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Kpoi7018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3년 전 (Irafox님) - 주제: 관리자 선거 알림

서울시내버스 341번 관련[편집]

기계적으로 신설노선이라고 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엄연히 555-2번이 그 노선의 뿌리라고 볼 수 있고, 또한 이 노선이 없어진 것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강동역-강남역 구간을 100% 같게 만든 것입니다. 또한 9301 청색노선이 그렇게 변경된 것이니, 일종의 555-2번 및 9301 청색노선 통합이지요. 또한 9301 청색노선의 독자구간인 하남시청앞을 경유하므로, 두 노선 통합이 적절한 표현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142번의 경우 핵심적 구간인 창신동~방배동 구간은 구 1번과 완전히 동일합니다. 주간선노선의 경우 무조건적인 "신설노선" 표기보다는 전체적 맥락이 같은 구 노선이 주간선노선으로 변형된 경우(123번>600번, 68(좌)>601번 등)도 있으므로, 이것은 반영이 필요합니다. 이런 게 반영되지 않는다면, 발표에 문제가 있는 서울시의 발표를 그대로 붙여넣기한 것에 불과합니다. 또한, 말도 안 되는 "통합" 발표의 경우(예로 4423 및 9412 통합) 이런 것도 보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66.104.2.50 (토론) 2010년 1월 7일 (목) 09:09 (KST)답변
예, 알겠습니다. 수정하도록 하지요. Kpoi7018 (토론) 2010년 1월 8일 (금) 10:10 (KST)답변
감사합니다^^* (IP가 조금씩 다릅니다..;) 166.104.111.149 (토론) 2010년 1월 8일 (금) 18:28 (KST)답변

알려드립니다[편집]

안녕하세요. 파일:8361번 폐선.jpg을 위키백과에 올려 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러나 올리신 그림 파일의 내용에 누가 이 내용물을 만들었는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으셨거나, 저작권 라이선스에 대해 명시하지 않아 저작권을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직접 만드신 파일이라면 이 사실을 명시해 주시고 만든 날짜도 적어주세요. 직접 파일을 만들지 않으셨다면 저작권을 소유한 사람을 명시하셔야 합니다. 웹사이트로부터 가져온 것이라면, 해당 웹사이트의 링크로 출처를 다시 언급할 경우 보통 저작권 정보가 충분하다고 인식됩니다. 그러나 저작권을 가진 사람이 웹사이트 관리자가 아니라면, 저작권을 좀 더 명확하게 명시하셔야 합니다.

저작권 라이선스 태그를 붙이지 않으셨다면 태그를 올바르게 추가해 주십시오. 사진, 소리, 비디오를 직접 만드신 것이라면 {{self|Cc-by-sa-3.0}} 라고 적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BY-SA 3.0 라이선스 아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다른 자유 라이선스에 대해서는 위키백과:그림의 저작권 표시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비자유 저작물의 인용을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업체의 로고나 연예인의 사진 등을 올리실 수 없습니다.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비자유 저작물의 인용을 참조하십시오.

그림 파일의 정보를 표시할 때는 {{그림 정보}}틀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정확하거나 생략된 정보들을 밝히지 않으신다면 해당 파일을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곧 삭제될 수 있습니다. 지금 즉시 해당 파일을 편집하여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니그마7 (토론하기) 2009년 12월 22일 (화) 02:30 (KST)답변

구 116.38...입니다.[편집]

반갑습니다. 계정을 만들고 다시 접속합니다. 초보자라 편집에 익숙지 않음을 양해부탁드립니다. 백토:버스 에도 남겼지만, 마을버스 문서의 경우 성남마을버스 2번 과 같은 형태로 이미 타 지역의 경우 마을버스를 표제어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이에, 서울마을버스 강동01번이라는 표제어 사용이 더욱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미 반영됨)

또한, 통합노선 중 말도 안 되는 통합노선의 경우 통합 자체를 기술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로, 100번 및 140번 통합(X) -> 100번 폐선 및 140번 단축(O) 7731번 및 703번 통합(X) -> 7731번 폐선 및 고양시내버스 330번 대체개설(O) 이런 형태겠지요. Kpoi7018님께서는 다행히 안 그러시던데, 다른 분들이 그럴까봐 그러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NO.9401 (토론) 2010년 1월 13일 (수) 12:45 (KST)답변

삭제 토론 회부 알림.[편집]

