나리, 무를 데쳐서 배추김치와 같이 다지고, 두부를 섞어 파,생강,마늘을 많이 다져넣고 깨소금, 기름 고춧가루, 후춧가루 각색양념을 많이 섞어 피와 한데 주물러 창자에 넣고 부리 동여 삶아 쓴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 이전까지는 슌대라는 말이 언급되지 않았는데, 현존하는 요리서적중 가장 근거 있는 책에서 슌대라는 요리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진형(엥겔100)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21:24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20일 (월) 21:29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시의전서'가 1800년 대 말에 지어진 책이군요. 매우 오래된 책이고 저작권자가 사망한 후 오래된 책이므로 퍼블릭 도메인(저작권 보호 기간 만료가 되었기 때문)에 속하는 책일 것 같네요. 위키백과에 업로드가 불가능하다고 안내드렸는데, 라이선스에 '퍼블릭 도메인'이라고 선택하신 후 올릴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말씀해주신 내용과 링크해주신 내용을 참고하여 슌대순대로의 넘겨주기 문서를 생성했습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21:29 (KST)답변

현재 위키백과에 나온 순대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 합니다. 순대에 대해서도 다시 작성을 해야할것 같네요. 그리고 슌대를 치면 순대로 연결될 문제가 아니라, 슌대에 대한 설명이 나오길 바랍니다. 슌대는 시의전서에 나온 순대의 옛말로써 최초로 언급된 한국의 순대임을 알리고 싶습니다. 그냥 설명도 없이 슌대가 순대로 연결되는것은 잘못된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슌대에 대해 제가 쓴것을 다시 복원해주시길 바랍니다. 근거없이 한것이 아니라 근거를 가지고 쓴 글이니 문제가 없을것 같습니다.

또한 순대에 대한것도 다시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너무 희박한 자료를 가지고 순대의 정의를 너무 간단히 내린것이 등록되어있네요. 각 지역순대의 특징도 제대로 되어있지 않고 단순히 돼지 곱창에 당면을 담고 선지로 맛과 색을 내어 수증기로 쪄낸것이라니요.. 순대를 처음 만들때 찌는것이 아니라 삶는것입니다. 1차 삶고 보관 후 2차에서 살짝 찌듯 보관하는것입니다. 주로 분식점이라고 했는데, 수많은 지역전통순대는 분식점이 아닙니다. 게다가 고려시기 몽골군 침략하면서 한국에 전래되었다는 설도 있지만, 삼국시대에 있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중요한건 그 음식들은 순대는 이름이 없었습니다. 김춘수의 "꽃"이라는 시에서 처럼 이름이 불려진다는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슌대라는 단어가 만들어져 순대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그냥 슌대를 치면 순대라고 연결된다는것은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이진형(엥겔100)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22:00‎ (KST) - 서명을 하지 않아 2012년 8월 20일 (월) 22:18 (KST)에 서명을 추가함.답변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순대 문서에 부족한 부분은 누구나 편집이 가능하므로 이진형(엥겔100) 님께서도 부족하다고 생각하시는 부분은 직접 편집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순대의 역사 중 '슌대'와 관련된 부분만을 별도의 문서로 독립시켜 서술하는 것보다 '슌대'를 포함하여 순대의 역사와 관련된 부분은 순대 문서에서 '역사' 등의 문단을 만들어 서술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슌대' 자체의 어원에 대해 서술하고 싶으신 것이라면 백과사전을 추구하는 위키백과보다 낱말사전을 추구하는 위키낱말사전을 이용하여 서술하는 것이 좋겠고요. -- Min's (토론) 2012년 8월 20일 (월) 22:18 (KST)답변
저도 이 토론을 보고 슌대에 대해 처음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 정보를 주신 사용자:이진형(엥겔100) 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다만 '슌대'에 관한 내용은 우선 Min's 님이 제안한대로 기존의 '순대' 문서 중 하나의 '단락'을 만들어서 추가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당연히 다양한 출처가 제시되어야 하고, 풍부한 내용으로 작성하실 것으로 믿습니다. 살짝 기대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만약 '슌대' 문단의 내용이 많아져서 기존의 '순대' 문서 안에 포함시키기가 어려울 만큼 내용이 풍부해진다면, 그 때 '슌대'를 '순대' 문서에서 분리하여 별도의 독립적인 문서로 만들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일종의 '단계적 전략'인 셈입니다. 만약 슌대라는 독립 문서를 만들면, 방문자 숫자가 매우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성 들여서 쓴 글이라면, 상대적으로 방문자가 많은 기존의 순대 문서 안에 하나의 중요한 단락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슌대를 널리 알리는데 더 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2년 8월 21일 (화) 00:20 (KST)답변

아...

저렇게 끈질긴 경우는.. 처음이군요. 아이피가 베트남 국적이던데.. 아이피 돌려서 다시 올지도 모르겠어요.. --Sotiale (토론) 2012년 8월 23일 (목) 16:38 (KST)답변

시간나는대로 주시토록 하겠습니다. -- Min's (토론) 2012년 8월 23일 (목) 17:1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