주로 귀하께서 생성/기여하신 시내버스 각 차고지 문서에 대해,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는 문서라 판단하여 삭제 토론에 회부하였습니다. 부디 해당 토론에 참가하셔서 의견을 남겨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위키백과:삭제 토론/서울 특별시 시내버스의 차고지)--소심자 (토론) 2010년 2월 6일 (토) 04:51 (KST)답변

사용자토론:221.155.166.32#서울시내버스 108번에 관련하여 관련[편집]

제가 버스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합니다만, 2004년 이전의 버스 역사를 지우시고 계속 되돌리고 계십니다. 2004년 이전의 버스 역사 부분에 대해서는 적지 않기로 정했다는데, 버스 프로젝트라던가 다른 어디에서도 그러한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버스 노선의 변천 과정을 정리하는 것이 버스 노선 문서가 백과사전화될 수 있는 요소 중에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예로부터 내려오는 역사를 정리하지 못할망정 이를 버스 개편을 기점으로 끊어버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토론) 2010년 2월 13일 (토) 20:09 (KST)답변

특징에 언급될 만한 내용[편집]

안녕하세요. 새해복 많이 받으십시오.
서울시내버스 편집에 수고가 많으십니다. "노선의 특징"에 언급될 만한 내용도 어느정도 정리가 필요할 듯하여 말씀드립니다.
특징에 언급될 만한 내용이라면...

  • 환승할인 여부 (A-B간 환승할인가능(110A,B에 언급됨), 108번의 세 노선간 환승할인 불가능(언급됨), 9503-3030, 8880-9714 환승할인 가능)

- 왕복으로 이용할 수도 있기에, 특정 목적지에 볼일 잠깐 보고 되돌아갈 때 유용합니다.

  • 구간요금 여부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경기도 노선이 10km 이상 중복되는 경우) - 108(118)(언급됨),320(70),502(777),7733(567) 등

- 버스회사에서조차 서울시 노선을 탈 것을 안내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단독통행시 억울하게 몇백 원이라도 더 낼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서울시내버스에 1회탑승시에도 구간요금을 부활시킨다면 모르겠지만요 :)

  • 도시형버스의 무정차 구간 여부 (642번의 노들길 경유, 6641번의 급행운행 등)
  • 고속도로 경유 (9401에만 해당하나, 9409 노선조정시에도 추가될 수 있음)
  • 가장 긴 노선 (도시형 706번, 전체 9711번 등)

- 추가논의가 필요한 사안인데, 위 두 노선은 일단 의미가 있는 노선입니다.

  • 별도요금 노선 (41번,7723번 등이 대표적임)

- 순환버스임에도 도시형요금을 받는 41번이나, 경기도 노선에 비해 차급이 낮은데도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요금을 받는 7권역 광역버스는 별도언급이 필요합니다. 또한, 단순히 카드요금 언급 없이 "900원"이라고 적기보다는, 현금요금을 함께 기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금-카드 순서는 논의가 필요함... 저는 현금-카드 순서에 한표입니다. 교통카드가 더욱 많이 사용되긴 하지만, 더 비싼 요금에 대한 언급을 우선하는 것이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덜 혼동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일부 전철역 미연계 (145,410번의 압구정역 미연계, 1166번의 전 전철역 미연계, 8541번의 철도연계 제한 등의 언급 필요)

- 8541번의 경우는 운행시간대 자체가 전철 연계가 어려운 시간대이므로 별도 기술이 요구됩니다만, Kpoi7018님의 말솜씨로 잘 정돈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별도의 심야버스 여부 (심야로 인가가 난 노선에 한하여는 단순히 "심야운행이 있다" 식으로만 언급(108번처럼), 642번같은 별도노선인 경우 별도노선에 대한 상세한 기술)

- 심야버스 인가는 있는데 노선이 같다고 해서 그것을 구태여 분리할 필요는 없으나, 642처럼 노선이 다르면 분리가 필요합니다.

  • 지나친 굴곡노선에 대한 주의사항 (405,421번이 대표적임)

- 정말 낚여본 사람만 아는 것 중 하나입니다. 예전에 타도시 살 적(1997~9년경..)에 81번을 잘못 탔다가 온동네 뱅글뱅글 돌아다녀서 혼났던 경험이 :)

  • 상습정체구간이 많은 노선의 배차간격 반영

- 명목상 간격보다 실제 간격이 훨씬 긴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760번, 9711번 등... "상습 정체 구간을 통과하는 노선으로, 배차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정도로 정리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이런 내용들은 특징에 언급될 만한 내용인데, Kpoi7018님의 생각은 어떠하신지 궁금합니다. 답글은 Kpoi7018님의 이 토론 밑에 달아주시면 좋겠습니다. 이미 언급된 내용이 있는 경우, 맨 처음에 언급된 노선 문서의 양식을 참고하시면 될 듯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Kpoi7018님께서도 수정을 가하지 않은 것으로 봐서, 제가 제안한 내용을 모든 노선에 적용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써보니 많지만, 정작 상당한 특징이 될 만한 것들은 기껏해야 한두 개에 불과하니, 적어놓고도 눈이 피곤하다든가, 하는 그런 느낌은 없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NO.9401 (토론) 2010년 2월 18일 (목) 14:49 (KST)답변

정리해 주셨네요, 그리고 하나 추가요.

  • 중앙 버스 전용 차로 이용에 관한 내용

저도 2004년 개편 초기에 중앙 차로 정류소에서 고생한 적이 있습니다. 이 내용도 모든 문서마다 표기하고 있습니다. Kpoi7018 (토론) 2010년 2월 19일 (금) 10:37 (KST)답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중앙 버스 전용 차로 내용의 경우는 이미 잘 넣고 계셔서 제가 언급을 안 했을 뿐입니다. 역시 정해진 틀이 있어야... 낫군요 ^^
그리고 굵은 글씨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굵은 글씨가 적용될 만한 경우로는,

  • 정상적인 요금보다 비싼 요금을 받는 경우(41번이 현금 1000원(카드 900원)을 받는다든지). - 싼 요금은 굵은 글씨까지는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 급행버스 노선이 별도로 있는 경우, 정차 정류소 (9404번의 분당구청 등)(6641과 9714같은 상시급행은 굵은 글씨 불필요)
  • (자동차전용도로나) 고속도로의 경유구간 도로명칭(경부고속도로,노들길 등)

솔직히 귀찮아서 토론에서의 링크는 생략하였습니다... 문서에서는 링크를 해야 하는 게 원칙입니다만 :-)

여담으로, 9401번(및 추후 9409번 변경시 포함) 버스 문서를 편집할 경우, "경부고속도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 삼일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를 이용한다." 식으로 경부고속도로도 중앙 차로에 대한 언급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웬간한 도심 중앙 버스 전용 차로보다도 더 긴 구간을 운행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의견도 부탁드립니다. --NO.9401 (토론) 2010년 2월 19일 (금) 13:50 (KST)답변

명칭 변경 반영 관련[편집]

반갑습니다.
지금까지는 상당히 잘 해 오고 계신데, 노파심에(?) 말씀드립니다. 개편후 역사를 서술하면서 명칭이 변경된 것은 해당되는 일자에 관한 것으로 서술 부탁드리겠습니다. (147번 문서의 "드림랜드", "북서울 꿈의숲" 이러한 경우가 적절한 예)
참고적으로 동사무소가 주민센터로 변경이 된 것은 2007년 9월 1일이며, 이 날 이후에 관련된 것은 "주민센터"로, 이 날 이전의 것은 "동사무소"로 서술하시면 됩니다. 또한 관악구 행정동 명칭 변경 관련 등등도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 검색으로 간단히 찾을 수 있는 내용이므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띄어쓰기 중 괄호 문장부호에 관하여도 말씀드립니다. 괄호는 붙여쓰는 것이 맞습니다. 예로,

  • 그 사람(철수)이 잘못했다.
  • 그 사람 (철수)이 잘못했다.
  • 그 사람(철수) 이 잘못했다.
  • 그 사람 (철수) 이 잘못했다.

이 중에서 첫 번째 줄이 맞는 것입니다. Kpoi7018님께서 두 번째와 같은 형식으로 쓰고 계시기에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또한, 조사는 "그 사람" 뒤에 붙으므로 "이("가"가 아님)"로 써야 합니다. 다만,

  • 나의 마음 속에 있는(들어있는) 생각

과 같은 경우에는 "있는"과 "생각"이 떨어져 있어야 하고, "(들어있는)"은 "있는"을 꾸며 주므로, 위와 같이 씁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NO.9401 (토론) 2010년 2월 21일 (일) 04:20 (KST)답변

다 바꿀 거 아니면 바꾸지 말라고요[편집]

서울시내버스 147번 문서 역사 부분에서 님이 한 말입니다. 그건 좀 아닌 것 같군요. (그나저나 기억은 하시는지...?) --Jws401 (토론) 2010년 2월 28일 (일) 12:47 (KST)답변

사용자 문서 페이지 관련[편집]

언제나 서울시내버스 관련으로 많은 기여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Kpoi7018님의 사용자 페이지에 서술되어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문서별 작성 원칙 문단과 관련하여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버스#가이드라인 제시에 참여하시는 것은 어떨 까 싶습니다. 현재 비단 서울특별시에만 한정되지 않고, 모든 지역을 아우를 수 있는 문서 작성/정리 제시 방안에 관하여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요즘 각 문서마다 작업하시는 경유지에 대한 기여는 감사합니다만, 위키 버스프로젝트에서의 공식적인 지침과는 맞지 않으며 어느 도시든지 Kpoi7018님이 주로 기여하시는 서울특별시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는 사례입니다. 또한, 각 노선별로 제멋대로의 표기를 지닐 경우, 그에 따른 가시성도 떨어지리라 봅니다. 따라서, 노선의 경유지 표기에 대해 어느정도 일관성을 가지고 정확한 규칙을 제시하고자, 최근 기여가 활발하신 Kpoi7018님의 참여를 부탁드리는 바입니다. :) --이로하(토론·기여) 2010년 3월 6일 (토) 21:20 (KST)답변

서울시내버스 4318번 관련[편집]

반갑습니다. 또 토론란에 글을 적네요 ^^. 질의드립니다. 해당 문서에 기점을 "방배동"으로 하셨던데, 어떤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우신운수의 노선에 대해서는 기점을 "사당동"으로 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인가상으로도 "사당동"이고, 이는 방배역이 아닌 사당역이 기점에서 더욱 가깝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NO.9401 (토론) 2010년 3월 7일 (일) 10:38 (KST)답변

서울시내버스 문서와 관련하여...[편집]

142번 노선의 경우는 단순히 신설노선이라고만 해서는 곤란합니다. 142번 노선의 핵심구간 중 하나인 미아리고개에서 방배동 구간은 구. 대진여객 1번 변경 노선이나 다름없습니다. 이미 이전에 다른분께서 지적했던 부분이라 길게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5534번의 경우 역시 대림동에서 여의도 구간 일부 역시 구. 북부운수 54번과 동일하고 7611번의 경우는 신촌에서 여의도 구간은 구. 범일운수 70번이 운행했던 구간입니다. 4432번의 경우 역시 뱅뱅4거리에서 옛골 구간이 구. 도선여객 405번을 계승한 것이나 마찬가지인데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 부분 역시 다른 분께서 지적했던 부분이기에 길게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개편 초기 서울시의 발표가 잘못된 부분까지 그대로 베낀 것 밖에 되지 않습니다. 확인 후 수정 해 주셨으면 합니다.--Bsw0925 (토론) 2010년 3월 10일 (수) 22:33 (KST)답변

개인적으로는, 구 노선의 구간 중 핵심구간이 50% 이상(길이 기준이든, 정류장 수 기준이든) 되는 경우에 한하여는 그것을 밝혀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구 1번 구간 중 142번으로 남은 구간은 60~70% 정도입니다. --위돌이 (토론) 2010년 3월 13일 (토) 22:28 (KST)--위돌이 (토론) 2010년 3월 13일 (토) 10:04 (KST)답변

내용추가 요청입니다.[편집]

간만입니다. ^^ 중앙 버스 전용 차로 현황에서,

이 항목도 추가 부탁드립니다. 웬만한 타 중앙 버스 전용 차로보다도 길이가 길고, 또한 2개 노선이 이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작성 위치상으로는 강남대로와 동작대로~신반포로 사이가 적절하다 생각합니다.
또한, 노선의 특징에 고속도로 경유 관련 내용도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고속도로 관련 부분은 특별히 굵은 글씨도 제안드려 봅니다)
감사합니다. --NO.9401 (토론) 2010년 3월 21일 (일) 10:37 (KST)답변

미처 파악하지 못한 일산 중앙로, 승전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도 있습니다.[편집]

서울시만의 것은 아니지만 서울시내버스 중 이 구간을 이용하는 노선도 많이 있으므로 추가가 타당하다 생각합니다. --NO.9401 (토론) 2010년 3월 21일 (일) 10:41 (KST)답변

노선의 "통합(이라는 단어)", 역사 부분 관련해서 질의드립니다.[편집]

  • 서울시내버스 462번서울시내버스 4423번, 서울시내버스 140번서울시내버스 100번처럼, 뒷 노선이 앞 노선으로 통합되는 경우(라고 적고, 실은 뒷 노선이 단순히 폐선되고 뒷 노선의 차량이 앞 노선으로 넘어가는 경우라 읽는다), 이를 어떻게 서술할 것인지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원래 Kpoi7018님의 작성 원칙이라면, "차량 이동은 서술하지 않는다"라고 하셨으므로, 이런 노선에 대한 "통합" 언급은 부적절하며, 단순히 "폐선"으로 기술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내용추가 : "역사" 부분에서,

  • 행정구역, 시설물 명칭은 해당되는 일자에 맞도록 서술한다. 또한, 폐선된 노선 문서에서, 폐선 이후에 변경되는 명칭은 반영하지 않는다.

이 부분도 필수적인 사항이라 생각합니다. 예문을 제시하면,
서울시내버스 147번¶ 구 38-2번 버스(월계동 ↔ 석계역돌곶이역한티역)가 변경되어 서울시내버스 147번 보조 간선 버스(월계동 ↔ 드림랜드돌곶이역한티역)로 운행되었다.

굴곡 노선 표기 계획도 문의드립니다.[편집]

사실 상당히 애매한 부분이긴 한데, 굴곡 노선에 대한 기준도 정립하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대체노선이 많음에도 굴곡이 지나친 노선에 대한 표시는 꼭 필요합니다. (예:서울시내버스 273번, 서울시내버스 405번, 서울시내버스 421번, 서울시내버스 9409번 등) 특히 서울시내버스 405번의 경우는 정말 누가 봐도 굴곡이 지나칠 정도로 심한데, 이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충분합니다.

--NO.9401 (토론) 2010년 3월 24일 (수) 19:39 (KST)답변

현재 임시로 해 놓은 상태이며, NO.9401님께서도 그런 내용을 담아야 하는 문서들도 좀 목록을 적어 놓으시면 제가 제대로 해 놓겠습니다.

Kpoi7018 (토론) 2010년 3월 24일 (수) 20:55 (KST)답변

Kpoi7018님께서도 어차피 공식 사이트인 TOPIS를 보면서 하시기에, 형상 자체가 굴곡이 심한 노선에 대해서 추가하시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일단 저의 기준을 말씀드리자면, 대체노선(서울,경기 구분없음)의 배차간격이 10분 이내인 노선 위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서울시내버스 273번,서울시내버스 405번,서울시내버스 421번,서울시내버스 706번,서울시내버스 771번,서울시내버스 9409번,서울시내버스 9707번 정도는 굴곡 노선 표시가 필요합니다. 서울시내버스 9409번을 굴곡 노선으로 분류한 이유는, 금곡동 이남 구간은 직선 노선인 광주시내버스 1005-2번이 있고, 금곡동 이북 구간은 광주시내버스 1005-1번이 더욱 짧은 배차 간격으로 운행하고 백현마을 3,4단지를 우회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서울시내버스 9707번도 마찬가지로, 고양시내버스 830번이 능곡을 경유하지 않고 일산 지역으로 운행(더더군다나 200원 저렴함)하기 때문에 굴곡 노선의 범주에 넣었습니다. 또한, 굴곡 노선보다도 교통 정체가 심해서 배차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노선에 대한 표시도 필요하다 봅니다. 예로, 서울시내버스 405번,서울시내버스 760번,서울시내버스 9711번 등이 대표적입니다.

--NO.9401 (토론) 2010년 3월 26일 (금) 23:27 (KST)답변

틀: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노선/광역 9301번 링크 변경[편집]

서울시내버스 341번으로 변경하셨던데, 오히려 더욱 노선이 길고 원형에 가까운 광주시내버스 9301번으로 되돌렸음을 알려드립니다. --NO.9401 (토론) 2010년 4월 3일 (토) 17:28 (KST)답변

광주시내버스 9301번과 서울시내버스 9301번은 전혀 다른 노선입니다. 되돌립니다. --이로하(토론·기여) 2010년 4월 3일 (토) 17:37 (KST)답변
해당 노선의 역사가, 9301번 중 하남시청경유(청색)가 341번으로 바뀌고 나서도 적색노선은 서울 면허로 그대로 운행하였고, 그 이후에 경기도 면허로 바뀐 것입니다. 전혀 다르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고 그 당시 노선과 지금 노선과의 차이는 하남시 구간 극히 일부, 광화문 미경유뿐입니다. 즉 두 노선은 한때 완전히 분리된 시절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NO.9401 (토론) 2010년 4월 3일 (토) 23:23 (KST)답변

정류장 명칭 관련 의문점 및 굴절버스 관련[편집]

계속 글을 남기게 되네요... 일부 정류장의 경우 현실 명칭과 동떨어진 명칭(예:성남시 분당구 한국토지공사 정류장)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어떻게 하실지 궁금합니다.

  1. 아무 표시 없이 공식 정류장 명칭만 사용한다.
  2. 실제 명칭대로 표기하고 공식 정류장 명칭은 주석 처리한다. - 한국토지주택공사 (주석 : 공식 정류장 명칭은 "한국토지공사"이다.)
  3. 공식 정류장 명칭대로 표기하고 실제 명칭은 주석 처리한다. - 한국토지공사 (주석 : 해당 기관의 공식 명칭은 "한국토지주택공사"이다.)

어떤 방법으로 표기할 것인지 질의드립니다. 고유명사이니만큼, 실제 명칭(상표)을 존중해야 할 필요성도 있기에 문의드립니다.

위키백과 타 문서의 경우에도 고유명사는 한글 맞춤법에 상관없이 고유명사 표기 그대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적으로 성남시내버스 9407번은 "디자이너럽" 정류장에 정차하는데, 그 정류장 근처의 실제 건물 명칭은 "디자이너럽"입니다. 그 경우는 제가 제안한 경우 중 두 번째에 해당합니다. 제 판단에는, 상표명이 틀리게 표기된 것까지 그대로 반영할 필요는 없으나, 그에 대한 최소한의 언급은 어떤 방법이든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또한, 저상버스 대수에 굴절버스가 포함된 것인지도 명확하게 서술 부탁드립니다. 굴절버스도 저상버스의 범주에 포함되는지라, 확실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굴절버스 서술을 하지 않을 경우 저상버스에 굴절버스 숫자를 포함하여야 옳다고 생각합니다.

  1. 저상버스 ㅇㅇ대(굴절버스 ㅇ대 별도) // 앞 숫자에 굴절버스 숫자 제외
  2. 저상버스 ㅇㅇ대(굴절버스 ㅇ대 포함) // 앞 숫자에 굴절버스 숫자 포함
  3. 저상버스 ㅇㅇ대 // 굴절버스를 별도로 서술하지 않고 저상버스로 통합 서술

위와 같은 형식 중 하나를 제안해 봅니다.

--NO.9401 (토론) 2010년 4월 4일 (일) 00:11 (KST)답변

서울시내버스 100번에 관련하여[편집]

뒤늦게 "노선이 통폐합"이라고 고치셨던데, 어떤 연유인지 궁금합니다. 140번 노선의 경우도 그 날짜 이전과 비교하면 내곡동 이북으로 변경이 전혀 없고 차량만 이동한 것이므로 그냥 "노선이 폐지되었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차량만 이동한 것은 역사에 서술하지 않는다는 원칙에도 위배되는 사항입니다. --NO.9401 (토론) 2010년 4월 18일 (일) 16:42 (KST)답변

답변드립니다.[편집]

  • 귀찮아서(..) 토론에는 꼭 필요한 것 이외에는 링크는 안 겁니다. (앞으로도...)
  • 경부고속도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제 생각은 그렇게 표현하는 것이 타당한 이유가, 중앙버스전용차로 체계의 정의상으로 해석한 것입니다. 정류장은 없을지언정, 타 중앙버스전용차로와의 형평성 문제도 있고 중앙버스전용차로를 경유한다는 것 자체가 간선급행버스(BRT)체계의 핵심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 여담으로 사용자 문서에서 경부고속도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위치가 맨 마지막 줄인데, 강남대로 다음에 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완전히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도봉로~미아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그 순서에 오기 때문입니다.

--NO.9401 (토론) 2010년 4월 26일 (월) 17:00 (KST)답변

다른 뜻 넘겨주기 생성 기준[편집]

  • 한 시(특별시,광역시,일반시 모두 포함)에서 같은 번호로 두 노선 이상이 운행하는 경우(정류장이 겹치지 않아도 상관없음). (eg. 서울 및 남양주 202번, 서울 및 성남 303번, 서울 및 광주 1151번, 서울 및 파주 700번 등)
  • 서울특별시를 제외한, 서울 진입 경기도 노선 중에서 구 번호가 현행 서울시내버스 번호와 같은 경우(서울 및 성남 1111번(성남은 9407번으로 변경) 등).
  • 노선 번호가 같은데 다른 시기에 있는 경우(eg.700번).
  • 공동 운행 노선(3030-9503, 8880-9714에 한함)

그 외에도 특별히 추가하고 싶은 기준을 마련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및 인천 버스끼리 경합하는 경우(1007-9301, 1000, 1200 등)는 추후 토론하겠습니다. --NO.9401 (토론) 2010년 4월 28일 (수) 15:14 (KST)답변

특수기능:기여/112.161.35.19 주의하세요...[편집]

문서훼손... -_- 좀 이상하네요... --NO.9401 (토론) 2010년 5월 1일 (토) 22:42 (KST)답변

저기, 근데 서울시내버스 9503번 15일 윤번제가 무슨 뜻이죠? 이해가 안가네요..Kpoi7018 (토론) 2010년 5월 2일 (일) 10:15 (KST)답변
제가 바꿔놨습니다. 문장력 떨어지는 분들이 너무 많아요 -_-; --NO.9401 (토론) 2010년 5월 2일 (일) 12:01 (KST)답변

상습 정체 구간 언급 + 안양시내버스 3030번 관련[편집]

  • 예시 : 정체 구간인 테헤란로를 경유하여 배차 간격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 테헤란로, 신촌 명물거리, 강변북로 등 (일단 생각나는 것만 적었습니다)
  • 또한, 안양시내버스 3030번의 주말 인가 대수를 찾기가 어렵네요. 안양시청, 경기도 버스정보 어디에서도 별도로 나온 게 없습니다.

--NO.9401 (토론) 2010년 5월 23일 (일) 23:07 (KST)답변

되돌림[편집]

안녕하세요, Kpoi7018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서울시내버스 400번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제가 있어서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시내버스 400번는 폐선입니다. 왜 자꾸 되돌리나요? Jonsoh (토론) 2010년 5월 26일 (수) 16:07 (KST)답변

질문 하나[편집]

시내버스 노선에 상당한 관심과 열정을 가지신 분으로 보입니다. 서울시내버스 3317번 (서울승합), 서울시내버스 3311번 등의 기여에 감사합니다. 님의 편집 패턴 중 특별한 점이 보여 가벼운 질문을 드립니다. '노선 정보' 항목, '노선의 특징' 항목을 표현하시는데 왜 하나는 '의'를 넣고 하나는 뺀 것인가요? 균형을 맞추려면 '노선의 정보'와 '노선의 특징'으로 하든지 또는 '노선 정보'와 '노선 특징'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요. 이 점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다른 여러가지 시내버스 노선 문서에 대하여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버스에서 관련 사용자들과 중의을 모으는 것을 추천합니다. Jonsoh (토론) 2010년 5월 27일 (목) 16:58 (KST)답변

봇 계정 허가가 나면 '노선 정보', '노선 특징'으로 통일하도록 하죠.Kpoi7018 (토론) 2010년 5월 28일 (금) 14:49 (KST)답변

사용자 문서에 일부 추가하였습니다.[편집]

제가 7018님의 평소 기여에 해가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 사용자 문서의 특징 부분에 일부 내용을 추가하였으니, 확인 부탁드립니다. 7018님의 정책에 어긋나는 경우 삭제하셔도 좋습니다. 그나저나 문장력 떨어지는 분들은 왜그렇게 많은지 -_- --NO.9401 (토론) 2010년 5월 29일 (토) 20:21 (KST)답변

틀: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노선/맞춤[편집]

  • 심야 맞춤 노선과, 심야 시간대 노선이 다른 노선에 대해서 새로 틀을 만들었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다만, 심야 노선으로 인가가 나 있음에도, 주간 노선과 동일한 경우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합니다. --NO.9401 (토론) 2010년 5월 30일 (일) 02:35 (KST)답변

2가지 추가합니다.[편집]

  • 심야 맞춤 버스 중 비공식 노선은 9202번이 있었습니다(하행 구리시 경유).
  • 672번 문서에서 "가장 길다" 표현은 일단 비공식 정보이긴 하나, 0.03km 정도, 즉 9711번 인가거리인 94.93km와 버스 차량 길이의 3배 정도에 불과한 미미한 차이이므로 서술하였습니다. 672번은 비공식 정보로 94.9km라고 합니다. 공식 정보가 나오면 수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이 기준은 오차범위를 0.1km로 잡는 것으로 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NO.9401 (토론) 2010년 6월 1일 (화) 17:36 (KST)답변

글자 크기 외[편집]

  • 글자 크기는... 작은 게 개인적으로는 편하더군요.
  • 그리고 IP사용자가 문서훼손을 좀 많이 합니다 -_-
  • 대체노선의 특징은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곤 배차간격 10분 이내 노선만 게시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NO.9401 (토론) 2010년 6월 4일 (금) 12:26 (KST)답변

상표명 관련[편집]

  • 서울시내버스 105번의 "롯데영프라자"는 "롯데영플라자"가 맞습니다.
  • 상표명은 어떤 기업에서 만드는 서비스/제품의 이름입니다. 즉 사람에게 부르는 이름과 같은 개념입니다. 그러므로 상표명은 한글 맞춤법이나 공식 정류소명보다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한글 맞춤법보다 우선하는 예 :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의 '디자이너클럽' → '디자이너크럽' (cf. '디자이너크럽'이 상표명입니다.)

기말고사 기간이신가요?[편집]

바빠보이시네요... -_-; 항상 Kpoi7018님 기여 잘 보고 있는데 :) --NO.9401 (토론) 2010년 6월 20일 (일) 20:26 (KST)답변

서울시내버스경기도유출입 노선관련[편집]

Kpoi7018님 안녕하세요. 제가 문의 해드릴게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서울시내버스 106번, 서울시내버스 107번, 서울시내버스 108번은 엄연히 경기도를 유출입하는 노선입니다. 그래서 틀:의정부시의 시내버스 노선이나 틀:양주시의 시내버스 노선은 추가로 작성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추가로 두개의 틀을 작성했는데 다시 삭제하시는 것은 옳지않다고 생각합니다. 서울시내버스노선중 경기도를 유출입하는 버스 노선들의 정보를 알수있도록 해당 지역의 시내버스 문서 틀을 추가로 작성하시는것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http://ko.wikipedia.org/wiki/Special:ConfirmEmail/97ddceab5a9e6d38f7b00a934fdb5d10 --smrt45678 (토론) 2010년 7월 14일 (수) 17:56 (KST)답변

버스 문서 삭제 토론[편집]

위키백과:삭제 토론/개별 버스 노선 문서에서 삭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삭제를 진행하기 전에 더욱 많은 사용자의 의견을 들어보아야 하겠기에 알려드립니다. - IRTC1015 (토론) 2010년 7월 20일 (화) 12:58 (KST)답변

되돌림[편집]

안녕하세요, Kpoi7018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서울시내버스 342번 (메트로버스)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제가 있어서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Jonsoh (토론) 2010년 8월 15일 (일) 13:19 (KST)답변

정당한 이유로 기재된 틀 삭제 불가[편집]

안녕하세요, Kpoi7018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서울시내버스 301번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제가 있어서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당한 이유로 부착된 해당 문서의 삭제 틀은 제거하실 수 없습니다. 이의가 있으면 위키백과:삭제 토론/개별 버스 노선 문서에 의견을 남기십시오. --Jws401 (토론) 2010년 8월 18일 (수) 19:25 (KST)답변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작업 제안[편집]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 공동 작업을 제안합니다. 대상은 간선버스, 지선버스 노선이며 참여하실 생각이 있으면 답글로 남기십시오.--The Next Decade (토론) 2010년 9월 24일 (금) 19:58 (KST)답변

관리자 선거 알림[편집]

Kpoi7018님!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2010년 10월 7일 (목) 11:45 (KST)부터 2010년 10월 21일 (목) 11:45 (KST)까지 Ha98574관리자 선거가 진행되고 있으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리며, 찬성 또는 반대로서 서명해 주신다면 관리자 선거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관리자 후보를 직접 검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rafox (토론) 2010년 10월 20일 (수) 17:29 (KST)답변